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10곳 중 8곳 “정년 연장 긍정적”…평균 65.7세
뉴시스(신문)
입력 2024-10-21 11:31 수정 2024-10-21 15:12

기업 10곳 중 8곳이 정년 연장을 긍정적으로 생각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21일 사람인에 따르면 기업 461개사를 대상으로 정년 연장에 대한 생각을 조사한 결과 79.8%가 ‘긍정적’이라고 밝혔다.
긍정적인 이유는 ‘숙련 근로자의 노하우 활용이 가능해서’가 57.9%(복수응답)로 1위였다. 다음으로 ‘고령자들의 생활 안정성이 커져서’(39.7%), ‘생산 인구 감소에 대비할 수 있어서’(34.2%), ‘구인난이 심한 업직종에 지원자가 증가할 것 같아서’(31.8%), ‘고용 안정성 증가로 직원의 사기가 올라서’(24.2%) 등의 순이었다.
정년을 연장할 경우 적당하다고 생각하는 나이는 평균 65.7세로 집계됐다. 구체적으로는 ‘65세’가 57.9%로 과반이었으며, 이어 ‘70세 이상’(13%), ‘63세’(7.6%), ‘69세’(6.3%), ‘68세’(4.3%), ‘64세’(3%) 등의 순이었다.
반면 정년 연장이 부정적이라고 답한 기업들(93개사)은 그 이유로 ‘청년 및 신규 일자리 창출에 악영향을 미칠 것 같아서’(44.1%), ‘고령자 인사 적체로 기업문화에 악영향이 있어서’(41.9%), ‘기업 분위기가 보수화되어서’(35.5%), ‘60세 정년도 지켜지지 않는 경우가 많아서’(30.1%) 등을 꼽았다.
5060세대 ‘영시니어(중장년층)’ 직원 채용을 생각 중인 기업도 절반(52.9%)이 넘었다. 특히 구인난을 겪고 있는 기업(60.7%)이 겪지 않는 기업(43.9%)보다 영시니어 채용 의향이 16.8%p 높았다.
영시니어 직원을 채용하는 이유는 ‘경력, 인적 네트워크 등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이 커서’(47.1%), ‘젊은 층이 지원을 꺼리는 업직종이어서’(30.3%), ‘고용유지가 잘 되어서’(28.7%), ‘일반 채용 시 지원자가 너무 적어서’(21.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영시니어 직원을 채용하고자 하는 직무는 ‘제조·생산’(40.2%), ‘전문직’(21.7%), ‘서비스’(21.3%), ‘영업·영업관리’(15.2%), ‘기획·전략’(6.1%), ‘R&D(연구)’(5.3%) 등의 순이었다.
반대로 영시니어 직원 채용 계획이 없는 기업들(217개사)은 그 이유로 ‘연령 차이로 기존 직원들과 서로 불편해해서’(40.6%)를 가장 많이 들었다.
[서울=뉴시스]
비즈N 탑기사
- ‘책 출간’ 한동훈, 정계 복귀 움직임에 테마株 강세
- 조선 후기 화가 신명연 ‘화훼도 병풍’ 기념우표 발행
- 붕괴 교량과 동일·유사 공법 3곳 공사 전면 중지
- 명동 ‘위조 명품’ 판매 일당 덜미…SNS로 관광객 속였다
- “나대는 것 같아 안올렸는데”…기안84 ‘100 챌린지’ 뭐길래
- ‘전참시’ 이연희, 득녀 5개월만 복귀 일상…아침 산책+운동 루틴
- 국내 기술로 개발한 ‘한국형 잠수함’ 기념우표 발행
- ‘아파트 지하주차장서 음주운전’ 인천시의원 송치
- 학령인구 감소 탓에 도심지 초교마저 학급 편성 ‘비상’
- 상속인 행세하며 100억 원 갈취한 사기꾼 일당 붙잡혀
- 삼성, 1조원대 반도체 충당금… “3분기 반등 의지”
- 日서 12배 성장 이끈 ‘사무엘 피터’ 콘래드서울 총지배인… “또 가고 싶은 5성 호텔 경험 완성”
- 3년 만에 뉴욕서 열리는 갤럭시 언팩…‘초슬림’ 갤Z7 공개 임박
- 마른 장마에 역대급 폭염까지…전력 수요 7월 기준 역대치 경신
- “나대는 것 같아 안올렸는데”…기안84 ‘100 챌린지’ 뭐길래
- 지역주택조합 30%는 분쟁… ‘토지확보율 강화’ 등 제도 손본다
- 소변 보는 적정 시간은 ○○초…너무 짧거나 길면 문제
- 학령인구 감소 탓에 도심지 초교마저 학급 편성 ‘비상’
- 초복 앞두고 삼계탕값 비상… 폭염에 가축 폐사 7.6배 급증
- ‘마른장마’에 독해진 폭염… 내주 ‘이중 열돔’ 깨져도 푹푹 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