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1인당 평균 대출 5202만원… 20대는 1년새 15% 급증
세종=조응형 기자
입력 2023-03-29 03:00:00 수정 2023-03-29 03:00:00
7% 늘어 통계 작성 이후 최대
금리 낮고 부동산-주식투자 등 영향
대기업 직장인 대출액, 중기의 2배

2021년 직장인 1인당 대출액이 5000만 원을 처음 넘어섰다. 특히 20대 직장인 대출이 1년 새 15% 넘게 급증해 전체 연령대에서 증가 폭이 가장 컸다.
28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1년 임금근로자 부채’에 따르면 2021년 말 기준 임금근로자의 평균 대출액은 5202만 원이었다. 이는 2020년(4862만 원)보다 7.0%(340만 원) 늘어난 것으로, 통계청이 해당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17년 이후 가장 큰 규모다. 2021년 기준금리가 연 0.5∼1.0%로 비교적 낮았던 데다 부동산 및 금융시장 상승세로 대출을 통한 투자가 활발했던 데 따른 것이다. 부채 증가율은 역대 최고치(10.3%)였던 1년 전보다는 줄었다. 통계청은 “금융당국이 2021년 7월부터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을 단계적으로 확대하는 등 규제를 강화한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연령대별로는 20대 직장인의 대출 증가가 두드러졌다. 29세 이하의 평균 대출액은 1691만 원으로 1년 전보다 15.4%(225만 원) 늘었다. 이어 30대(10.7%), 40대(7.2%), 50대(4.3%) 직장인 순으로 대출 증가율이 높았다. 특히 20대 직장인들의 ‘주택외 담보대출’ 증가율은 22.8%에 달했다. 2021년 증시 상승 국면에서 유가증권 담보대출이 늘어난 결과다. 전세보증금 담보대출과 학자금 대출이 늘어난 영향도 있었다.
소득에 따른 대출액 및 연체율 차이도 나타났다. 대기업 직장인은 평균 대출액 8107만 원, 연체율 0.21%로 집계됐다. 이에 비해 중소기업 직장인은 평균 대출액(4215만 원)은 낮고, 연체율(0.68%)은 더 높았다.
세종=조응형 기자 yesbro@donga.com
금리 낮고 부동산-주식투자 등 영향
대기업 직장인 대출액, 중기의 2배

2021년 직장인 1인당 대출액이 5000만 원을 처음 넘어섰다. 특히 20대 직장인 대출이 1년 새 15% 넘게 급증해 전체 연령대에서 증가 폭이 가장 컸다.
28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1년 임금근로자 부채’에 따르면 2021년 말 기준 임금근로자의 평균 대출액은 5202만 원이었다. 이는 2020년(4862만 원)보다 7.0%(340만 원) 늘어난 것으로, 통계청이 해당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17년 이후 가장 큰 규모다. 2021년 기준금리가 연 0.5∼1.0%로 비교적 낮았던 데다 부동산 및 금융시장 상승세로 대출을 통한 투자가 활발했던 데 따른 것이다. 부채 증가율은 역대 최고치(10.3%)였던 1년 전보다는 줄었다. 통계청은 “금융당국이 2021년 7월부터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을 단계적으로 확대하는 등 규제를 강화한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연령대별로는 20대 직장인의 대출 증가가 두드러졌다. 29세 이하의 평균 대출액은 1691만 원으로 1년 전보다 15.4%(225만 원) 늘었다. 이어 30대(10.7%), 40대(7.2%), 50대(4.3%) 직장인 순으로 대출 증가율이 높았다. 특히 20대 직장인들의 ‘주택외 담보대출’ 증가율은 22.8%에 달했다. 2021년 증시 상승 국면에서 유가증권 담보대출이 늘어난 결과다. 전세보증금 담보대출과 학자금 대출이 늘어난 영향도 있었다.
소득에 따른 대출액 및 연체율 차이도 나타났다. 대기업 직장인은 평균 대출액 8107만 원, 연체율 0.21%로 집계됐다. 이에 비해 중소기업 직장인은 평균 대출액(4215만 원)은 낮고, 연체율(0.68%)은 더 높았다.
세종=조응형 기자 yesbro@donga.com
비즈N 탑기사
- 별, 막내딸 송이 안고 절친 테이 결혼식 참석 “제일 멋진 신랑”
- “어묵 5000원어치는 안 팔아”…지역 축제 ‘바가지’ 또 도마
- “연매출 25억” 하버드 출신 한인 여성 아이스크림 가게 대박 비결은?
- 중3 학부모 82% 미적분·기하 선호…“쏠림 심해질 것”
- “나는 사회주의자” 병역거부한 30대…항소심에서도 패소
- 휴대폰 가져왔다고…“물에 빠뜨려라” 중학교사 극단처벌 시끌
- “숨이 턱턱”…때 아닌 ‘5월 폭염’에 강릉은 이미 피서철 풍경
- 아이유, 표절 혐의로 고발당했다…소속사 “허위사실” 맞불
- “경찰에게 납치됐다”…대학 제적 숨기려 납치 자작극 벌인 美 여성
- 김소연, 결국 ‘이상우 보일러’ 일화 해명…“건강 생각해주는 남편”
- 1억~2억원씩 거래가 높이는 서울 아파트…“바닥 다지는 과정”
- 여행 수요 회복에… 대한항공 “순환 휴직 종료” LCC “승무원 채용”
- 가계대출 다시 ‘꿈틀’… 금융당국 “DSR 큰틀 유지”
- 코로나 3년 ‘운동 멀리’… 비만인구 3.3%P 증가
- [DBR]‘추천 이유’ 덧붙이면 AI 신뢰도 높아져
- “뇌세포로 만든 바이오컴퓨터, AI보다 학습 속도 18배 빨라”
- 규제 풀리자 꿈틀…서울 집 사는 2030 비중 4개월째 늘어
- 서울시 “월 50만원 청년수당 신청하세요”
- 시멘트社 “내달 가격 14% 인상”… 건설사 “원료값 내렸는데 부당”
- 녹색상품 사면 하나 더… 환경의 날 맞아 ‘녹색소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