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해진 자외선, 화끈거리는 피부”…‘일광화상’ 대처법은?
뉴시스(신문)
입력 2025-06-13 08:09 수정 2025-06-13 08:35
햇볕 강한 날씨엔 자외선 지수 높아져
얼음은 화상부위 직접 닿지 않게 해야
더운 날씨를 보인 9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 인근에서 한 시민이 손으로 햇빛을 가린 채 이동하고 있다. 2025.06.09.[서울=뉴시스]
햇볕이 강하게 내리쬐는 요즘같은 날씨에는 햇볕에 장시간 노출되면 화상을 입는 일광화상(日光火傷)에 노출될 위험이 커져 주의해야 한다.
13일 기상청과 의료계에 따르면 전날 한낮 자외선 지수(햇빛에 심하게 노출됐을 때 나타나는 위험을 알리는 지표로 낮음부터 위험까지 총 5단계)는 서울 등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높음’ 또는 ‘매우높음’ 단계였다.
‘높음’은 ‘매우 높음’ 아래 단계로 기상청은 햇빛에 노출될 경우 1~2시간 내에도 피부 화상을 입을 수 있어 위험하다고 알리고 있다. ‘매우 높음’은 ‘위험’ 아래 단계로, 기상청은 햇볕에 노출될 경우 수십 분 이내에도 피부 화상을 입을 수 있어 매우 위험하다고 예보한다.
뜨거운 햇빛에 장시간 노출되면 피부가 빨갛게 달아오르고 통증이 발생하기 쉽다. 심하면 물집이 나거나 얼굴과 팔다리가 붓고 열이 오를 수 있다. 가벼운 일광 화상은 보통 일주일 이내 낫지만 물집이 생기는 등 심한 화상을 입은 경우에는 치료에 2~3주 가량이 걸린다.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가 당기면서 화끈하고 따가우면 바로 야외활동을 중단해야 한다.
최영준 강북삼성병원 피부과 교수는 “물집이 생긴 이후 농포가 발생했다면 피부의 2차 세균감염을 의심할 수 있어 내원해 항생제와 소염제, 색소침착 억제제 등을 처방 받아야 하는 경우도 있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증상이 심한 부위에 뜨거운 물, 샴푸, 향수, 알코올 성분이 함유된 스킨 토너 같은 화장품, 자극적인 클렌저나 스크럽 등이 닿으면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고 했다.
일광화상이 발생하면 찬물로 열감이 있는 부위를 식혀주는 것이 좋다. 얼음을 사용할 경우 화상 부위에 얼음이 직접 닿으면 오히려 통증이 악화되거나 화상의 깊이가 깊어질 수 있어 얼음을 천으로 감싼 뒤 냉찜질을 해줘야 한다. 물집이나 벗겨진 피부는 감염 위험이 있어 인위적으로 제거하는 것을 삼가야 한다. 통증이 심하면 진통 소염제로 조절할 수 있다.
원종현 서울아산병원 피부과 교수는 “냉찜질을 할 땐 피부 손상을 막기 위해 얼음이 피부에 직접 닿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면서 “피부 껍질이 일어날 때는 놔두었다가 자연스럽게 벗겨지도록 하고, 물집이 생겼다면 억지로 터뜨리지 않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일광화상을 예방하려면 구름이 없는 맑은 여름날에는 오전 11시부터 오후 3시까지 외출을 삼간다. 직사광선이 가장 강하게 내리쬐는 시간이기 때문이다. 외출할 땐 얇은 긴소매의 옷이나 모자, 선글라스 등으로 햇빛에 노출되는 부위를 가리거나 외출 30분 전에 자외선 차단제(선크림)를 꼼꼼히 바르는 것이 좋다. 자외선이 강한 날이나 야외 활동 중에는 2시간마다 덧발라야 한다.
[서울=뉴시스]
얼음은 화상부위 직접 닿지 않게 해야

햇볕이 강하게 내리쬐는 요즘같은 날씨에는 햇볕에 장시간 노출되면 화상을 입는 일광화상(日光火傷)에 노출될 위험이 커져 주의해야 한다.
13일 기상청과 의료계에 따르면 전날 한낮 자외선 지수(햇빛에 심하게 노출됐을 때 나타나는 위험을 알리는 지표로 낮음부터 위험까지 총 5단계)는 서울 등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높음’ 또는 ‘매우높음’ 단계였다.
‘높음’은 ‘매우 높음’ 아래 단계로 기상청은 햇빛에 노출될 경우 1~2시간 내에도 피부 화상을 입을 수 있어 위험하다고 알리고 있다. ‘매우 높음’은 ‘위험’ 아래 단계로, 기상청은 햇볕에 노출될 경우 수십 분 이내에도 피부 화상을 입을 수 있어 매우 위험하다고 예보한다.
뜨거운 햇빛에 장시간 노출되면 피부가 빨갛게 달아오르고 통증이 발생하기 쉽다. 심하면 물집이 나거나 얼굴과 팔다리가 붓고 열이 오를 수 있다. 가벼운 일광 화상은 보통 일주일 이내 낫지만 물집이 생기는 등 심한 화상을 입은 경우에는 치료에 2~3주 가량이 걸린다.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가 당기면서 화끈하고 따가우면 바로 야외활동을 중단해야 한다.
최영준 강북삼성병원 피부과 교수는 “물집이 생긴 이후 농포가 발생했다면 피부의 2차 세균감염을 의심할 수 있어 내원해 항생제와 소염제, 색소침착 억제제 등을 처방 받아야 하는 경우도 있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증상이 심한 부위에 뜨거운 물, 샴푸, 향수, 알코올 성분이 함유된 스킨 토너 같은 화장품, 자극적인 클렌저나 스크럽 등이 닿으면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고 했다.
일광화상이 발생하면 찬물로 열감이 있는 부위를 식혀주는 것이 좋다. 얼음을 사용할 경우 화상 부위에 얼음이 직접 닿으면 오히려 통증이 악화되거나 화상의 깊이가 깊어질 수 있어 얼음을 천으로 감싼 뒤 냉찜질을 해줘야 한다. 물집이나 벗겨진 피부는 감염 위험이 있어 인위적으로 제거하는 것을 삼가야 한다. 통증이 심하면 진통 소염제로 조절할 수 있다.
원종현 서울아산병원 피부과 교수는 “냉찜질을 할 땐 피부 손상을 막기 위해 얼음이 피부에 직접 닿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면서 “피부 껍질이 일어날 때는 놔두었다가 자연스럽게 벗겨지도록 하고, 물집이 생겼다면 억지로 터뜨리지 않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일광화상을 예방하려면 구름이 없는 맑은 여름날에는 오전 11시부터 오후 3시까지 외출을 삼간다. 직사광선이 가장 강하게 내리쬐는 시간이기 때문이다. 외출할 땐 얇은 긴소매의 옷이나 모자, 선글라스 등으로 햇빛에 노출되는 부위를 가리거나 외출 30분 전에 자외선 차단제(선크림)를 꼼꼼히 바르는 것이 좋다. 자외선이 강한 날이나 야외 활동 중에는 2시간마다 덧발라야 한다.
[서울=뉴시스]
- ‘책 출간’ 한동훈, 정계 복귀 움직임에 테마株 강세
- 조선 후기 화가 신명연 ‘화훼도 병풍’ 기념우표 발행
- 붕괴 교량과 동일·유사 공법 3곳 공사 전면 중지
- 명동 ‘위조 명품’ 판매 일당 덜미…SNS로 관광객 속였다
- “나대는 것 같아 안올렸는데”…기안84 ‘100 챌린지’ 뭐길래
- ‘전참시’ 이연희, 득녀 5개월만 복귀 일상…아침 산책+운동 루틴
- 국내 기술로 개발한 ‘한국형 잠수함’ 기념우표 발행
- ‘아파트 지하주차장서 음주운전’ 인천시의원 송치
- 학령인구 감소 탓에 도심지 초교마저 학급 편성 ‘비상’
- 상속인 행세하며 100억 원 갈취한 사기꾼 일당 붙잡혀
- 여름철 맥주, 통풍 부른다…무알코올 맥주도 안심 못해
- “베르사유 5만원 vs 경복궁 3000원”…스스로 가치 깎는 한국관광
- ‘1도의 마법’… 방신실, 아이언 로프트 각도 높여 정확도 잡았다
- 李정부 첫 세법개정 핵심은 증시 부양용 ‘배당소득 분리과세’
- 비트코인 신고가, 알트코인도 폭등…스텔라 18%-헤데라 17%
- 연이은 호재에 자산시장은 활황…3000조 국내 증시, 꽃길 이어질까[D’s 위클리 픽]
- 이재용, 美 선밸리 콘퍼런스 참석후 귀국…“하반기 열심히 하겠다”
- 누리호발사 3년 공백, 고숙련 인력 대 끊길 우려[IT팀의 테크워치]
- 서울 아파트 ‘26억 이상’ 거래 최다 증가… 상반기 강남-마포 등 ‘똘똘한 한 채’ 선호
- 올해 기업 여름휴가 평균 3.7일…대기업은 ‘5일 이상’ 많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