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윳값 인상에 ‘밀크플레이션’ 현실화…카페·빵집 ‘눈치싸움’ 돌입
뉴스1
입력 2022-11-22 07:27 수정 2022-11-22 07:27

원유 가격 인상으로 인한 유업체들의 우윳값 조정이 마무리 된 가운데 원윳값 인상 여파가 확산될 전망이다. 커피와 빵, 아이스크림 등 우유를 원재료로 사용하는 제품 가격이 연쇄적으로 오르는 이른바 ‘밀크플레이션’이 현실화하면 소비자들의 부담은 가중될 것으로 예상된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대형 프랜차이즈 카페와 빵집을 비롯한 관련 업체들은 “우윳값 인상에 따른 영향이 있을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가장 먼저 가격 조정에 나설 것으로 보이는 건 이디야커피다. 이디야커피는 원윳값 조정 전인 지난 11월부로 가격 조정을 발표했다가 잠정 보류했다. 가맹점주들과 회의를 진행한 결과 제반 요인들을 재점검하기로 하면서다.
당시 이디야커피는 음료 90종 중 57종의 가격을 최대 700원 상향 조정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디야커피가 가격 인상을 보류하면서 “올해를 넘기지 않도록 하겠다”고 한 점을 고려하면 조만간 가격 인상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우유를 대량으로 계약해 사용하는 대형 프랜차이즈 업체들은 당장은 영향이 없을 것이라는 입장이다. 다만 장기적으로 우윳값 조정에 따른 가격 인상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내비쳤다.
한 프랜차이즈 카페 관계자는 “우윳값 인상 외에도 기타 원부자재 가격 인상 등 요인은 많다”면서도 “우유 가격이 올랐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영향이 없을 순 없다”고 귀띔했다.
더욱이 올해엔 우윳값 조정 외에도 물류비, 인건비, 원부자재 가격 등이 예년보다 큰 폭으로 올라 업체들의 부담이 많이 쌓인 상황이다.
특히 개인 카페를 중심으로 우윳값 인상에 따른 후폭풍이 거셀 것으로 보인다. 대량 계약을 맺는 대형 프랜차이즈 카페들에 반해 개인 카페나 빵집은 주로 유업체들의 대리점에서 우유를 조달한다. 유업체들의 출고가 인상에 따라 대리점 납품가격이 12월부터 인상되면 개인 카페에서부터 밀크플레이션 현상이 두드러질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 시내에서 개인 카페를 운영하는 A씨는 “우윳값이 인상됐다는 뉴스는 봤지만 아직까진 피부로 느끼지 못하고 있다”면서도 “다음 물량을 들여올 때 반영된다면 음료 가격에도 변동이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토로했다.
한편 지난 4일 원유 1L당 49원 인상이 결정되면서 유업체들은 일제히 우윳값을 올렸다. 서울우유협동조합은 흰 우유 1000㎖의 제품 가격을 6.6% 인상하면서 대형마트 기준 2710원에서 2800원 후반대로 형성됐다. 매일유업은 흰 우유 900㎖ 제품 가격을 2610원에서 2860원으로 9.57%, 남양유업 역시 900㎖ 기준 2650원에서 2880원으로 8.67% 각각 올렸다.
(서울=뉴스1)
비즈N 탑기사
- 위안부 피해자 손배 2심 승소…日언론들 신속 타전
- 美 북부 지역까지 위협하는 캐나다 야생 멧돼지…“퇴치 어려워”
- 부산도 옮았다…빈대 공포에 “코로나 때처럼 외출 자제”
- 꿀벌이 돌아온다…아까시꿀 생산량 평년比 51% ↑
- 식중독균 살모넬라 검출 ‘눈꽃치즈 불닭’…판매중단·회수
- 김동연 “김포 서울 편입은 국토 갈라치기…총선 전략이면 자충수”
- 경찰, 대학가 ‘마약 광고 전단’ 살포 40대 구속 송치
- “결혼 왜 못하니?” 전처 이혜영 영상편지에…이상민 ‘답장’ 진땀
- 이동국 “내 이름 사칭해 투자 유도한 유튜브 제작자 잠적”
- 장서희 “이상형? 외모 보고 만나면 고생길…결혼 생각은 늘 있다”
- 한동훈 “전세사기 저지르면 20년은 감옥 가게 될 것”
- 전국 미분양 10개월 만에 6만채 밑으로… “시장 침체에 분양 자체 줄어”
- “연말 빛 축제, 서울에서 즐기세요”
- “소주 가격 떨어지나” 기준판매비율 도입 환영…식당 판매가는 “글쎄”
- 실시간 여행지 정보 플랫폼 ‘메타라이브’, 겨울 필수 여행지 인증샷 이벤트 진행
- 재건축 갈등 대처, 위법 여부 꼼꼼히 따져야[부동산 빨간펜]
- ‘한국의 아마존’ 꿈꾸던 11번가 휘청… 매각 주도권마저 잃었다
- 제주드림타워 복합리조트, 11월 호텔 실적 전년比 17%↑… 외국인 비중 ‘10%→60%’
- ‘709억 수원 전세사기’ 정씨 부부 구속…아들은 기각
- 페북·인스타 ‘인증배지’ 월 3만5900원…한국에도 도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