헝다 채권 발행 금지, 주가 20% 폭락…부동산 위기 다시 고조
뉴스1
입력 2023-09-25 13:27 수정 2023-09-25 13:28
중국 당국이 헝다의 새로운 채권 발행 중지를 명령하고, 해외 채권단 회의가 연기됨에 따라 25일 홍콩증시에서 헝다의 주가가 20% 이상 폭락하는 등 중국 부동산 위기가 다시 고조되고 있다.
전일 헝다 그룹은 “핵심 자회사 헝다부동산이 정보 공시 위반 혐의로 증권 당국의 조사를 받고 있기 때문에 현재 상황에선 신규 채권을 발행하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신규 채권을 발행해 부채를 상환하려던 헝다의 회생 계획에 차질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이뿐 아니라 25~26일 예정됐던 역외채권 재조정을 위한 채권자 협의를 다시 연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화권 매체들은 역외채권 재조정을 위한 협의가 연기됨에 따라 헝다의 회생 가능성이 더욱 낮아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헝다는 317억 달러(약 42조4000억원)의 역외채권의 재조정을 위한 채권단과 협상에서 난항을 거듭하고 있다. 이에 따라 관련 회의도 연기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소식이 전해지자 25일 오전 홍콩증시에서 헝다의 주가는 전거래일보다 20% 폭락한 44 홍콩센트를 기록하고 있다. 헝다의 주가가 폭락함에 따라 홍콩의 벤치마크지수인 항셍지수도 1.52% 급락하고 있다.
이뿐 아니라 블룸버그통신이 추산하는 부동산 지수도 6.4% 급락하고 있다.
(서울=뉴스1)
전일 헝다 그룹은 “핵심 자회사 헝다부동산이 정보 공시 위반 혐의로 증권 당국의 조사를 받고 있기 때문에 현재 상황에선 신규 채권을 발행하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신규 채권을 발행해 부채를 상환하려던 헝다의 회생 계획에 차질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이뿐 아니라 25~26일 예정됐던 역외채권 재조정을 위한 채권자 협의를 다시 연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화권 매체들은 역외채권 재조정을 위한 협의가 연기됨에 따라 헝다의 회생 가능성이 더욱 낮아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헝다는 317억 달러(약 42조4000억원)의 역외채권의 재조정을 위한 채권단과 협상에서 난항을 거듭하고 있다. 이에 따라 관련 회의도 연기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소식이 전해지자 25일 오전 홍콩증시에서 헝다의 주가는 전거래일보다 20% 폭락한 44 홍콩센트를 기록하고 있다. 헝다의 주가가 폭락함에 따라 홍콩의 벤치마크지수인 항셍지수도 1.52% 급락하고 있다.
이뿐 아니라 블룸버그통신이 추산하는 부동산 지수도 6.4% 급락하고 있다.
(서울=뉴스1)
비즈N 탑기사
- 위안부 피해자 손배 2심 승소…日언론들 신속 타전
- 美 북부 지역까지 위협하는 캐나다 야생 멧돼지…“퇴치 어려워”
- 부산도 옮았다…빈대 공포에 “코로나 때처럼 외출 자제”
- 꿀벌이 돌아온다…아까시꿀 생산량 평년比 51% ↑
- 식중독균 살모넬라 검출 ‘눈꽃치즈 불닭’…판매중단·회수
- 김동연 “김포 서울 편입은 국토 갈라치기…총선 전략이면 자충수”
- 경찰, 대학가 ‘마약 광고 전단’ 살포 40대 구속 송치
- “결혼 왜 못하니?” 전처 이혜영 영상편지에…이상민 ‘답장’ 진땀
- 이동국 “내 이름 사칭해 투자 유도한 유튜브 제작자 잠적”
- 장서희 “이상형? 외모 보고 만나면 고생길…결혼 생각은 늘 있다”
- “밥값·집값 버거워서” 독립 포기, 부모님 집으로…늘어나는 ‘리터루족’
- “연말 빛 축제, 서울에서 즐기세요”
- ‘생숙’ 소유자들 벌금 피하기 편법… 숙박 협동조합 설립 나서
- 한동훈 “전세사기 저지르면 20년은 감옥 가게 될 것”
- ‘신생아 특공’ 연간 7만채 공급… 맞벌이 소득 기준도 완화
- 전국 ‘악성 미분양’ 1만가구 넘었다…한 달 새 7.5% 늘어
- 실시간 여행지 정보 플랫폼 ‘메타라이브’, 겨울 필수 여행지 인증샷 이벤트 진행
- 올해 서울 빌라 월세 거래량 5만 건 넘어…역대 최다
- 전국 미분양 10개월 만에 6만채 밑으로… “시장 침체에 분양 자체 줄어”
- 한국인, 27세부터 ‘흑자 인생’… 43세 정점 찍고 61세 적자 전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