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원상가~창덕궁~종묘’ 걷고싶은 거리로…역사 담은 보행길
뉴시스
입력 2020-11-23 11:19:00 수정 2020-11-23 11:20:58
4개길 1.9㎞ 구간…보도 폭 최대 2배 확장
역사문화행사 열리는 광장과 돌담길 조성

서울 창덕궁(돈화문로)~낙원상가(삼일대로)~종묘 일대를 아우르는 4개길, 총 1.9㎞ 구간이 역사가 어우러진 걷고 싶은 길로 재탄생했다.
조선시대부터 현대에 이르는 600년 역사를 압축적으로 품고 있지만 도로·건물이 들어서면서 주변과 단절되고 거리는 좁고 낙후해 발길이 뜸했던 곳이다.
서울시는 창덕궁 앞 일대를 보행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창덕궁 앞 도성한복판 주요가로 개선공사’를 이달 말 완료한다고 23일 밝혔다. 2018년 말 첫 삽을 뜬지 2년만이다.
이번 공사는 ‘창덕궁 앞 도성한복판 도시재생사업’의 하나이자 사대문 안 ‘녹색교통지역’을 보행·자전거·대중교통 중심공간으로 만드는 도로공간 재편사업과 연계해 추진됐다.
개선공사가 완료되는 4개길(총 1.9㎞)은 돈화문로(창덕궁~종로3가역, 800m), 서순라길(종묘 서측 담장 옆, 800m), 삼일대로(낙원상가 하부, 160m) 3개의 남북축과 이를 동서로 연결하는 돈화문10길(낙원상가~종묘, 140m)이다.
‘돈화문로’는 창덕궁의 정문인 돈화문에서 종로로 이어지는 조선시대 왕의 거둥길이자 정조대왕 능행차 재현행사의 출발지점이기도 하다. 역사적 특징을 살려 돈화문 앞 창덕궁삼거리부터 약 150m 구간은 차도와 보도 사이에 턱이 없는 광장 형태로 조성됐다. 시는 차로 폭을 최대 3m 줄이고(10m→7m로) 보행로 폭을 최대 6.5m까지 확대했다.
‘서순라길’은 종묘의 역사와 문화를 품은 옛길의 형태를 간직하고 있지만 보도 단절, 불법 주·정차, 적치물 등으로 걷기 불편한 거리였다.
시는 차량이 점령했던 차도를 확 줄여 보도 폭을 2배로(1.5m→3.0m) 넓혔다. 또 향후 주말에는 ‘차 없는 거리’로 운영될 수 있도록 다양한 행사를 위한 보행광장(500㎡)을 조성했다. 돌 포장 보행길을 만들어 종묘 돌담장의 고즈넉한 분위기와 어울리는 돌담길이 생겼다.
‘삼일대로(낙원상가)’는 인사동과 종묘로 가는 시민들이 보다 편안하게 오갈 수 있도록 낙후한 보행환경이 개선됐다. 낙원상가에서 종묘까지 동서를 잇는 보행로(돈화문로10길)는 폭은 2배로 넓어졌다.
낙원상가 하부 공간에는 조명이 설치됐다. 낙원상가 하부에 지난달 문을 연 ‘서울생활문화센터 낙원’은 음악·문화 애호가들의 활동공간으로 운영되고 있다.
‘돈화문로10길’은 낙원상가에서 돈화문로와 서순라길까지 동서로 연결하는 도로다. 시는 이 일대 가로 간 보행연결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차로 폭을 축소하고 보도 폭을 기존 2.5m에서 최대 2배로(5m) 확대했다.
류훈 서울시 도시재생실장은 “이번 사업은 창덕궁 앞 일대 좁고 불편했던 거리를 보행자 중심의 걷기 편한 거리로 개선하는 것”이라며 “한양도성 한복판에 역사와 문화가 어우러진 활력 넘치는 명품거리로 변모해 시민과 관광객의 발길이 이어지길 바란다”고 말했다.
[서울=뉴시스]
역사문화행사 열리는 광장과 돌담길 조성

서울 창덕궁(돈화문로)~낙원상가(삼일대로)~종묘 일대를 아우르는 4개길, 총 1.9㎞ 구간이 역사가 어우러진 걷고 싶은 길로 재탄생했다.
조선시대부터 현대에 이르는 600년 역사를 압축적으로 품고 있지만 도로·건물이 들어서면서 주변과 단절되고 거리는 좁고 낙후해 발길이 뜸했던 곳이다.
서울시는 창덕궁 앞 일대를 보행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창덕궁 앞 도성한복판 주요가로 개선공사’를 이달 말 완료한다고 23일 밝혔다. 2018년 말 첫 삽을 뜬지 2년만이다.
이번 공사는 ‘창덕궁 앞 도성한복판 도시재생사업’의 하나이자 사대문 안 ‘녹색교통지역’을 보행·자전거·대중교통 중심공간으로 만드는 도로공간 재편사업과 연계해 추진됐다.
개선공사가 완료되는 4개길(총 1.9㎞)은 돈화문로(창덕궁~종로3가역, 800m), 서순라길(종묘 서측 담장 옆, 800m), 삼일대로(낙원상가 하부, 160m) 3개의 남북축과 이를 동서로 연결하는 돈화문10길(낙원상가~종묘, 140m)이다.
‘돈화문로’는 창덕궁의 정문인 돈화문에서 종로로 이어지는 조선시대 왕의 거둥길이자 정조대왕 능행차 재현행사의 출발지점이기도 하다. 역사적 특징을 살려 돈화문 앞 창덕궁삼거리부터 약 150m 구간은 차도와 보도 사이에 턱이 없는 광장 형태로 조성됐다. 시는 차로 폭을 최대 3m 줄이고(10m→7m로) 보행로 폭을 최대 6.5m까지 확대했다.
‘서순라길’은 종묘의 역사와 문화를 품은 옛길의 형태를 간직하고 있지만 보도 단절, 불법 주·정차, 적치물 등으로 걷기 불편한 거리였다.
시는 차량이 점령했던 차도를 확 줄여 보도 폭을 2배로(1.5m→3.0m) 넓혔다. 또 향후 주말에는 ‘차 없는 거리’로 운영될 수 있도록 다양한 행사를 위한 보행광장(500㎡)을 조성했다. 돌 포장 보행길을 만들어 종묘 돌담장의 고즈넉한 분위기와 어울리는 돌담길이 생겼다.
‘삼일대로(낙원상가)’는 인사동과 종묘로 가는 시민들이 보다 편안하게 오갈 수 있도록 낙후한 보행환경이 개선됐다. 낙원상가에서 종묘까지 동서를 잇는 보행로(돈화문로10길)는 폭은 2배로 넓어졌다.
낙원상가 하부 공간에는 조명이 설치됐다. 낙원상가 하부에 지난달 문을 연 ‘서울생활문화센터 낙원’은 음악·문화 애호가들의 활동공간으로 운영되고 있다.
‘돈화문로10길’은 낙원상가에서 돈화문로와 서순라길까지 동서로 연결하는 도로다. 시는 이 일대 가로 간 보행연결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차로 폭을 축소하고 보도 폭을 기존 2.5m에서 최대 2배로(5m) 확대했다.
류훈 서울시 도시재생실장은 “이번 사업은 창덕궁 앞 일대 좁고 불편했던 거리를 보행자 중심의 걷기 편한 거리로 개선하는 것”이라며 “한양도성 한복판에 역사와 문화가 어우러진 활력 넘치는 명품거리로 변모해 시민과 관광객의 발길이 이어지길 바란다”고 말했다.
[서울=뉴시스]
비즈N 탑기사
- 한의사협회, ‘코로나에 고춧대 특효’한의사 징계 요청 절차
- 가수 휘성, 프로포폴 투약 혐의 대부분 인정
- ‘도시어부2’ 김준현, 감성돔 43㎝ 낚아 짜릿한 전율
- 카지노 145억 사건 입닫은 경찰…피해 업체는 괴소문 속앓이
- 술 취해 7살 아들 폭행하고 맨발로 내쫓은 아빠 실형 선고
- “살고 싶다면 따라와” 백신맞은 74세 터미네이터가 한 말
- 바이든 취임복장은 ‘아메리칸 클래식’ 랄프로렌 정장
- 안철수 “조국, 마지막 양심 있다면 직접 딸 의료행위 막아야”
- “법무부 이건 아니잖아요” 박준영, 추미애·정한중 직격 비판
- 코로나 이겨내고 106세 생일 맞은 英할머니
- [단독]구광모 “올해부터 ‘덧셈 경영’”… 대대적 사업재편 예고
- 베트남 폭설 “눈 처음 본 베트남 사람들 반응이…”
- 설 장바구니 물가 ‘비상’…계란 한판에 사과 10개 ‘4만원’
- “고액 기준 얼마냐”… 신용대출 원금 분할상환 의무화 혼란
- 삼각별 전기차 저변 확대… 벤츠, 소형 SUV 전기차 ‘EQA’ 공개
- 서울 아파트 5채 중 1채는 ‘15억’ 초과…‘주택담보대출’ 안된다
- 4차 재난지원금 “선별 지급” 47%…“전국민 지급” 32%
- ‘반도체·차’ 수출 이끈다…“3개월 연속 상승 이어갈 듯”
- 신동빈 “확 바꿔라”… 디지털 전환 매주 현장 점검
- “은밀하고 사적인 럭셔리 경험”… 벤틀리, 새로워진 ‘벤테이가’ 국내 첫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