아이폰 증산 철회, 美집값 10년만에 하락… 잇단 경기침체 신호탄
박상준 기자 , 뉴욕=김현수 특파원
입력 2022-09-29 03:00 수정 2022-09-29 03:14
‘킹 달러’로 아이폰 가격 비싸져… 전작보다 판매량 10.5% 적어
美, 강력 긴축에 경기침체 적신호… ‘10년 국채금리’ 장중 4% 넘어
한국도 장단기 금리 역전 지속… 국채시장 안정에 5조 긴급 투입

미국의 잇따른 기준금리 인상에 영국 파운드화 폭락 쇼크까지 겹치면서 글로벌 경기침체가 현실화하고 있다. 비교적 경기에 덜 민감했던 애플은 아이폰 증산 계획을 철회했다. 27일(현지 시간) 미국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는 0.21% 하락한 3,647.29를 기록해 또 연중 최저치를 경신했다.
각국이 기준금리를 올리면서 국채 금리도 치솟고 있다. 한국 정부는 국채시장 안정을 위해 총 5조 원을 긴급 투입하기로 했다. 한국에선 경기침체의 전조 증상으로 불리는 장단기 국채 금리 역전 현상도 22일부터 지속되고 있다.
애플의 증산 계획 철회는 ‘킹 달러’로 신제품 가격이 미국 외 시장에서 10∼20% 비싸져 가격 경쟁력이 하락하고 경기침체 우려로 수요가 부진한 탓이다. 최근 시장조사기관 제프리스의 에디슨 리 애널리스트는 보고서에서 아이폰14 출시 첫 3일간 판매량은 98만7000대로 전작인 아이폰13보다 10.5% 적었다고 밝혔다. 특히 위안화 가치가 급락한 중국에서의 아이폰 수요 부진이 컸다.

미국 기준금리 인상의 영향을 가장 빨리 받는 부동산 경기는 하락 조짐을 보이고 있다. 미국 집값이 10년 만에 처음으로 전월 대비 떨어진 것이다. 글로벌 시장지수 제공업체인 S&P 다우존스 인덱스는 미 주요 도시들의 평균 집값 추세를 측정하는 7월 S&P 코어로직 케이스-실러 주택가격지수가 전월보다 0.2% 하락했다고 밝혔다. 전년 동월 대비로는 15.8% 올랐지만 6월(18.1%)과 비교하면 상승 폭은 둔화했다. 전년 동월 대비 상승률이 한 달 만에 2.3%포인트 줄어든 것은 지수를 작성하기 시작한 이후 최대 폭이다.

한국 3년물 국채 금리는 26일 4.548%까지 올라 2009년 이후 최고치를 보였다. 국채 금리 상승은 금융채 등 다른 금리 상승으로 이어지기 마련이다. 기재부는 “2조 원 규모의 긴급 국채 조기 상환을 실시한다”고 28일 밝혔다. 한국은행 역시 3조 원 규모의 국고채 단순매입을 발표했다. 시중에 풀린 국채 물량을 줄여 국채 금리를 끌어내리겠다는 것이다.
국채 금리 급등은 세계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영국이 최근 대규모 감세정책을 발표하자 투자자들이 국채 투매에 나서며 5년 만기 국채 금리는 4.6%로 뛰었다. 감세정책 발표 전보다 1%포인트 정도 올랐다. 영국 5년 만기 국채 금리는 유럽의 대표적인 부채국인 그리스, 이탈리아보다 높아졌다. 재정 적신호가 켜진 영국 30년 만기 국채 금리는 2002년 이후 20년 만에 처음으로 5% 선을 넘어섰고, 10년 만기 국채 금리도 4.5%까지 올라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를 보였다.
미국의 10년 만기 국채 금리도 2010년 이후 처음으로 장 중 4%를 넘었고, 2년 만기 금리는 장 중 4.3%를 넘어섰다. 미국의 경우 경기침체의 신호탄으로 불리는 장단기 국채 금리 역전 현상이 7월 6일부터 지금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오랜 기간 돈을 빌려줄수록 금리가 높게 책정되기 마련이지만 경기 전망이 부정적이면 위험 회피를 위해 장기 채권 금리는 낮아지는 특징이 있다.
미국의 경우 1962년 이후 총 7차례의 경기침체가 있었는데 모든 침체기에 앞서 장단기 금리가 역전됐다. 또 1960년 중반 때의 경기침체를 제외하면 미국의 경우 장단기 금리가 역전되고 나서 5개월에서 23개월 내에 경기가 침체 국면에 진입했다.
한국에서도 3년 만기 채권 금리가 10년 만기 채권 금리보다 높아진 상태가 22일부터 계속되고 있다. 한국의 장단기 금리 역전은 2008년 7월 이후 14년 2개월 만으로, 이번이 세 번째 역전이다. 2007년 11월∼2008년 1월 사상 첫 역전 이후엔 글로벌 금융위기가 찾아왔다.
박상준 기자 speakup@donga.com
뉴욕=김현수 특파원 kimhs@donga.com
美, 강력 긴축에 경기침체 적신호… ‘10년 국채금리’ 장중 4% 넘어
한국도 장단기 금리 역전 지속… 국채시장 안정에 5조 긴급 투입

미국의 잇따른 기준금리 인상에 영국 파운드화 폭락 쇼크까지 겹치면서 글로벌 경기침체가 현실화하고 있다. 비교적 경기에 덜 민감했던 애플은 아이폰 증산 계획을 철회했다. 27일(현지 시간) 미국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는 0.21% 하락한 3,647.29를 기록해 또 연중 최저치를 경신했다.
각국이 기준금리를 올리면서 국채 금리도 치솟고 있다. 한국 정부는 국채시장 안정을 위해 총 5조 원을 긴급 투입하기로 했다. 한국에선 경기침체의 전조 증상으로 불리는 장단기 국채 금리 역전 현상도 22일부터 지속되고 있다.
○ “애플 증산 계획 철회”
‘킹 달러’ 현상과 글로벌 경기침체 우려 속에 애플은 신제품 아이폰14 증산 계획을 접었다. 블룸버그는 애플이 당초 하반기(7∼12월)에 9000만 대의 생산 계획 외에 추가로 600만 대를 증산하려고 했지만 최근 이 계획을 철회했다고 보도했다. 애플의 증산 계획 철회는 ‘킹 달러’로 신제품 가격이 미국 외 시장에서 10∼20% 비싸져 가격 경쟁력이 하락하고 경기침체 우려로 수요가 부진한 탓이다. 최근 시장조사기관 제프리스의 에디슨 리 애널리스트는 보고서에서 아이폰14 출시 첫 3일간 판매량은 98만7000대로 전작인 아이폰13보다 10.5% 적었다고 밝혔다. 특히 위안화 가치가 급락한 중국에서의 아이폰 수요 부진이 컸다.

○ ‘경기침체 신호탄’ 장단기 금리 역전 현상도

국채 금리 급등은 세계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영국이 최근 대규모 감세정책을 발표하자 투자자들이 국채 투매에 나서며 5년 만기 국채 금리는 4.6%로 뛰었다. 감세정책 발표 전보다 1%포인트 정도 올랐다. 영국 5년 만기 국채 금리는 유럽의 대표적인 부채국인 그리스, 이탈리아보다 높아졌다. 재정 적신호가 켜진 영국 30년 만기 국채 금리는 2002년 이후 20년 만에 처음으로 5% 선을 넘어섰고, 10년 만기 국채 금리도 4.5%까지 올라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를 보였다.
미국의 10년 만기 국채 금리도 2010년 이후 처음으로 장 중 4%를 넘었고, 2년 만기 금리는 장 중 4.3%를 넘어섰다. 미국의 경우 경기침체의 신호탄으로 불리는 장단기 국채 금리 역전 현상이 7월 6일부터 지금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오랜 기간 돈을 빌려줄수록 금리가 높게 책정되기 마련이지만 경기 전망이 부정적이면 위험 회피를 위해 장기 채권 금리는 낮아지는 특징이 있다.
미국의 경우 1962년 이후 총 7차례의 경기침체가 있었는데 모든 침체기에 앞서 장단기 금리가 역전됐다. 또 1960년 중반 때의 경기침체를 제외하면 미국의 경우 장단기 금리가 역전되고 나서 5개월에서 23개월 내에 경기가 침체 국면에 진입했다.
한국에서도 3년 만기 채권 금리가 10년 만기 채권 금리보다 높아진 상태가 22일부터 계속되고 있다. 한국의 장단기 금리 역전은 2008년 7월 이후 14년 2개월 만으로, 이번이 세 번째 역전이다. 2007년 11월∼2008년 1월 사상 첫 역전 이후엔 글로벌 금융위기가 찾아왔다.
박상준 기자 speakup@donga.com
뉴욕=김현수 특파원 kimhs@donga.com
비즈N 탑기사
- 위안부 피해자 손배 2심 승소…日언론들 신속 타전
- 美 북부 지역까지 위협하는 캐나다 야생 멧돼지…“퇴치 어려워”
- 부산도 옮았다…빈대 공포에 “코로나 때처럼 외출 자제”
- 꿀벌이 돌아온다…아까시꿀 생산량 평년比 51% ↑
- 식중독균 살모넬라 검출 ‘눈꽃치즈 불닭’…판매중단·회수
- 김동연 “김포 서울 편입은 국토 갈라치기…총선 전략이면 자충수”
- 경찰, 대학가 ‘마약 광고 전단’ 살포 40대 구속 송치
- “결혼 왜 못하니?” 전처 이혜영 영상편지에…이상민 ‘답장’ 진땀
- 이동국 “내 이름 사칭해 투자 유도한 유튜브 제작자 잠적”
- 장서희 “이상형? 외모 보고 만나면 고생길…결혼 생각은 늘 있다”
- 한동훈 “전세사기 저지르면 20년은 감옥 가게 될 것”
- 전국 미분양 10개월 만에 6만채 밑으로… “시장 침체에 분양 자체 줄어”
- “연말 빛 축제, 서울에서 즐기세요”
- “소주 가격 떨어지나” 기준판매비율 도입 환영…식당 판매가는 “글쎄”
- 실시간 여행지 정보 플랫폼 ‘메타라이브’, 겨울 필수 여행지 인증샷 이벤트 진행
- 재건축 갈등 대처, 위법 여부 꼼꼼히 따져야[부동산 빨간펜]
- ‘한국의 아마존’ 꿈꾸던 11번가 휘청… 매각 주도권마저 잃었다
- 제주드림타워 복합리조트, 11월 호텔 실적 전년比 17%↑… 외국인 비중 ‘10%→60%’
- ‘709억 수원 전세사기’ 정씨 부부 구속…아들은 기각
- 페북·인스타 ‘인증배지’ 월 3만5900원…한국에도 도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