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올 경제성장률, 中부진 등 최악 시나리오 땐 1.1%”
뉴스1
입력 2023-05-25 13:36:00 수정 2023-05-25 13:39:33

한국은행은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을 기본 1.4%로 전망하면서도 중국 경제의 회복이 지연되는 등 최악의 상황이 찾아올 경우 1.1% 성장에 그칠 수 있다고 밝혔다.
한은은 25일 이런 내용의 ‘경제전망보고서’(인디고북)를 펴냈다.
한은은 보고서에서 “국내 경기는 IT 경기 위축 심화, 중국 리오프닝 효과 지연 등으로 부진을 이어가다 하반기 이후 점차 나아지겠으나 회복 속도는 당초 예상보다 완만할 전망”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지난해(2.6%)보다 크게 둔화된 1.4%로 예상했다. 이는 지난 2월 전망(1.6%)과 비교해도 다소 낮은 수준이다.
한은은 “1분기 성장률은 소비 개선에도 중국에 대한 수출과 IT 수출 부진이 심화되면서 소폭(0.3%) 성장에 그쳤으며, 2분기에도 회복 모멘텀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관측했다.
하반기는 주로 서비스 소비 덕분에 경기가 완만히 나아질 것이라고 봤다. 수출도 중국 경제 회복 영향, IT 경기 부진 완화 등으로 점차 개선되지만 회복 속도는 원래 예상했던 것보단 느릴 것이라고 평가했다.

한은은 “경상수지는 당분간 균형 내외 수준에 머물다 하반기 이후 상품수출 개선 등에 힘입어 흑자 기조를 나타낼 전망”이라고 밝혔다.
한은은 이번 경제전망에서는 주요 경제 지표의 ‘시나리오 분석’도 제시했다.
분석 결과, 중국 경제의 회복이 지연되고 선진국 금융불안이 확대되는 최악 시나리오에서 올 성장률은 기본 1.4%에서 1.1%까지, 물가 상승률은 기본 3.5%에서 3.3%까지 낮아질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중국의 성장 동력 강화되는 최선의 경우에는 성장률이 1.6%로, 물가 상승률도 3.8%로 높아진다고 추정했다.
올해 물가 상승률은 기본적으로 3.5%를 전망했다. 지난 2월 전망치와 같다.
다만 근원물가 상승률은 기존 3.0%에서 3.3%로 올렸다.
한은은 “소비자물가는 올 중반까지는 기저효과가 크게 작용하면서 뚜렷한 둔화 흐름이 이어지겠으나 그 이후로는 불확실성이 큰 상황”이라며 “근원물가의 경우 점차 둔화되겠으나 양호한 서비스 수요 및 고용 흐름, 비용 상승 압력에 따른 이차 파급 영향 등으로 둔화 속도가 당초 예상보다 완만할 전망”이라고 밝혔다.
(서울=뉴스1)
비즈N 탑기사
- “나는 사회주의자” 병역거부한 30대…항소심에서도 패소
- 휴대폰 가져왔다고…“물에 빠뜨려라” 중학교사 극단처벌 시끌
- “숨이 턱턱”…때 아닌 ‘5월 폭염’에 강릉은 이미 피서철 풍경
- 아이유, 표절 혐의로 고발당했다…소속사 “허위사실” 맞불
- “경찰에게 납치됐다”…대학 제적 숨기려 납치 자작극 벌인 美 여성
- 김소연, 결국 ‘이상우 보일러’ 일화 해명…“건강 생각해주는 남편”
- 박근형, 7년 만에 연극 무대로…연극 ‘세일즈맨의 죽음’
- “임신 중인데 배고파서”…미혼모 요청에 손길 내민 사장님[e글e글]
- 故백선엽 장녀, 美전광판서 아버지와 영상 재회
- ‘1000만원짜리 휴게소 감자’…英 산책로 조형물, 낭비 논란
- 고기 없는 사찰만두 나왔다…부처님오신날 맞이 건강식 봇물
- 서울 아파트값 1년만에 올랐다
- 집밥 식재료 비용 안정 찾나… 5월 들어 전년 대비 8.4% ↓
- 이른 무더위가 변수로… ‘변질 우려’ 빵‧유제품 회수 조치 잇달아
- “전기차 배터리도 비행기로 운송한다”… 대한항공, IATA 공인 인증 취득
- [르포] 생활 속으로 성큼 다가온 ‘스마트팜·로봇’…이마트 연수점 가보니
- 초록의 싱그러움 가득한 목장에 가볼까
- “여름 제주는 특별해”…놓치지 말아야 할 제주관광 10선
- 서울시-국토부 정책 공조하기로…“부동산 실거래 정보 제공”
- “수익률 40% 보장” 투기판 된 코인판… 5년간 5조 피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