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쉬었음’, 평균 22.7개월…4년 이상 공백도 11%
이문수 기자
입력 2025-03-11 14:37 수정 2025-03-11 14:42

한국고용정보원은 11일 직업능력심사평가원에서 개최된 2025년도 청년고용 포럼 1차 회의에서 1년 이상 ‘쉬었음’ 경험이 있는 청년을 대상으로 한 실태조사 결과 및 원인을 분석한 내용을 발표했다. 조사 결과 ‘쉬었음’ 상태에서 ‘불안감을 느낀다’고 응답한 청년이 77.2%에 달했다. 장기 쉬었음 청년의 평균 쉬는 기간은 22.7개월이었으며 4년 이상 쉬는 청년 비율도 약 11%에 달했다. 살면서 아예 근로소득을 벌어보지 못했다고 응답한 청년도 12.3%나 됐다.
또 일 경험이 없을수록, 미취업 기간이 길수록, 과거 일자리가 저임금, 저숙련 일자리 일수록 쉬었음 상태로 남아있는 비중이 높았다. 1년 이상 쉰 청년들의 마지막 직장 근속기간은 ‘6개월 미만’이 29.5%로 가장 높았으며 평균 근속 기간은 17.8개월이었다. 이들의 임금수준은 주로 200만 원 이상 300만 원 이하(48.8%)였던 것으로 조사됐다.
쉬었음을 택한 사유는 적합한 일자리 부족(38.1%)과 교육·자기계발(35%)이 가장 많았다. 번아웃(27.7%)과 심리적·정신적 문제(25%)가 쉬는 이유라고 응답한 비율이 뒤를 이었다. 응답자의 58.2%는 쉰 기간을 ‘경제적, 심리적으로 힘든 시간’이라고 평가했으며 ‘쉬었음 상태가 불안하다‘고 답한 비율은 77.2%에 달했다. 쉬는 기간이 길어질수록 ‘재충전의 시간’이라는 인식은 줄어들고 ‘힘든 시간, 구직 의욕을 잃게 만든 시간’이라는 인식이 증가한다는 것이다. 응답자의 84.6%는 삶에서 일이 중요하다고 응답했으며, 57.3%는 향후 더 좋은 일자리로 이직할 수 있다고 답했다. 쉬었음 청년들에게 필요한 정부 지원으로 생활비 지원보다는 직업교육·훈련과 취업알선·정보제공을 더 선호한다고 응답하기도 했다.
한국노동연구원은 2018년을 기점으로 심화된 수도권과 지역 간 청년 일자리 격차가 ‘쉬었음’ 증가로 연결되는 문제를 제기하기도 했다. 경남 조선업 등 비수도권 제조업 침체와 수도권 지식기반산업 부상의 영향으로, 2020년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격차 비율은 31.7%까지 확대됐다. 청년의 평균 임금은 수도권이 더 높았고, 2016년 이후 약 7% 이상의 임금 격차가 발생했다. 수도권 지식기반 산업 및 서비스업으로 청년 일자리가 집중되며 이 업계에서의 쉬었음 청년 발생도 늘어난 것이다.
회의에 참석한 위원들은 쉬었음 청년의 불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년 대상 심리상담 지원을 확대하고, 초기 단계에 취업 지원 등 조치를 취해 쉬었음 장기화를 방지해야 한다고 의견을 모았다. 정부는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 등을 통해 대학 졸업 예정자들의 취업을 전폭적으로 지원하고 구직자들을 대상으로 한 직업훈련 등도 꾸준히 연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문수 기자 doorwater@donga.com
비즈N 탑기사
- ‘책 출간’ 한동훈, 정계 복귀 움직임에 테마株 강세
- 조선 후기 화가 신명연 ‘화훼도 병풍’ 기념우표 발행
- 붕괴 교량과 동일·유사 공법 3곳 공사 전면 중지
- 명동 ‘위조 명품’ 판매 일당 덜미…SNS로 관광객 속였다
- “나대는 것 같아 안올렸는데”…기안84 ‘100 챌린지’ 뭐길래
- ‘전참시’ 이연희, 득녀 5개월만 복귀 일상…아침 산책+운동 루틴
- 국내 기술로 개발한 ‘한국형 잠수함’ 기념우표 발행
- ‘아파트 지하주차장서 음주운전’ 인천시의원 송치
- 학령인구 감소 탓에 도심지 초교마저 학급 편성 ‘비상’
- 상속인 행세하며 100억 원 갈취한 사기꾼 일당 붙잡혀
- [자동차와 法] 주요국의 자율주행차 관련 법·제도 현황 살펴보니
- 직장인 64.7% “올해 연봉 협상 결과 불만족”
- “월급 벌써 다 쓰고 없다”…벌이는 그대로인데, 지출 확 늘어난 한국인들
- 갤S25 울트라, 美 컨슈머리포트 스마트폰 평가서 ‘1위’
- 울산 관광, 한곳서 예약하면 최대 20% 할인
- ‘책 출간’ 한동훈, 정계 복귀 움직임에 테마株 강세
- 이 ‘테스트’ 1분만 하면 오래 살지 알 수 있다?
- 기업회생 절차 홈플러스, ‘홈플런’ 할인 1주 연장
- 동해와 태평양을 잇는 해협에 보석같은 어화(漁火)[전승훈 기자의 아트로드]
- “탁 트인 바다·드넓은 들판에서 봄 기운 만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