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규제 효과? 강남권 아파트 매수세 2달만에 꺾여
윤명진 기자
입력 2025-07-04 14:18 수정 2025-07-04 14:31

4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6월 다섯째 주 기준 서울 동남권(강남·서초·송파·강동구) 매매수급지수는 108.8로 나타났다. 이는 전주(111.2) 대비 2.4포인트 하락한 수치로, 8주 만에 하락세다. 서울 집값 상승을 주도하는 동남권 지역의 매매수급지수는 5월 첫째 주 100.8을 기록한 이후 상승세를 이어가며 6월 넷째 주에는 111.2까지 치솟았다.
매매수급지수는 수요와 공급 비중을 점수화한 것으로 지수가 기준선 100보다 크면 집을 매수하려는 수요가 매도하려는 수요보다 더 크다는 의미다. 지난달 27일 정부가 수도권과 규제 지역의 주택담보대출 최대한도를 6억 원으로 제한하는 초강수 대출 규제를 발표하자 매수자들이 관망세를 보이면서 지수가 하락한 것으로 해석된다.
서울 전체의 아파트 매매수급지수 상승세도 8주 만에 꺾였다. 6월 다섯째 주 서울의 매매수급지수는 103.7로 전주(104.2)보다 0.5포인트 하락했다. 전주 대비 상승 폭이 줄어든 것은 5월 첫째 주 98.1을 기록한 이후 처음이다.
매수 심리 위축은 다른 통계에서도 드러난다. KB부동산이 전날 발표한 지난달 30일 기준 주간아파트시장동향에선 서울의 매수우위지수는 76.4로 전주(99.3)보다 22.9포인트나 내렸다. 4월 둘째 주부터 11주 연속 상승 흐름을 보이다가 하락세로 전환됐다. 특히 권역별로는 강북 14개 구 69.7, 강남 11개 구 82.3으로 각각 전주 대비 18.9포인트, 26.6포인트 하락해 강남권의 매수 흐름이 큰 폭으로 꺾였다. 매수우위지수는 100 미만일 경우 매도자가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윤명진 기자 mjlight@donga.com
- ‘책 출간’ 한동훈, 정계 복귀 움직임에 테마株 강세
- 조선 후기 화가 신명연 ‘화훼도 병풍’ 기념우표 발행
- 붕괴 교량과 동일·유사 공법 3곳 공사 전면 중지
- 명동 ‘위조 명품’ 판매 일당 덜미…SNS로 관광객 속였다
- “나대는 것 같아 안올렸는데”…기안84 ‘100 챌린지’ 뭐길래
- ‘전참시’ 이연희, 득녀 5개월만 복귀 일상…아침 산책+운동 루틴
- 국내 기술로 개발한 ‘한국형 잠수함’ 기념우표 발행
- ‘아파트 지하주차장서 음주운전’ 인천시의원 송치
- 학령인구 감소 탓에 도심지 초교마저 학급 편성 ‘비상’
- 상속인 행세하며 100억 원 갈취한 사기꾼 일당 붙잡혀
- 여름철 맥주, 통풍 부른다…무알코올 맥주도 안심 못해
- “베르사유 5만원 vs 경복궁 3000원”…스스로 가치 깎는 한국관광
- ‘1도의 마법’… 방신실, 아이언 로프트 각도 높여 정확도 잡았다
- 李정부 첫 세법개정 핵심은 증시 부양용 ‘배당소득 분리과세’
- 비트코인 신고가, 알트코인도 폭등…스텔라 18%-헤데라 17%
- 연이은 호재에 자산시장은 활황…3000조 국내 증시, 꽃길 이어질까[D’s 위클리 픽]
- 이재용, 美 선밸리 콘퍼런스 참석후 귀국…“하반기 열심히 하겠다”
- 누리호발사 3년 공백, 고숙련 인력 대 끊길 우려[IT팀의 테크워치]
- 서울 아파트 ‘26억 이상’ 거래 최다 증가… 상반기 강남-마포 등 ‘똘똘한 한 채’ 선호
- 올해 기업 여름휴가 평균 3.7일…대기업은 ‘5일 이상’ 많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