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S 남녀 화법차이, 여성이 이모티콘·문장부호 사용이 많은 이유는?
동아경제
입력 2015-05-08 17:23:00 수정 2015-05-08 17:26:45

SNS 남녀 화법차이, 여성이 이모티콘·문장부호 사용이 많은 이유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도 남녀의 화법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7일 계명대학교 국어교육과 박선우 교수가 현대문법연구에 게재한 논문 ‘SNS 모바일 텍스트의 언어학적 양성’에 따르면 여성이 남성보다 이모티콘과 문장부호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박선우 교수는 대표적 SNS인 페이스북에서 10대, 20대, 30대, 40대 이상의 댓글을 성별로 50개씩 총 400건을 수집해 그 차이를 분석했다.
그 결과, 텍스트 길이에는 남성이 평균 41.18바이트, 여성이 평균 41.61바이트로 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스마트폰이 아닌 휴대전화로 문자메시지를 보낼 때 여성의 텍스트가 남성의 텍스트보다 길었다는 과거 분석결과와 상반되는 결과다.
박 교수는 “길이에 상관없이 한 건당 30원씩 문자메시지 이용료가 부과되던 환경과 달리, 요즘은 패킷 단위로 데이터 요금을 부과하거나 무제한 요금제를 사용하기 때문에 한 번에 많은 정보를 전달하려고 노력하지 않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남녀의 차이가 확연히 드러난 것은 이모티콘과 문장부호 사용량이었다. 여성은 이모티콘이나 문장부호와 같은 비언어적, 시각적 기호를 많이 썼다. 페이스북 텍스트 한 건 당 남성은 평균 0.36자, 여성은 평균 0.90자의 이모티콘을 사용해 여성이 남성보다 2.5배 많은 이모티콘 문자를 쓴 셈이다.
!, ?, ~와 같은 문장부호 또한 여성이 평균 2.15자씩 사용해 1.37자를 쓴 남성보다 1.6배 사용량이 많았다. 박 교수는 “정보 전달보다는 사교적 기능이 강한 SNS에서 여성이 감정과 느낌을 시각적으로 전달하려는 경향이 남성보다 강하다”고 설명했다.
성별과 연령을 동시에 구분하면 20대 여성이 평균 1.58자로 이모티콘을 가장 많이 사용했고, 30대 여성이 문장부호를 평균 2.67자로 가장 자주 썼다.
여성이 이모티콘을 많이 썼다면 남성을 중심으로 나타나는 SNS 화법 특징은 사투리다.
대구 경북 지역에 거주하는 페이스북 사용자들의 글을 수집해보니 성별로는 남성이, 연령대별로는 20대가 지역어의 변이형을 자주 사용했다.
박 교수는 남성이 여성보다 지역어에 우호적이고, 여성이 남성보다 표준어 지향 태도가 뚜렷하기 때문이라는 분석을 내놨다.
동아경제 기사제보 eco@donga.com
비즈N 탑기사
- 정용진, 백종원 농가지원 요청에 ‘못난이 감자 30톤’ 구매
- 11월 극장에 무슨 일 있었나…1860만명 관람 역대 최고
- 비둘기 머리에 카우보이 모자 씌운 건 누구?
- ‘마약 혐의’ 홍정욱 딸 집행유예…法 “처벌 전력 없어”
- 교총 회장 “문재인 정부 교육정책 C학점…잘한 게 없다”
- 서울교대 ‘단톡방 성희롱’ 교사·재학생 징계 불복
- “바닥에 고인물 닦던 중 감전”…인천 헬스클럽 직원 부상
- 워너원 1명, 떨어질 멤버가 붙었다 ‘충격’…‘프듀’ 모든 시즌 투표 조작
- 조현병 환자 범죄율 낮지만 살인 비율은 일반인의 5배
- ‘유승준 비자소송’ 다시 대법으로… 주LA 총영사관, 재상고장 제출
- ‘뉴욕 여행 인증 술’ 토끼소주 한국서 만난다
- “빨래는 백조 세탁기에” “애니콜, 한국 지형에 강하다”
- 병원 자주 가면 실손보험료 할증 검토
- 대한항공, 임원 감축 이어 6년 만에 희망퇴직 실시…구조조정 본격화
- 소형 전기 트럭 시대 열렸다! 현대차, ‘포터II 일렉트릭’ 출시
- “재계의 큰별, 너무 일찍 가셔서 아쉬워”… 추모 발걸음 이어져
- "밟지 마 그건 쿠션이 아니라 니 형이란다"..쿠션에 낀 형 밟는 동생 댕댕이들
- “갇혔을 때 라이터 켜지 마세요”…겨울철 여행 안전수칙은?
- 자신이 만든 ‘가짜 세상’에 사는 사람들 [홍은심 기자의 낯선 바람]
- ‘조개 중 으뜸’ 새조개 대량생산 ‘활짝’…치패 생산량 10배 높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