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리콘밸리선 근면-성실 어필하지 마세요”
김하경 기자
입력 2022-09-28 03:00 수정 2022-09-28 11:15
실리콘밸리 취업 경험담 등 공유
27일 스타트업얼라이언스 주최로 열린 ‘실리콘밸리의 한국인 2022’에서 커리어 세션 참석 연사들이 자신의 경험을 공유하고 있다.
왼쪽부터 △임효지 엔비디아 산업디자이너 △곽수정 메타 음악 에디터 △김혜진 로블록스 프로젝트 매니저 △하대웅 AWS Head
of Product(사업총괄). 스타트업얼라이언스 제공
“면접을 보러 갔더니 ‘나’와 ‘회사’의 관계, 내 인생의 커리어 방향과 회사 미션의 관계를 계속 물어보더라고요. 임기응변식으로 대답하기에는 어려운 질문이었습니다.”
27일 경기 성남시 네이버 그린팩토리에서 스타트업얼라이언스 주최로 열린 ‘실리콘밸리의 한국인 2022’. 10명의 연사 중 한 명인 김혜진 로블록스 프로젝트매니저(PM)는 실리콘밸리에서의 과거 자신의 취업 실패 경험을 소개했다. 커리어, 트렌드, 창업가 등 3가지 세션으로 진행된 이날 행사는 실리콘밸리에서 활동하는 한국인들이 나와 창업과 스타트업, 글로벌 정보기술(IT) 기업에서의 커리어, 조직문화 등을 소개했다.
한국 대학에서 교육학과 영문학을 전공한 김 PM은 영어교사를 꿈꿨지만 결혼하면서 박사과정을 시작한 남편을 따라 미국에 갔다. 현지에서 정보학과 간호학 공부 등 다양한 도전을 하며 새로운 적성을 찾아 나갔다. 코딩 부트캠프를 수료한 뒤 적성을 명확히 찾았지만 무턱대고 입사 지원을 하다 보니 면접에서 번번이 고배를 마셨다.
그는 “회사가 원하는 대로 언제든 유연하게 쓰이는 인재가 되는 게 중요하다 생각해서 면접 때 근면, 성실, 충성심을 어필했는데 그것이 실패 요인이었다”며 “나 자신과, 회사의 필요를 이해하면서 비로소 나와 핏(fit)이 맞는 회사를 찾게 됐다”고 말했다.
또 다른 연사인 곽수정 메타 음악에디터는 실리콘밸리에서의 소통 문화를 공유했다. 다양한 분야의 조직원들이 모여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만큼 소통이 핵심으로 여겨진다. 그는 “실리콘밸리 기업들은 대화 기회를 정말 많이 준다”며 “동료와 믿음을 쌓으면 다른 네트워킹에서 내가 핵심 플레이어가 되기도 한다”고 말했다. 이어 “매니저에게 내가 프로젝트에서 어느 정도 기여를 하고 있는지, 이후 목표는 무엇인지 구체적이고 적극적으로 말하는 것도 중요하다”며 “여러 번 프로젝트를 성공시켜서 승진을 할 줄 알았는데 아무런 소식이 없어 기다리다 매니저에게 물으니 ‘네가 그걸(승진을) 원하는지 몰랐다’고 했다”고 말했다.
실리콘밸리에서는 진취성이 제일 큰 덕목이다. 하대웅 AWS 사업총괄은 “학벌이 중요하지만 패자 부활 문화가 잘돼 있고 최종 결과물에 관심이 많은 것이 미국”이라고 말했다. 이어 “얼마나 진취적인 의지를 갖고 본인의 삶을 적극적으로 개척해 나가는지를 중시하는 분위기”라고 설명했다.
김하경 기자 whatsup@donga.com

“면접을 보러 갔더니 ‘나’와 ‘회사’의 관계, 내 인생의 커리어 방향과 회사 미션의 관계를 계속 물어보더라고요. 임기응변식으로 대답하기에는 어려운 질문이었습니다.”
27일 경기 성남시 네이버 그린팩토리에서 스타트업얼라이언스 주최로 열린 ‘실리콘밸리의 한국인 2022’. 10명의 연사 중 한 명인 김혜진 로블록스 프로젝트매니저(PM)는 실리콘밸리에서의 과거 자신의 취업 실패 경험을 소개했다. 커리어, 트렌드, 창업가 등 3가지 세션으로 진행된 이날 행사는 실리콘밸리에서 활동하는 한국인들이 나와 창업과 스타트업, 글로벌 정보기술(IT) 기업에서의 커리어, 조직문화 등을 소개했다.
한국 대학에서 교육학과 영문학을 전공한 김 PM은 영어교사를 꿈꿨지만 결혼하면서 박사과정을 시작한 남편을 따라 미국에 갔다. 현지에서 정보학과 간호학 공부 등 다양한 도전을 하며 새로운 적성을 찾아 나갔다. 코딩 부트캠프를 수료한 뒤 적성을 명확히 찾았지만 무턱대고 입사 지원을 하다 보니 면접에서 번번이 고배를 마셨다.
그는 “회사가 원하는 대로 언제든 유연하게 쓰이는 인재가 되는 게 중요하다 생각해서 면접 때 근면, 성실, 충성심을 어필했는데 그것이 실패 요인이었다”며 “나 자신과, 회사의 필요를 이해하면서 비로소 나와 핏(fit)이 맞는 회사를 찾게 됐다”고 말했다.
또 다른 연사인 곽수정 메타 음악에디터는 실리콘밸리에서의 소통 문화를 공유했다. 다양한 분야의 조직원들이 모여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만큼 소통이 핵심으로 여겨진다. 그는 “실리콘밸리 기업들은 대화 기회를 정말 많이 준다”며 “동료와 믿음을 쌓으면 다른 네트워킹에서 내가 핵심 플레이어가 되기도 한다”고 말했다. 이어 “매니저에게 내가 프로젝트에서 어느 정도 기여를 하고 있는지, 이후 목표는 무엇인지 구체적이고 적극적으로 말하는 것도 중요하다”며 “여러 번 프로젝트를 성공시켜서 승진을 할 줄 알았는데 아무런 소식이 없어 기다리다 매니저에게 물으니 ‘네가 그걸(승진을) 원하는지 몰랐다’고 했다”고 말했다.
실리콘밸리에서는 진취성이 제일 큰 덕목이다. 하대웅 AWS 사업총괄은 “학벌이 중요하지만 패자 부활 문화가 잘돼 있고 최종 결과물에 관심이 많은 것이 미국”이라고 말했다. 이어 “얼마나 진취적인 의지를 갖고 본인의 삶을 적극적으로 개척해 나가는지를 중시하는 분위기”라고 설명했다.
김하경 기자 whatsup@donga.com
비즈N 탑기사
- 위안부 피해자 손배 2심 승소…日언론들 신속 타전
- 美 북부 지역까지 위협하는 캐나다 야생 멧돼지…“퇴치 어려워”
- 부산도 옮았다…빈대 공포에 “코로나 때처럼 외출 자제”
- 꿀벌이 돌아온다…아까시꿀 생산량 평년比 51% ↑
- 식중독균 살모넬라 검출 ‘눈꽃치즈 불닭’…판매중단·회수
- 김동연 “김포 서울 편입은 국토 갈라치기…총선 전략이면 자충수”
- 경찰, 대학가 ‘마약 광고 전단’ 살포 40대 구속 송치
- “결혼 왜 못하니?” 전처 이혜영 영상편지에…이상민 ‘답장’ 진땀
- 이동국 “내 이름 사칭해 투자 유도한 유튜브 제작자 잠적”
- 장서희 “이상형? 외모 보고 만나면 고생길…결혼 생각은 늘 있다”
- “밥값·집값 버거워서” 독립 포기, 부모님 집으로…늘어나는 ‘리터루족’
- “연말 빛 축제, 서울에서 즐기세요”
- ‘생숙’ 소유자들 벌금 피하기 편법… 숙박 협동조합 설립 나서
- 한동훈 “전세사기 저지르면 20년은 감옥 가게 될 것”
- ‘신생아 특공’ 연간 7만채 공급… 맞벌이 소득 기준도 완화
- 전국 ‘악성 미분양’ 1만가구 넘었다…한 달 새 7.5% 늘어
- 실시간 여행지 정보 플랫폼 ‘메타라이브’, 겨울 필수 여행지 인증샷 이벤트 진행
- 올해 서울 빌라 월세 거래량 5만 건 넘어…역대 최다
- 전국 미분양 10개월 만에 6만채 밑으로… “시장 침체에 분양 자체 줄어”
- 한국인, 27세부터 ‘흑자 인생’… 43세 정점 찍고 61세 적자 전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