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나빠도 명품 주얼리·시계는 ‘훨훨’…百, 매장 4배로 늘리고 브랜드 확대
김다연 기자
입력 2025-05-18 14:35 수정 2025-05-18 14:43
초고가 해외 명품 주얼리·시계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유통업계도 관련 카테고리 경쟁력 강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롯데면세점은 프랑스 주얼리 브랜드 ‘부셰론’의 명동 본점 매장을 재단장했다고 18일 밝혔다. 매장은 기존 11층에서 10층으로 이전하고, 규모도 약 66㎡(20평)로 확장해 이전보다 4배가량 넓어졌다. 앞서 지난해 10월에는 제주점 부셰론 매장도 기존보다 3배 넓게 개편했다.
갤러리아백화점은 서울 강남구 명품관에서 국내 최초로 스위스 명품 시계 브랜드 ‘모저앤씨(H. Moser & Cie.)’ 단독 부티크를 지난 14일 오픈했고 밝혔다. (사진=갤러리아 제공) 2025.05.18 뉴시스갤러리아백화점은 14일 서울 명품관에 스위스 명품 시계 브랜드 ‘모저앤씨(H. Moser & Cie.)’의 국내 첫 단독 부티크를 열었다. 매장에서는 1억5500만 원 상당의 대표 제품 ‘스트림라이너 투르비용 스켈레톤’을 전 세계 단독으로 판매한다. 갤러리아는 오는 6월 중 독일 보석 브랜드 ‘벨렌도르프(Wellendorff)’도 국내 최초로 선보일 계획이다.
유통업계가 명품 주얼리·시계 부문 강화에 나선 것은 관련 수요 증가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롯데면세점의 1분기(1~3월) 명품 시계·주얼리 등 관련 카테고리 매출은 지난해 4분기(10~12월) 대비 약 13% 증가했다. 한화갤러리아도 올해 1~4월 갤러리아백화점의 명품 주얼리·시계 매출은 지난해 대비 22% 늘었다고 18일 밝혔다. 한화갤러리아 관계자는 “최근 유행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덜 받는 럭셔리 주얼리·워치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다연 기자 damong@donga.com
롯데면세점은 프랑스 주얼리 브랜드 ‘부셰론’의 명동 본점 매장을 재단장했다고 18일 밝혔다. 매장은 기존 11층에서 10층으로 이전하고, 규모도 약 66㎡(20평)로 확장해 이전보다 4배가량 넓어졌다. 앞서 지난해 10월에는 제주점 부셰론 매장도 기존보다 3배 넓게 개편했다.

유통업계가 명품 주얼리·시계 부문 강화에 나선 것은 관련 수요 증가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롯데면세점의 1분기(1~3월) 명품 시계·주얼리 등 관련 카테고리 매출은 지난해 4분기(10~12월) 대비 약 13% 증가했다. 한화갤러리아도 올해 1~4월 갤러리아백화점의 명품 주얼리·시계 매출은 지난해 대비 22% 늘었다고 18일 밝혔다. 한화갤러리아 관계자는 “최근 유행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덜 받는 럭셔리 주얼리·워치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다연 기자 damong@donga.com
비즈N 탑기사
- ‘책 출간’ 한동훈, 정계 복귀 움직임에 테마株 강세
- 조선 후기 화가 신명연 ‘화훼도 병풍’ 기념우표 발행
- 붕괴 교량과 동일·유사 공법 3곳 공사 전면 중지
- 명동 ‘위조 명품’ 판매 일당 덜미…SNS로 관광객 속였다
- “나대는 것 같아 안올렸는데”…기안84 ‘100 챌린지’ 뭐길래
- ‘전참시’ 이연희, 득녀 5개월만 복귀 일상…아침 산책+운동 루틴
- 국내 기술로 개발한 ‘한국형 잠수함’ 기념우표 발행
- ‘아파트 지하주차장서 음주운전’ 인천시의원 송치
- 학령인구 감소 탓에 도심지 초교마저 학급 편성 ‘비상’
- 상속인 행세하며 100억 원 갈취한 사기꾼 일당 붙잡혀
- 악성 미분양 11년8개월 만에 최대…“지방 주택공급 확대 신중해야”
- 한국 부자 이렇게 많았나…백만장자 130만명 돌파, 세계 순위는?
- “몸이 이상해요” 몇 시간뒤 숨진 美 14세 소년, ‘이 균’ 감염 때문이었다
- 내달 1차 15만∼40만원씩… 2차땐 고소득층 빼고 10만원 지급
- 휴머노이드 AI로봇 신기해요
- “증여한 주식 돌려주거라”… 콜마 경영권 분쟁 父子 대결로 확전
- 10억 이상 차익 기대…과천 신희타 ‘줍줍’ 13.8만명 몰렸다
- 민생지원금 지급 논의에 기대감 ‘솔솔’…외식·주류업계 “좀 나아지려나”
- ‘만년 2등’ SK하이닉스 시총 180조 돌파…삼성전자 시총 절반 넘어섰다
- “자고 나면 오른다”…규제 지정될라, 성동구 ‘패닉 바잉’ 확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