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도 추운 겨울…D램 값 한달새 20.6% 하락
박현익 기자
입력 2024-11-29 17:22 수정 2024-11-29 17:24

범용 메모리 가격이 급락하고 있다. 인공지능(AI) 등 첨단 분야 수요 덕분에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기업들의 실적은 개선되고 있지만 PC, 모바일 등에 사용되는 범용 메모리 가격이 지난해 ‘반도체 겨울’ 수준으로 떨어져 전체 성장의 발목을 붙잡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29일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11월 범용 D램인 DDR4 8Gb(1Gx8) 제품(PC용)의 가격은 1.35달러로 전달 대비 20.6% 하락했다. 이는 지난해 재고 과잉을 겪었던 9월(1.30 달러) 수준으로 돌아온 것이다. 해당 제품 가격은 올 4월 2.10달러까지 회복됐다가 8월부터 하락세로 전환했다. 트렌드포스는 “PC 제조업체들의 D램 재고가 여전히 높은 수준이고 중국 업체들의 생산 확장 탓에 가격이 떨어졌다”며 “당분간 추가 하락이 있을 수 있다”고 했다.
낸드는 상황이 더 심각하다. 11월 범용 낸드인 128Gb(16Gx8) 제품(메모리·USB용)의 가격은 2.16달러로 전달 대비 29.8% 떨어졌다. 트렌드포스 첫 집계(2015년 8월) 이후 지난달에 역대 최저로 떨어졌는데 이번에 더 하락한 것이다. D램과 마찬가지로 기업들의 과잉 재고가 주요 원인으로 분석됐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고대역폭메모리(HBM)나 기업용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eSSD) 등 첨단 분야 수요는 강하지만 구형(레거시) 분야는 실적이 악화되는 등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레거시 쪽은 이미 지난해 수준 또는 그 이상으로 상황이 나쁘다”라며 “PC 등 정보기술(IT) 기기 수요 침체가 지속되며 올해 연말까지도 분위기가 특별히 개선될 것 같지 않다”고 했다. 이날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주가는 각각 전날 대비 2.3%, 0.5% 하락 마감했다.
박현익 기자 beepark@donga.com
비즈N 탑기사
- ‘책 출간’ 한동훈, 정계 복귀 움직임에 테마株 강세
- 조선 후기 화가 신명연 ‘화훼도 병풍’ 기념우표 발행
- 붕괴 교량과 동일·유사 공법 3곳 공사 전면 중지
- 명동 ‘위조 명품’ 판매 일당 덜미…SNS로 관광객 속였다
- “나대는 것 같아 안올렸는데”…기안84 ‘100 챌린지’ 뭐길래
- ‘전참시’ 이연희, 득녀 5개월만 복귀 일상…아침 산책+운동 루틴
- 국내 기술로 개발한 ‘한국형 잠수함’ 기념우표 발행
- ‘아파트 지하주차장서 음주운전’ 인천시의원 송치
- 학령인구 감소 탓에 도심지 초교마저 학급 편성 ‘비상’
- 상속인 행세하며 100억 원 갈취한 사기꾼 일당 붙잡혀
- [자동차와 法] 주요국의 자율주행차 관련 법·제도 현황 살펴보니
- 직장인 64.7% “올해 연봉 협상 결과 불만족”
- “월급 벌써 다 쓰고 없다”…벌이는 그대로인데, 지출 확 늘어난 한국인들
- 갤S25 울트라, 美 컨슈머리포트 스마트폰 평가서 ‘1위’
- 울산 관광, 한곳서 예약하면 최대 20% 할인
- ‘책 출간’ 한동훈, 정계 복귀 움직임에 테마株 강세
- 이 ‘테스트’ 1분만 하면 오래 살지 알 수 있다?
- 기업회생 절차 홈플러스, ‘홈플런’ 할인 1주 연장
- 동해와 태평양을 잇는 해협에 보석같은 어화(漁火)[전승훈 기자의 아트로드]
- “탁 트인 바다·드넓은 들판에서 봄 기운 만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