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방 제재에… 러 국민車 공장 멈추고 물가 폭등
뉴욕=유재동 특파원
입력 2022-03-11 03:00 수정 2022-03-11 03:00
車반도체 등 부품 부족에 생산중단
신차 17%-TV 15% 등 가격 치솟아
서방의 ‘제재 폭탄’을 맞은 러시아의 경제 충격이 가시화하고 있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9일 러시아 국민차로 알려진 ‘라다’ 공장이 부품 부족으로 가동을 멈췄다고 전했다. 라다 모회사인 압토바스는 반도체를 비롯해 자동차 생산에 필요한 핵심 첨단 부품의 20%를 외국에서 수입하고 있다.
라다의 생산 중단은 러시아 자동차 공급에 큰 충격을 줄 것으로 보인다. 이미 제재로 인해 폭스바겐 르노 도요타 현대자동차 같은 글로벌 자동차 기업들은 러시아 내 생산을 멈췄다. 유일한 러시아 자체 브랜드 라다는 지난해 시장점유율이 21%에 달한다. 러시아는 서방의 제재로 국제 금융 결제망에서 퇴출돼 외국 기업과의 거래가 거의 차단됐고 수입을 한다고 해도 루블화 가치 폭락으로 이전보다 훨씬 비싼 비용을 치러야 한다.
물가 폭등도 심각하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침공 직후인 지난달 26일부터 이달 4일까지 일주일 동안 내수용 신차 가격은 17%나 치솟았다. 같은 기간 TV 가격은 15%, 스마트폰 가격은 9.6% 올랐다.
경제 제재 충격이 확산되고 블라디미르 푸틴 정권의 억압이 심해지자 러시아인 수천 명이 국경을 넘어 탈출하고 있다고 WSJ는 전했다.
물가 폭등이 지속되면서 러시아는 ‘가격 통제’까지 검토하고 있다. 한국 등 제재에 동참한 48개 비(非)우호국 출신 외국인이 지분의 25% 이상을 소유한 외국 기업(조직)이 러시아를 떠날 경우 그 자산을 국유화하는 법안도 준비 중이다.
뉴욕=유재동 특파원 jarrett@donga.com
신차 17%-TV 15% 등 가격 치솟아
서방의 ‘제재 폭탄’을 맞은 러시아의 경제 충격이 가시화하고 있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9일 러시아 국민차로 알려진 ‘라다’ 공장이 부품 부족으로 가동을 멈췄다고 전했다. 라다 모회사인 압토바스는 반도체를 비롯해 자동차 생산에 필요한 핵심 첨단 부품의 20%를 외국에서 수입하고 있다.
라다의 생산 중단은 러시아 자동차 공급에 큰 충격을 줄 것으로 보인다. 이미 제재로 인해 폭스바겐 르노 도요타 현대자동차 같은 글로벌 자동차 기업들은 러시아 내 생산을 멈췄다. 유일한 러시아 자체 브랜드 라다는 지난해 시장점유율이 21%에 달한다. 러시아는 서방의 제재로 국제 금융 결제망에서 퇴출돼 외국 기업과의 거래가 거의 차단됐고 수입을 한다고 해도 루블화 가치 폭락으로 이전보다 훨씬 비싼 비용을 치러야 한다.
물가 폭등도 심각하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침공 직후인 지난달 26일부터 이달 4일까지 일주일 동안 내수용 신차 가격은 17%나 치솟았다. 같은 기간 TV 가격은 15%, 스마트폰 가격은 9.6% 올랐다.
경제 제재 충격이 확산되고 블라디미르 푸틴 정권의 억압이 심해지자 러시아인 수천 명이 국경을 넘어 탈출하고 있다고 WSJ는 전했다.
물가 폭등이 지속되면서 러시아는 ‘가격 통제’까지 검토하고 있다. 한국 등 제재에 동참한 48개 비(非)우호국 출신 외국인이 지분의 25% 이상을 소유한 외국 기업(조직)이 러시아를 떠날 경우 그 자산을 국유화하는 법안도 준비 중이다.
뉴욕=유재동 특파원 jarrett@donga.com
비즈N 탑기사
- 김소월 ‘진달래꽃’ 초판본 1.65억원…근현대문학 서적 경매 최고가
- “편의점이 휴게소냐”…신발 벗고 1시간 있다가 가져온 ‘닭뼈’ 버리고 간 男
- “자식 아니어도 후계자 가능”…세계 최고부자 루이비통 회장 발언 화제
- 코카인이 석유 제치고 콜롬비아 수출품 1위 등극 ‘오명’
- 지하철 선로로 빠진 내 휴대폰, 당황하지 말고…“위치 기억해 신고”
- 1.5㎞ 걸어 간 자폐 가출인…CCTV 관제센터 덕에 무사 귀가
- 포도주가 강처럼 흘러…포르투갈 양조장 탱크 터져
- 퇴근 후 운동하던 경찰들, 쓰러진 시민 구했다 “남편 잃을 뻔…감사”
- 잠 못 이루게 하는 ‘슈퍼 블루문’?…과학적 근거 있을까
- 5000원에 구매한 그림이 3억?…로또 맞은 골동품 애호가
- 서울 반지하가구, 지상층 이주 시 최대 1440만원 받는다
- “추석에 한탕” 양심불량 선물용품 딱 걸렸다…76곳 적발
- ‘황금연휴’ 앞두고 빠른배송 수요 급증… 에이블리 “‘샥출발’ 거래액 70%↑”
- “AI규범 잡는자, 디지털시대 승자” 각국 新패권경쟁
- MZ, 추석 귀성 대신 “해외여행” “단기알바”
- 정부, 3기 신도시 공급 앞당긴다…추석 전 대책 발표 전망
- 배-참조기 값 32% 뛰고, 소고기 16% 내려
- “추석연휴에 미국·프랑스 가볼까”…장거리 여행객 ‘껑충’
- “체중 관리에는…아침 7~9시 중·고강도 운동 효과적”
- 펼치면 17인치 태블릿… 접으면 12인치 노트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