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R]“미래의 기회비용까지 살펴야 성공적 금융 의사결정 가능”
박세영 노팅엄대 경영대 재무 부교수 , 정리=김윤진 기자
입력 2022-08-17 03:00 수정 2022-08-17 03:17
美-中 연구진 ‘실물옵션’ 방법론
현재 가치로 환산된 이익-비용 외
기회비용 감안 소비-투자 등 결정
“실물옵션 고려해야 큰 손실 막아”

사업가들은 연구개발 투자, 신시장 개척, 인수합병 등 굵직굵직한 금융 의사결정을 내릴 때 주로 ‘순현재가치(Net Present Value)’를 고려한다. 즉, 미래에 기대할 수 있는 이익과 비용을 현재가치로 환산한 뒤 이익의 현재가치가 비용의 현재가치보다 클 때 사업에 뛰어든다. 하지만 이 방법이 가지는 치명적인 약점은 눈에 보이지 않는 기회비용을 고려할 수 없다는 점이다. 순현재가치만 보고 사업에 착수했다가 예상치 못한 큰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는 의미다. 이 같은 약점을 보완하고 기회비용까지 소비, 투자 등 중요한 금융 의사결정에 반영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한 연구가 나왔다.
미국 보스턴대와 중국 홍콩과기대, 미국 컬럼비아대 공동 연구진은 ‘실물 옵션(Real Option)’이란 개념을 활용해 기회비용을 전략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금융 의사결정 방법론을 제시했다. 실물 옵션은 ‘옵션’이라는 금융 상품으로부터 파생된 개념이다. 여기서 옵션은 금융시장에 존재하고 있는 다양한 금융 상품을 기초 자산으로 해 만들어진다. 대표적으로는 주식을 정해진 가격에 살 수 있는 권리를 뜻하는 콜옵션과 팔 수 있는 권리를 뜻하는 풋옵션 등이 있다. 그런데 실물 옵션은 금융 상품 거래가 아니라 현실에 존재하고 있는 다양한 선택지를 채택할지 말지에 대한 기회에 가치를 부여한다는 점에서 다르다.
이 실물 옵션을 반영한 방법론은 금융에서의 옵션처럼 주어진 기회를 언제 최적으로 행사할지를 두고 가치 평가를 수행한다. 가령 65세라는 정년 이전에 은퇴할 기회, 신사업에 투자할 기회, 현재 사업을 종료하거나 더 크게 확장할 기회 등 선택과 관련된 다양한 의사결정에 가치를 부여한다. 만약에 사업의 순현재가치만을 고려한다면 은퇴는 65세 정년이 될 때까지 무조건 기다렸다가 하는 게 최고의 선택일 수 있다. 하지만 실물 옵션을 고려한다면 건강, 노후 계획 등 정년까지 버텼을 때 놓치게 될 삶의 가치가 더 클 수 있기에 누군가에게는 조기 은퇴가 최고의 선택일 수 있다.
이처럼 실물 옵션 방법론은 단순히 순현재가치에 기초한 ‘정적인’ 선택이 아니라 시간이 흐름에 따라 바뀌게 될 미래를 고려한 ‘동적인’ 선택이다. 예를 들어, 100억 원을 현금으로 보유한 사람이 11억5000만 원짜리 서울 아파트 한 채를 구매한 것과 2억3000만 원을 현금으로 보유한 사람이 대출을 받아 같은 가격의 아파트 한 채를 구매한 것은 다르다. 물론 금전적으로 신규 주택 구매 의사결정의 가치는 둘 다 똑같이 11억5000만 원이다. 하지만 실물 옵션의 관점에서는 후자의 경우 의사결정의 가치가 훨씬 비싸다. 2억3000만 원으로 주택을 구매한 사람은 전 재산을 주택에 쏟아부었을 뿐만 아니라 그 재산으로 할 수 있는 모든 대안을 포기한 것이기 때문이다. 전 재산이 창출할 수 있었던 기회비용의 미래 가치를 모두 합하면 실물 옵션은 기하급수적으로 커질 수밖에 없다. 이처럼 불확실성이 큰 상황일수록 실물 옵션의 가치가 커질 수 있다. 따라서 금융 의사결정 시 단순히 눈에 보이는 이익과 비용만을 따질 것이 아니라 ‘결정의 비용’과 ‘희생의 비용’을 꼼꼼히 살펴야 할 것이다.
박세영 노팅엄대 경영대 재무 부교수 seyoung.park@nottingham.ac.uk
정리=김윤진 기자 truth311@donga.com
현재 가치로 환산된 이익-비용 외
기회비용 감안 소비-투자 등 결정
“실물옵션 고려해야 큰 손실 막아”

사업가들은 연구개발 투자, 신시장 개척, 인수합병 등 굵직굵직한 금융 의사결정을 내릴 때 주로 ‘순현재가치(Net Present Value)’를 고려한다. 즉, 미래에 기대할 수 있는 이익과 비용을 현재가치로 환산한 뒤 이익의 현재가치가 비용의 현재가치보다 클 때 사업에 뛰어든다. 하지만 이 방법이 가지는 치명적인 약점은 눈에 보이지 않는 기회비용을 고려할 수 없다는 점이다. 순현재가치만 보고 사업에 착수했다가 예상치 못한 큰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는 의미다. 이 같은 약점을 보완하고 기회비용까지 소비, 투자 등 중요한 금융 의사결정에 반영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한 연구가 나왔다.
미국 보스턴대와 중국 홍콩과기대, 미국 컬럼비아대 공동 연구진은 ‘실물 옵션(Real Option)’이란 개념을 활용해 기회비용을 전략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금융 의사결정 방법론을 제시했다. 실물 옵션은 ‘옵션’이라는 금융 상품으로부터 파생된 개념이다. 여기서 옵션은 금융시장에 존재하고 있는 다양한 금융 상품을 기초 자산으로 해 만들어진다. 대표적으로는 주식을 정해진 가격에 살 수 있는 권리를 뜻하는 콜옵션과 팔 수 있는 권리를 뜻하는 풋옵션 등이 있다. 그런데 실물 옵션은 금융 상품 거래가 아니라 현실에 존재하고 있는 다양한 선택지를 채택할지 말지에 대한 기회에 가치를 부여한다는 점에서 다르다.
이 실물 옵션을 반영한 방법론은 금융에서의 옵션처럼 주어진 기회를 언제 최적으로 행사할지를 두고 가치 평가를 수행한다. 가령 65세라는 정년 이전에 은퇴할 기회, 신사업에 투자할 기회, 현재 사업을 종료하거나 더 크게 확장할 기회 등 선택과 관련된 다양한 의사결정에 가치를 부여한다. 만약에 사업의 순현재가치만을 고려한다면 은퇴는 65세 정년이 될 때까지 무조건 기다렸다가 하는 게 최고의 선택일 수 있다. 하지만 실물 옵션을 고려한다면 건강, 노후 계획 등 정년까지 버텼을 때 놓치게 될 삶의 가치가 더 클 수 있기에 누군가에게는 조기 은퇴가 최고의 선택일 수 있다.
이처럼 실물 옵션 방법론은 단순히 순현재가치에 기초한 ‘정적인’ 선택이 아니라 시간이 흐름에 따라 바뀌게 될 미래를 고려한 ‘동적인’ 선택이다. 예를 들어, 100억 원을 현금으로 보유한 사람이 11억5000만 원짜리 서울 아파트 한 채를 구매한 것과 2억3000만 원을 현금으로 보유한 사람이 대출을 받아 같은 가격의 아파트 한 채를 구매한 것은 다르다. 물론 금전적으로 신규 주택 구매 의사결정의 가치는 둘 다 똑같이 11억5000만 원이다. 하지만 실물 옵션의 관점에서는 후자의 경우 의사결정의 가치가 훨씬 비싸다. 2억3000만 원으로 주택을 구매한 사람은 전 재산을 주택에 쏟아부었을 뿐만 아니라 그 재산으로 할 수 있는 모든 대안을 포기한 것이기 때문이다. 전 재산이 창출할 수 있었던 기회비용의 미래 가치를 모두 합하면 실물 옵션은 기하급수적으로 커질 수밖에 없다. 이처럼 불확실성이 큰 상황일수록 실물 옵션의 가치가 커질 수 있다. 따라서 금융 의사결정 시 단순히 눈에 보이는 이익과 비용만을 따질 것이 아니라 ‘결정의 비용’과 ‘희생의 비용’을 꼼꼼히 살펴야 할 것이다.
박세영 노팅엄대 경영대 재무 부교수 seyoung.park@nottingham.ac.uk
정리=김윤진 기자 truth311@donga.com
비즈N 탑기사
- 김소월 ‘진달래꽃’ 초판본 1.65억원…근현대문학 서적 경매 최고가
- “편의점이 휴게소냐”…신발 벗고 1시간 있다가 가져온 ‘닭뼈’ 버리고 간 男
- “자식 아니어도 후계자 가능”…세계 최고부자 루이비통 회장 발언 화제
- 코카인이 석유 제치고 콜롬비아 수출품 1위 등극 ‘오명’
- 지하철 선로로 빠진 내 휴대폰, 당황하지 말고…“위치 기억해 신고”
- 1.5㎞ 걸어 간 자폐 가출인…CCTV 관제센터 덕에 무사 귀가
- 포도주가 강처럼 흘러…포르투갈 양조장 탱크 터져
- 퇴근 후 운동하던 경찰들, 쓰러진 시민 구했다 “남편 잃을 뻔…감사”
- 잠 못 이루게 하는 ‘슈퍼 블루문’?…과학적 근거 있을까
- 5000원에 구매한 그림이 3억?…로또 맞은 골동품 애호가
- “추석에 한탕” 양심불량 선물용품 딱 걸렸다…76곳 적발
- 서울 반지하가구, 지상층 이주 시 최대 1440만원 받는다
- MZ, 추석 귀성 대신 “해외여행” “단기알바”
- “AI규범 잡는자, 디지털시대 승자” 각국 新패권경쟁
- 올가을엔 낙조 맛집 ‘오이도’로 가볼까
- 정부, 3기 신도시 공급 앞당긴다…추석 전 대책 발표 전망
- ‘황금연휴’ 앞두고 빠른배송 수요 급증… 에이블리 “‘샥출발’ 거래액 70%↑”
- 배-참조기 값 32% 뛰고, 소고기 16% 내려
- “형광등 교체도 집주인이?”… 전셋집 수리, 누가 해야 하나[부동산 빨간펜]
- ‘꺾이지 않는 인기’… 농심 ‘먹태깡’, 600만 봉 넘게 팔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