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일 아기가 4억 자산가… 코로나가 키운 ‘富의 대물림’
신나리 기자
입력 2020-11-26 03:00:00 수정 2020-11-26 03:00:00
[코로나가 할퀸 삶]불황에도 집값 뛰자 증여 서둘러
상반기 서울 아파트 증여 1만4781건
8년만에 최대… 작년 전체보다 많아
강남 3구 증여 열풍 특히 두드러져

국내에서 손꼽히는 기술력을 보유한 중소기업 대표 A 씨(67)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경영난을 겪었다. 3월 재무상태가 나빠지고 주가가 떨어지자 A 씨는 보유 자산 정리에 나섰다. 태어난 지 석 달된 어린 손자에게 수십억 원대 자산 중 4억 원 상당의 주식과 건물 지분 일부를 증여했다. 보유 주식 가치가 폭락해 주식을 증여해도 세금 부담이 줄었다는 점을 이용한 것이다. A 씨 덕분에 손자는 영문도 모르고 말 그대로 ‘금수저’가 됐다. A 씨는 “우리 정서상 미성년인 손자에게 수억 원을 증여한다는 비난을 이해하지 못하는 건 아니지만 코로나19 같은 위기가 또 언제 닥칠지 모르니 여유가 되고 증여할 수 있을 때 정리해 두는 게 낫다고 생각했다”고 했다.
A 씨처럼 코로나19 위기 속에서 자산을 자녀에게 넘기는 부의 대물림이 크게 늘고 있다. 하나금융그룹이 최근 내놓은 ‘법원 등기 데이터를 활용한 국내 부동산 거래 트렌드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1∼6월) 서울시내 집합건물(아파트) 증여는 1만4781건으로 2012년 이후 가장 많았다. 지난 한 해 증여 건수(1만1778건)보다 약 3000건이 더 늘어난 것이다. 자산가치가 하락하자 적극적으로 증여에 나선 것으로 해석된다.
코로나19 재확산 이후인 하반기에도 증여 열풍은 진행형이다. 한국감정평가원에 따르면 10월 말 기준 올해 전체 서울시 아파트 증여 건수는 1만9108건이다. 특히 하반기 들어 증여가 급증세를 보이고 있다. 상반기 월평균 1398건에서 하반기엔 2679건으로 갑절 가까이로 늘었다. 매매 건수가 상반기 8050건에서 하반기 7999건으로 소폭 하락한 것과는 대조적이다. 8∼10월 석 달간 매매 대비 평균 증여 비율은 46%에 이른다. 다주택자 세금을 피하기 위해 미리 증여를 하고 자산을 분산시키려는 자산가들이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이 같은 ‘증여 몰림’ 현상은 집값이 강세를 보인 서울 강남권에서 특히 두드러진다. 강남 3구(강남, 서초, 송파)의 8, 9월 증여 건수는 각각 1092, 1037건으로 같은 달 매매 건수(각각 1073, 770건)보다 많았다. 전반적으로 주택 거래가 침체됐던 10월에도 강남 3구의 증여율은 매매 대비 88.5%로 조사됐다. 조경엽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장은 “‘내 재산을 지키자’ ‘내 자식에게 물려줘서 기본이라도 갖춰 살게 해주자’는 게 현재 사회적 분위기”라며 “불로소득에 대해 더 과감한 세금을 매겨야 한다는 목소리가 더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신나리 기자 journari@donga.com
상반기 서울 아파트 증여 1만4781건
8년만에 최대… 작년 전체보다 많아
강남 3구 증여 열풍 특히 두드러져

A 씨처럼 코로나19 위기 속에서 자산을 자녀에게 넘기는 부의 대물림이 크게 늘고 있다. 하나금융그룹이 최근 내놓은 ‘법원 등기 데이터를 활용한 국내 부동산 거래 트렌드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1∼6월) 서울시내 집합건물(아파트) 증여는 1만4781건으로 2012년 이후 가장 많았다. 지난 한 해 증여 건수(1만1778건)보다 약 3000건이 더 늘어난 것이다. 자산가치가 하락하자 적극적으로 증여에 나선 것으로 해석된다.
코로나19 재확산 이후인 하반기에도 증여 열풍은 진행형이다. 한국감정평가원에 따르면 10월 말 기준 올해 전체 서울시 아파트 증여 건수는 1만9108건이다. 특히 하반기 들어 증여가 급증세를 보이고 있다. 상반기 월평균 1398건에서 하반기엔 2679건으로 갑절 가까이로 늘었다. 매매 건수가 상반기 8050건에서 하반기 7999건으로 소폭 하락한 것과는 대조적이다. 8∼10월 석 달간 매매 대비 평균 증여 비율은 46%에 이른다. 다주택자 세금을 피하기 위해 미리 증여를 하고 자산을 분산시키려는 자산가들이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이 같은 ‘증여 몰림’ 현상은 집값이 강세를 보인 서울 강남권에서 특히 두드러진다. 강남 3구(강남, 서초, 송파)의 8, 9월 증여 건수는 각각 1092, 1037건으로 같은 달 매매 건수(각각 1073, 770건)보다 많았다. 전반적으로 주택 거래가 침체됐던 10월에도 강남 3구의 증여율은 매매 대비 88.5%로 조사됐다. 조경엽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장은 “‘내 재산을 지키자’ ‘내 자식에게 물려줘서 기본이라도 갖춰 살게 해주자’는 게 현재 사회적 분위기”라며 “불로소득에 대해 더 과감한 세금을 매겨야 한다는 목소리가 더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신나리 기자 journari@donga.com
비즈N 탑기사
- “연어야 돌아와~” 섬진강에 어린연어 50만 마리 방류
- 함소원, 이혼설 이어지자 “제발 그만해달라”
- 광복회, 윤서인에 위자료 청구 소송…“망언 못하게 할것”
- 100년 만에 경매에 나온 고흐의 ‘몽마르트 거리 풍경’
- “환자 죽으면 책임진다”던 택시기사, 7년 구형에 울먹
- 김원희 “남동생 사칭 조심…범인 알지만 신고 못하는 이유 있어”
- 나눔-봉사로 어려운 이웃에 행복 선물, 올해도 착한 행보 이어가는 하이트진로
- 뭉크 ‘절규’에 적힌 손글씨, 미스터리 풀렸다
- “엄마가 지켜줄게”… 참물범의 모성애
- 홀로코스트 생존자 집 찾은 교황 “나치에 학살된 사람들에게 경의”
- 해고당했을 때만 실업급여 신청? ‘자발적 사직’도 받을 수 있어요
- 생각보다 빨리 온 인구감소… 코로나 출산 감소는 이제 시작[인사이드&인사이트]
- 메르세데스벤츠, ‘신형 C클래스’ 공개… 전 모델 전동화 완성
- 대주주 독주 막자는 ‘3%룰’이 친족간 경영권분쟁 변수로
- 연기금, 42일째 순매도 행진… 24조 더 판다
- 소호몰-로드숍 품고 MZ세대 공략… 젊어지는 온라인몰
- 극장 결제액 줄자… 카드사, 1분 만에 “넷플릭스 어때요?”
- ‘검은 사막’ 대히트 펄어비스 “붉은 사막으로 다시 퀀텀 점프”
- 온라인 유통 ‘마른 김’에서 사카린나트륨 검출…해당 제품 판매중단·회수
- “미분양 걱정해야 할판” “서남권 개발 신호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