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 직장인’ 13만명, 건보료 月평균 13만원 더 내
김호경기자
입력 2017-05-02 03:00 수정 2017-05-02 09:25
월급外 소득 年 3400만원 이상… 내년 7월부터 보험료 올라
건강보험료 부과체계가 달라지면서 내년 7월부터 보험료가 오르는 직장인이 13만 명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들은 월급 말고도 건물 임대료, 이자, 배당 소득 등 각종 추가 소득이 연 3400만 원이 넘는 ‘부자 직장인’이다.
1일 보건복지부와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지난해 2월 말 기준 월급 외 소득으로 연간 3400만 원 이상을 버는 직장가입자는 전체 직장가입자 1561만 명의 0.8% 수준인 13만 명이었다.
현재 직장가입자의 보험료는 월급의 6.12%다. 이 중 절반은 회사가 부담하기 때문에 실제로는 월급의 3.06%만 내면 된다. 월급 말고 소득이 있어도 연 7200만 원이 넘지 않으면 추가 보험료를 내지 않았다.
하지만 내년 7월부터 건보료 부과체계가 달라지면서 월급 외 소득이 연 3400만 원 이상이면 월평균 13만 원의 보험료를 더 내야 한다. 2022년 7월부터는 추가 보험료 부과 기준이 더 낮아진다. 월급 외 소득 2000만 원 이상인 직장가입자 26만 명(전체 직장가입자의 1.7%)이 월평균 11만 원을 더 내야 한다. 월급 말고는 소득이 없거나 연 2000만 원 미만인 나머지 직장가입자 98.3%의 보험료는 오르지 않는다.
김호경 기자 kimhk@donga.com
건강보험료 부과체계가 달라지면서 내년 7월부터 보험료가 오르는 직장인이 13만 명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들은 월급 말고도 건물 임대료, 이자, 배당 소득 등 각종 추가 소득이 연 3400만 원이 넘는 ‘부자 직장인’이다.
1일 보건복지부와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지난해 2월 말 기준 월급 외 소득으로 연간 3400만 원 이상을 버는 직장가입자는 전체 직장가입자 1561만 명의 0.8% 수준인 13만 명이었다.
현재 직장가입자의 보험료는 월급의 6.12%다. 이 중 절반은 회사가 부담하기 때문에 실제로는 월급의 3.06%만 내면 된다. 월급 말고 소득이 있어도 연 7200만 원이 넘지 않으면 추가 보험료를 내지 않았다.
하지만 내년 7월부터 건보료 부과체계가 달라지면서 월급 외 소득이 연 3400만 원 이상이면 월평균 13만 원의 보험료를 더 내야 한다. 2022년 7월부터는 추가 보험료 부과 기준이 더 낮아진다. 월급 외 소득 2000만 원 이상인 직장가입자 26만 명(전체 직장가입자의 1.7%)이 월평균 11만 원을 더 내야 한다. 월급 말고는 소득이 없거나 연 2000만 원 미만인 나머지 직장가입자 98.3%의 보험료는 오르지 않는다.
김호경 기자 kimhk@donga.com
- ‘책 출간’ 한동훈, 정계 복귀 움직임에 테마株 강세
- 조선 후기 화가 신명연 ‘화훼도 병풍’ 기념우표 발행
- 붕괴 교량과 동일·유사 공법 3곳 공사 전면 중지
- 명동 ‘위조 명품’ 판매 일당 덜미…SNS로 관광객 속였다
- “나대는 것 같아 안올렸는데”…기안84 ‘100 챌린지’ 뭐길래
- ‘전참시’ 이연희, 득녀 5개월만 복귀 일상…아침 산책+운동 루틴
- 국내 기술로 개발한 ‘한국형 잠수함’ 기념우표 발행
- ‘아파트 지하주차장서 음주운전’ 인천시의원 송치
- 학령인구 감소 탓에 도심지 초교마저 학급 편성 ‘비상’
- 상속인 행세하며 100억 원 갈취한 사기꾼 일당 붙잡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