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반가사유상 만져보니, 발끝 따라 미소도 달라… 안 보여도 느껴집니다”

이소연 기자

입력 2023-07-24 03:00 수정 2023-07-24 03:48

|
폰트
|
뉴스듣기
|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국립중앙박물관 시각장애인용 전시실, 맹학교 교사와 가다
올해 9월 개관 목표 ‘오감’ 전시실
실물 크기 반가사유상 등 선보여
‘유물 맘껏 느낄 수 있는’ 공간으로


시각장애인인 서울맹학교 교사 이진석 씨가 20일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 1층에 조성 중인 ‘오감’ 전시실에서 실물과 같은 크기, 재질로 만든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국보)의 얼굴을 손끝으로 만져 보고 있다. 양회성 기자 yohan@donga.com

“느껴져요. 이건 확신의 미소예요.”

20일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 1층 전시실. 앞을 전혀 볼 수 없는 시각장애인인 서울 맹학교 교사 이진석 씨(44)가 한 손으로 국보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1962-2호) 모형의 입가를, 다른 손으로 오른발 끝을 만졌다. 손끝으로 불상의 발가락을 하나하나 만지던 이 씨는 입가에 옅은 미소를 보이며 이같이 말했다.

“발가락 끝이 하늘을 향해 서 있어요. 옆에 있는 국보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1962-1호)이 발끝에 힘을 빼고 있다면, 이 불상은 힘을 꽉 주고 있어요. 마음속으로 어떤 결단을 내린 듯해요. 두 불상이 같은 미소를 지은 것 같지만, 미소의 의미는 서로 다르네요.”

국립중앙박물관은 올해 9월 개관을 목표로 157.54㎡ 규모의 ‘오감’ 전시실을 만들고 있다. 국보 반가사유상 두 점을 나란히 배치해 2021년 11월 개관 이후 현재까지 약 100만 명이 찾은 ‘사유의 방’을 시각장애인이 체험할 수 있도록 따로 만들고 있는 것. 이 전시실에는 ‘유물에 손대지 말라’는 금기가 없다. 진짜 국보 대신 원래 크기와 재질 그대로 재현한 반가사유상 2점과 미니어처 16점 등 불상 모형 총 30점을 배치해 시각장애인들이 마음껏 손끝으로 만지고 느낄 수 있게 했다. 전시장에는 자연 속에 있는 듯한 효과를 주기 위해 특별 제작한 향이 비치됐다.

국립 박물관이 시각장애인을 위한 상설전시실을 마련하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국립중앙박물관은 이 씨 등 시각장애인 30여 명을 자문위원과 사전체험단으로 선정해 공간을 함께 디자인하고 있다. 이날 이 씨도 예리한 평가를 했다. 그는 “큐레이터나 안내자가 일일이 동선을 알려 주며 체험을 돕는 것도 좋지만 사유는 누가 대신해 주는 것이 아니라 결국 내가 스스로 해내야 하는 것”이라며 “시각장애인이 홀로 감상할 수 있는 시스템이 마련되면 좋겠다”고 말했다. 박물관은 이 씨의 의견을 받아들여 시각장애인이 안내자의 도움 없이 체험할 수 있도록 전시실 내 동선과 유물에 대한 설명을 함께 담은 오디오 가이드를 준비하기로 했다.

오감 전시실을 기획한 장은정 국립중앙박물관 교육과장은 “‘시각장애 학생들이 기피하는 현장학습 장소 1위가 박물관’이라는 이야기를 듣고 충격을 받아 전시실을 만들게 됐다”고 했다. 맹학교 학생들 사이에선 박물관이 미술관, 수족관과 함께 3대 기피 공간으로 꼽힌다는 것. ‘사유의 방’ 전시 역시 시각장애인에게는 무의미한 공간이었다는 자성도 이 전시실을 마련하는 동기가 됐다.

이 씨는 장애인을 위한 프로그램을 비(非)장애인과 함께 하고 싶다고 했다.

“시각장애인이 손끝으로 느낀 유물과 비장애인이 두 눈으로 본 유물이 어떻게 같고 다른지 이야기해 보고 싶어요. 어쩌면 마음속에 그린 유물의 모습은 생각보다 서로 다르지 않을지도 모르지요(웃음).”

최근 미술관과 고궁도 장애인의 체험을 가로막는 문턱을 낮추고 있다. 경기 용인시 호암미술관은 9월 10일까지 열리는 ‘한 점 하늘 김환기’ 전시에서 ‘색각 이상 보정용 안경’을 무료로 대여하고 있다. 문화재청은 시각장애인 전문 해설사와 함께 경복궁과 창덕궁을 체험하는 프로그램을 사전 신청자를 대상으로 운영 중이다. 궁궐 축소 모형을 손으로 만져 보는 체험도 포함됐다. 지난해 처음 도입한 이 프로그램은 올해는 이달 18일부터 재개됐고, 주말과 공휴일을 제외한 평일에 운영된다.




이소연 기자 always99@donga.com


라이프



모바일 버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