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이상은 못 버틴다”…다시 고개드는 배달앱 이중가격제
뉴스1
입력 2025-03-12 06:53 수정 2025-03-12 06:53
맘스터치 일부 가맹점 배달가 인상…본아이에프도 이중가격제 도입
프랜차이즈, 가맹거래법상 가격 강제 불가, 이중가격제 도입 확산 초읽기
ⓒ News1 DB
프랜차이즈 업계에서 매장 내 가격과 배달 가격을 다르게 책정하는 ‘이중가격제’ 도입이 다시 고개 들고 있다. 경기 침체로 인한 외식업 위축과 배달 수수료 부담 등이 가맹점주의 수익성을 악화시키면서 가격 조정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어서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프랜차이즈 업장에서 이중가격제 도입이 확산하는 분위기다. 본사가 이를 추진하는 경우도 있지만, 경기 불황으로 인해 가맹점주들의 요청에 따라 시행되는 사례도 있다.
실제 맘스터치는 최근 일부 가맹점의 요청을 반영해 48개 매장에서 이중가격제를 도입했다. 본아이에프가 운영하는 본죽과 본죽&비빔밥도 지난달 배달앱 내 판매 가격을 조정했다. 지난해 롯데리아·맥도날드·KFC·파파이스·배스킨라빈스 등 주요 프랜차이즈 업체들도 이중가격제를 도입했다.
이중가격제가 다시 확산하는 가장 큰 이유는 배달앱 수수료 부담 때문이다. 배달앱을 통한 주문이 증가하면서 매출 자체는 늘었지만, 높은 수수료로 인해 가맹점의 마진이 줄어드는 구조가 지속되고 있다. 배달의민족의 경우 매출 상위 35%에 해당하는 업장은 최대 7.8% 수수료를 부담해야 한다.
(본아이에프 웹사이트 갈무리)실제 외식업자들도 원재료나 인건비보다 배달비 부담을 가장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소비자공익네트워크가 외식업 점주 500여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조사에서도 사업 운영에서 가장 큰 부담 요인으로 ‘배달비 수수료’를 꼽았다.
경기도 용인시에서 프랜차이즈 가맹점을 운영 중인 A 씨는 “원재료나 인건비 부담도 있지만 배달비 부담이 더 큰데 요즘은 경기 불황까지 겹쳐서 더 힘들다”며 “가격을 올리거나 배달비를 따로 반영하지 않으면 남는 게 거의 없다”며 고충을 토로했다.
업계에서는 부담이 계속 커지면서 프랜차이즈와 외식업계 전반에서 이중가격제 도입이 더욱 확산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현행 가맹거래법상 본사는 가맹점의 가격을 강제할 수 없기 때문에 이중가격제 도입이 가속화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다.
업계 관계자는 “일반적으로 프랜차이즈 본사와 가맹점이 협의를 통해 가격을 조정하지만, 본사가 가맹점에 동일한 가격 정책을 유지하도록 강요할 수는 없다”며 “가맹점주의 배달비 부담이 커질수록 이중가격제 도입이 더욱 빨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뉴스1)
프랜차이즈, 가맹거래법상 가격 강제 불가, 이중가격제 도입 확산 초읽기

프랜차이즈 업계에서 매장 내 가격과 배달 가격을 다르게 책정하는 ‘이중가격제’ 도입이 다시 고개 들고 있다. 경기 침체로 인한 외식업 위축과 배달 수수료 부담 등이 가맹점주의 수익성을 악화시키면서 가격 조정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어서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프랜차이즈 업장에서 이중가격제 도입이 확산하는 분위기다. 본사가 이를 추진하는 경우도 있지만, 경기 불황으로 인해 가맹점주들의 요청에 따라 시행되는 사례도 있다.
실제 맘스터치는 최근 일부 가맹점의 요청을 반영해 48개 매장에서 이중가격제를 도입했다. 본아이에프가 운영하는 본죽과 본죽&비빔밥도 지난달 배달앱 내 판매 가격을 조정했다. 지난해 롯데리아·맥도날드·KFC·파파이스·배스킨라빈스 등 주요 프랜차이즈 업체들도 이중가격제를 도입했다.
이중가격제가 다시 확산하는 가장 큰 이유는 배달앱 수수료 부담 때문이다. 배달앱을 통한 주문이 증가하면서 매출 자체는 늘었지만, 높은 수수료로 인해 가맹점의 마진이 줄어드는 구조가 지속되고 있다. 배달의민족의 경우 매출 상위 35%에 해당하는 업장은 최대 7.8% 수수료를 부담해야 한다.

경기도 용인시에서 프랜차이즈 가맹점을 운영 중인 A 씨는 “원재료나 인건비 부담도 있지만 배달비 부담이 더 큰데 요즘은 경기 불황까지 겹쳐서 더 힘들다”며 “가격을 올리거나 배달비를 따로 반영하지 않으면 남는 게 거의 없다”며 고충을 토로했다.
업계에서는 부담이 계속 커지면서 프랜차이즈와 외식업계 전반에서 이중가격제 도입이 더욱 확산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현행 가맹거래법상 본사는 가맹점의 가격을 강제할 수 없기 때문에 이중가격제 도입이 가속화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다.
업계 관계자는 “일반적으로 프랜차이즈 본사와 가맹점이 협의를 통해 가격을 조정하지만, 본사가 가맹점에 동일한 가격 정책을 유지하도록 강요할 수는 없다”며 “가맹점주의 배달비 부담이 커질수록 이중가격제 도입이 더욱 빨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뉴스1)
비즈N 탑기사
- ‘책 출간’ 한동훈, 정계 복귀 움직임에 테마株 강세
- 조선 후기 화가 신명연 ‘화훼도 병풍’ 기념우표 발행
- 붕괴 교량과 동일·유사 공법 3곳 공사 전면 중지
- 명동 ‘위조 명품’ 판매 일당 덜미…SNS로 관광객 속였다
- “나대는 것 같아 안올렸는데”…기안84 ‘100 챌린지’ 뭐길래
- ‘전참시’ 이연희, 득녀 5개월만 복귀 일상…아침 산책+운동 루틴
- 국내 기술로 개발한 ‘한국형 잠수함’ 기념우표 발행
- ‘아파트 지하주차장서 음주운전’ 인천시의원 송치
- 학령인구 감소 탓에 도심지 초교마저 학급 편성 ‘비상’
- 상속인 행세하며 100억 원 갈취한 사기꾼 일당 붙잡혀
- [자동차와 法] 주요국의 자율주행차 관련 법·제도 현황 살펴보니
- 직장인 64.7% “올해 연봉 협상 결과 불만족”
- “월급 벌써 다 쓰고 없다”…벌이는 그대로인데, 지출 확 늘어난 한국인들
- 갤S25 울트라, 美 컨슈머리포트 스마트폰 평가서 ‘1위’
- 울산 관광, 한곳서 예약하면 최대 20% 할인
- ‘책 출간’ 한동훈, 정계 복귀 움직임에 테마株 강세
- 이 ‘테스트’ 1분만 하면 오래 살지 알 수 있다?
- 기업회생 절차 홈플러스, ‘홈플런’ 할인 1주 연장
- 동해와 태평양을 잇는 해협에 보석같은 어화(漁火)[전승훈 기자의 아트로드]
- “탁 트인 바다·드넓은 들판에서 봄 기운 만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