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 안마셔도 쌓이는 지방간…‘이 단백질’ 섭취했더니 위험 뚝↓
이예지 동아닷컴 기자
입력 2023-03-19 13:17:00 수정 2023-03-19 13:39:36
이란 샤히드 베헤시티대 의대 연구 결과
게티이미지뱅크
콩, 견과류 등에 많이 함유돼 있다고 알려진 ‘식물성 단백질’ 섭취가 비(非)알코올성 지방간 발생 위험을 4분의 1 수준으로 낮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이란 샤히드 베헤시티대 의대 암연구센터 아나히타 만수리 박사팀은 2018∼2019년 이란 아바즈의 한 건강센터를 찾은 243명(평균 연령 42.7세)을 대상으로 단백질 섭취와 비알코올성 지방간 발병 위험률의 상관 관계를 분석했다.
연구팀은 연구 대상자(비알코올성 지방간 환자 121명·건강한 성인 122명)를 식물성 단백질과 동물성 단백질 섭취량을 세 그룹으로 분류했다. 각각 양에 따라 ‘상’, ‘중’, ‘하’ 그룹으로 나눴다.
그 결과, 식물성 단백질 섭취량이 ‘상’에 속하는 그룹의 비알코올성 지방간 발생 위험은 ‘하’그룹에 비해 76% 낮았다. 반면 동물성 단백질 섭취량 ‘상’그룹에 속하는 사람의 발생 위험은 동물성 단백질 섭취량 ‘하’그룹에 비해 3.2배 높았다.
연구팀은 “단백질 섭취가 간 내 지방 축적에 미치는 영향은 아직 불분명하지만,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예방하려면 식물성 단백질의 섭취를 늘리되, 동물성 단백질은 줄여야 한다는 것이 이번 연구의 결론”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한국임상영양학회가 발행하는 영문 학술지 ‘클리니컬 뉴트리션 리서치(Clinical Nutrition Research)’ 2023-1월호에 실렸다.
이예지 동아닷컴 기자 leeyj@donga.com

콩, 견과류 등에 많이 함유돼 있다고 알려진 ‘식물성 단백질’ 섭취가 비(非)알코올성 지방간 발생 위험을 4분의 1 수준으로 낮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이란 샤히드 베헤시티대 의대 암연구센터 아나히타 만수리 박사팀은 2018∼2019년 이란 아바즈의 한 건강센터를 찾은 243명(평균 연령 42.7세)을 대상으로 단백질 섭취와 비알코올성 지방간 발병 위험률의 상관 관계를 분석했다.
연구팀은 연구 대상자(비알코올성 지방간 환자 121명·건강한 성인 122명)를 식물성 단백질과 동물성 단백질 섭취량을 세 그룹으로 분류했다. 각각 양에 따라 ‘상’, ‘중’, ‘하’ 그룹으로 나눴다.
그 결과, 식물성 단백질 섭취량이 ‘상’에 속하는 그룹의 비알코올성 지방간 발생 위험은 ‘하’그룹에 비해 76% 낮았다. 반면 동물성 단백질 섭취량 ‘상’그룹에 속하는 사람의 발생 위험은 동물성 단백질 섭취량 ‘하’그룹에 비해 3.2배 높았다.
연구팀은 “단백질 섭취가 간 내 지방 축적에 미치는 영향은 아직 불분명하지만,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예방하려면 식물성 단백질의 섭취를 늘리되, 동물성 단백질은 줄여야 한다는 것이 이번 연구의 결론”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한국임상영양학회가 발행하는 영문 학술지 ‘클리니컬 뉴트리션 리서치(Clinical Nutrition Research)’ 2023-1월호에 실렸다.
이예지 동아닷컴 기자 leeyj@donga.com
비즈N 탑기사
- 여친에 청혼하기 위해 ‘가짜 버스시간표’ 설치한 英 남성
- 혀로 ‘쏙쏙’ 젠가 뽑기…세상 가장 긴 혀 가진 男, 기네스 새기록
- 밤하늘 위 수상한 불빛, UFO인줄 알았는데…알고 보니?
- 中에 차량 뒤덮는 벌레 비?…정체는 “OOO 인듯”
- 제주에 노란 개나리 ‘활짝’…작년·평년 보다 4일 빨리 ‘개화’
- “짜장면 1개에 5만5000원 기부” 자랑…알고보니 ‘설정샷’
- ‘서울도 문 닫는 학교’ 이유 있었다…아동인구 감소폭 전국 최고
- ‘에에올’ 아카데미 작품상…괴짜 듀오에 반했다
- “대리 축의금 9만9000원 낸 후배”…1000원 행방은?
- “부끄러운 동문”…서울대에 ‘정순신 임명 비판’ 대자보
- 애플페이 첫날 100만건 등록… 삼성-네이버 동맹 ‘맞불’
- 현대重, 아파트 5층 높이 메탄올 엔진 첫 시연
- 정치권 ‘예금보호한도 1억 상향’ 주장에 금융당국은 신중
- 차주 100명중 9명, 월급으로 ‘원리금’ 못 갚는다…전세계 2위
- 100년 역사 시드니 공항, 스마트하게 새단장… 전자여권 ‘10분 입국수속’… 명품 전용관 갖춰
- 작년 보험사기 적발액 1조818억 ‘역대 최대’…전년比 14.7% 증가
- ‘전세사기 가담’ 감정평가사 첫 징계…최대 2년 업무정지
- 공시가 18.6% 하락, 보유세 3년전보다 20% 감소
- 국민 2명 중 1명 수도권 거주…열에 여섯은 2인 이하 가구
- “10명 중 7명이 한국인?”…일본·동남아 방문객 1위 싹쓸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