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바닥 기는데 외식비는 뜀박질
정임수기자
입력 2016-01-29 03:00 수정 2016-01-29 03:00
2015년 소비자물가상승률 0.7%에도 외식비는 전년보다 2.3% 올라
소고기 등 축산물 가격 급등 영향… 소주값도 올라 서민부담 커질듯
직장인 이모 씨(38)는 최근 자주 가던 서울 광화문의 회사 앞 식당에 들렀다가 깜짝 놀랐다. 지난해 12월만 해도 7000원이던 소고기국밥의 가격이 8000원으로 올라 있었다. 이 씨는 “야근이 많아 하루에 두 끼는 외식을 해야 하는데 이제 밥 사먹기가 무섭다”며 “다들 불경기라고 하는데 음식값은 계속 오른다”고 한숨을 쉬었다.
소비자물가는 0%대로 바닥을 기는데도 외식비는 치솟아 서민들의 주머니 사정이 갈수록 팍팍해지고 있다. 경기침체에도 불구하고 고기 등 재료값과 인건비가 유난히 많이 올랐기 때문이다.
한국은행은 28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인플레이션 보고서’를 내놓았다. 보고서에 따르면 정부가 발표한 지난해 소비자물가상승률은 0.7%로 역대 최저치로 떨어졌다. 하지만 외식비는 전년보다 2.3% 올랐다. 2014년(1.4%)보다 오히려 상승폭이 커졌다.
외식비는 전체 소비자물가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1.9%나 된다. 따라서 전체 물가는 통상 외식비와 같은 방향으로 움직였다. 하지만 지난해에는 경기가 부진하고 물가상승률이 둔화됐는데도 이례적으로 외식비만 급등세를 보였다.
여기엔 돼지고기, 소고기 등 축산물 가격이 급등한 게 큰 영향을 미쳤다. 지난해 축산물 가격은 3.4% 올라 최근 5년간 평균 상승률(1.0%)을 크게 웃돌았다. 소, 돼지 사육 마릿수가 줄어든 데다 유행병이 발생한 탓이다. 이 여파로 지난해 갈비탕 가격은 4.2% 치솟았고 삼겹살(3.1%), 설렁탕(3.0%), 돼지갈비(2.6%), 불고기(2.0%) 가격도 일제히 올랐다.
식당의 인건비 부담도 외식비를 끌어올렸다. 지난해 음식업종 1인당 임금 상승률은 2.3%로 2014년(1.0%)보다 크게 높아졌다. 인건비는 음식점 총 투입 비용의 21%를 차지해 그동안 식당 종업원 임금과 외식비는 대체로 비슷한 움직임을 보였다.
올해도 이 같은 외식비 상승세가 계속돼 서민들의 부담은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소고기 등 축산물 가격이 올해도 상승세를 이어가는 데다 최저임금이 올해 8.1% 인상되면서 임금도 전반적으로 오르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지난해 말부터 소주 출고가격이 5.5% 이상 인상돼 올해 음식점에서 판매되는 소주 값도 일제히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최강욱 한은 조사국 조사총괄팀 과장은 “올해 수요 부진이 이어지겠지만 소주 가격 등 공급 측면에서 비용 상승압력이 계속돼 외식비 상승폭은 더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저물가에도 외식비가 오르면서 지표상 물가와 체감 물가 간의 괴리가 커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앞서 한은은 경기 부침에 영향을 덜 받는 ‘경기 비(非)민감품목’들이 물가에 미치는 영향력이 커져 이런 현상이 심화됐다는 분석을 내놓기도 했다. 전기료·담뱃값·주차료·급식비·통신비 등 경기 비민감품목 200개가 근원인플레이션(농산물, 석유류를 제외한 물가상승률)에 기여한 비율은 지난해 56%로 2001∼2010년 평균(32%)보다 훨씬 높아졌다.
정임수 기자 imsoo@donga.com
소고기 등 축산물 가격 급등 영향… 소주값도 올라 서민부담 커질듯

소비자물가는 0%대로 바닥을 기는데도 외식비는 치솟아 서민들의 주머니 사정이 갈수록 팍팍해지고 있다. 경기침체에도 불구하고 고기 등 재료값과 인건비가 유난히 많이 올랐기 때문이다.
한국은행은 28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인플레이션 보고서’를 내놓았다. 보고서에 따르면 정부가 발표한 지난해 소비자물가상승률은 0.7%로 역대 최저치로 떨어졌다. 하지만 외식비는 전년보다 2.3% 올랐다. 2014년(1.4%)보다 오히려 상승폭이 커졌다.
외식비는 전체 소비자물가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1.9%나 된다. 따라서 전체 물가는 통상 외식비와 같은 방향으로 움직였다. 하지만 지난해에는 경기가 부진하고 물가상승률이 둔화됐는데도 이례적으로 외식비만 급등세를 보였다.
여기엔 돼지고기, 소고기 등 축산물 가격이 급등한 게 큰 영향을 미쳤다. 지난해 축산물 가격은 3.4% 올라 최근 5년간 평균 상승률(1.0%)을 크게 웃돌았다. 소, 돼지 사육 마릿수가 줄어든 데다 유행병이 발생한 탓이다. 이 여파로 지난해 갈비탕 가격은 4.2% 치솟았고 삼겹살(3.1%), 설렁탕(3.0%), 돼지갈비(2.6%), 불고기(2.0%) 가격도 일제히 올랐다.
식당의 인건비 부담도 외식비를 끌어올렸다. 지난해 음식업종 1인당 임금 상승률은 2.3%로 2014년(1.0%)보다 크게 높아졌다. 인건비는 음식점 총 투입 비용의 21%를 차지해 그동안 식당 종업원 임금과 외식비는 대체로 비슷한 움직임을 보였다.
올해도 이 같은 외식비 상승세가 계속돼 서민들의 부담은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소고기 등 축산물 가격이 올해도 상승세를 이어가는 데다 최저임금이 올해 8.1% 인상되면서 임금도 전반적으로 오르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지난해 말부터 소주 출고가격이 5.5% 이상 인상돼 올해 음식점에서 판매되는 소주 값도 일제히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최강욱 한은 조사국 조사총괄팀 과장은 “올해 수요 부진이 이어지겠지만 소주 가격 등 공급 측면에서 비용 상승압력이 계속돼 외식비 상승폭은 더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저물가에도 외식비가 오르면서 지표상 물가와 체감 물가 간의 괴리가 커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앞서 한은은 경기 부침에 영향을 덜 받는 ‘경기 비(非)민감품목’들이 물가에 미치는 영향력이 커져 이런 현상이 심화됐다는 분석을 내놓기도 했다. 전기료·담뱃값·주차료·급식비·통신비 등 경기 비민감품목 200개가 근원인플레이션(농산물, 석유류를 제외한 물가상승률)에 기여한 비율은 지난해 56%로 2001∼2010년 평균(32%)보다 훨씬 높아졌다.
정임수 기자 imsoo@donga.com
비즈N 탑기사
- 추위 피해 맨홀 안으로 들어간 노인, 반나절 만에 구조
- 스티브잡스 ‘친필 사인’ 수표, 최종 낙찰가 4800만원
- “호랑이 입에 저게 뭐야?”…신발 물고있는 모습에 굴 들어가보니
- “하루 버티면 1300만원”…전기 끊긴 마트서 45일 생존 남성, 6억 벌었다
- 이강인의 인기에 음바페도 ‘한글 유니폼’ 입고 뛰었다…‘파리 들썩’
- 빚 1억 남기고 실종 지적장애 男, 방송 직전에 극적 발견
- 위안부 피해자 손배 2심 승소…日언론들 신속 타전
- 美 북부 지역까지 위협하는 캐나다 야생 멧돼지…“퇴치 어려워”
- 부산도 옮았다…빈대 공포에 “코로나 때처럼 외출 자제”
- 꿀벌이 돌아온다…아까시꿀 생산량 평년比 51% ↑
- ‘청약 1순위’ 되려면 청약통장 예치액 확인하세요[부동산 빨간펜]
- 집값 하락에 가구 자산 사상 첫 감소…평균 순자산은 4억3500만원
- 치킨 튀기고, 수술 보조… 협동로봇, ‘일손’ 해결사로
- 높은 집값, 이자 부담에…20년 넘은 구축 아파트 거래 ‘쑥’
- ‘LA 대신 서울’…일본 여행객 ‘엔저’에 연말연시 짠테크 해외여행
- “‘킹산직’ 채용 또 온다”…현대차, 다음주 400명 추가 채용
- 80만원대 준프리미엄급 ‘갤럭시 S23 FE’ 출시
- 2025년 말엔 곤돌라로 남산 오른다
- 배우 조윤희, 14마리의 유기견을 품다
- 가구 자산 3.7% 줄고 부채는 0.2% 늘어… 팍팍해진 한국인 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