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뉴스]대통령의 해외순방, ‘코드명’ 속 비밀
김아연 기자
입력 2017-10-30 15:27 수정 2017-10-30 17:01









#1.
대통령의 해외순방, ‘코드명’ 속 비밀
#2.
대통령의 해외 방문에는 세 글자의 코드명이 따라붙는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세 글자’ 코드명은 감청과 해킹에 대비하는 것.
내부 회의나 전화통화 때 은어처럼 사용합니다.
#3. #4. #5.
지난 9월 러시아의 극동 지역 블라디보스톡을 방문한 문재인 대통령.
코드명은 ‘산울림’이었습니다.
‘대통령의 신(新) 북방정책이 산울림처럼 큰 메아리가 되길 바란다’는 의미였습니다.
뉴욕 유엔총회 때는 ‘오페라’ 193개 회원국이 함께 노력하는 유엔 총회는 노래와 반주가 무대 위에서 어우러지는 오페라를 닮았다는 이유였습니다.
지난 6월, 첫 번째 미국 방문 당시 코드명은 새 정부의 한미관계를 설계한다는 뜻에서 ‘대목장’이었습니다.
#6. #7. #8.
이런 관행은 꽤 오래됐습니다.
1990년 노태우 전 대통령의 소련 방문 때는 지리산 봉우리인 ‘노고단’을 썼습니다.
한소 수교의 상대가 고르바초프였다는 점에서 노태우의 ‘노’, 고르바초프의 ‘고’를 딴 것입니다.
1983년 전두환 전 대통령 당시 서남아-대양주 5개국과 브루나이 순방 코드명인 ‘국화 행사’는 두고두고 회자됐습니다.
국화가 피는 계절에 순방한다는 의미로 붙인 이름이었는데요.
아웅산 테러가 발생하면서 ‘조화’로 쓰이는 국화를 써서 그런 것 아니냐는 뒷말을 낳은 것이죠.
이후에는 코스모스(2004년 노무현 전 대통령 러시아 순방), 화수분(2009년 이명박 전 대통령 UAE 순방), 희망봉(2011년 이명박 전 대통령 남아공 순방) 등 긍정적인 의미의 코드명을 붙이면서 행사가 순조롭게 진행되길 기원했습니다.
#9.
문재인 대통령은 다음달 베트남에서 열리는 APEC 정상 회의에 참석합니다.
이번에는 어떤 코드명이 따라붙을까요?
2017. 10. 30 (월)
동아일보 디지털통합뉴스센터
원본| 채널A 최재원 기자
사진 출처| 동아일보 DB·Pixabay
기획·제작| 김아연 기자·이소정 인턴
비즈N 탑기사
- ‘책 출간’ 한동훈, 정계 복귀 움직임에 테마株 강세
- 조선 후기 화가 신명연 ‘화훼도 병풍’ 기념우표 발행
- 붕괴 교량과 동일·유사 공법 3곳 공사 전면 중지
- 명동 ‘위조 명품’ 판매 일당 덜미…SNS로 관광객 속였다
- “나대는 것 같아 안올렸는데”…기안84 ‘100 챌린지’ 뭐길래
- ‘전참시’ 이연희, 득녀 5개월만 복귀 일상…아침 산책+운동 루틴
- 국내 기술로 개발한 ‘한국형 잠수함’ 기념우표 발행
- ‘아파트 지하주차장서 음주운전’ 인천시의원 송치
- 학령인구 감소 탓에 도심지 초교마저 학급 편성 ‘비상’
- 상속인 행세하며 100억 원 갈취한 사기꾼 일당 붙잡혀
- [자동차와 法] 주요국의 자율주행차 관련 법·제도 현황 살펴보니
- 직장인 64.7% “올해 연봉 협상 결과 불만족”
- “월급 벌써 다 쓰고 없다”…벌이는 그대로인데, 지출 확 늘어난 한국인들
- 갤S25 울트라, 美 컨슈머리포트 스마트폰 평가서 ‘1위’
- 울산 관광, 한곳서 예약하면 최대 20% 할인
- ‘책 출간’ 한동훈, 정계 복귀 움직임에 테마株 강세
- 이 ‘테스트’ 1분만 하면 오래 살지 알 수 있다?
- 기업회생 절차 홈플러스, ‘홈플런’ 할인 1주 연장
- 동해와 태평양을 잇는 해협에 보석같은 어화(漁火)[전승훈 기자의 아트로드]
- “탁 트인 바다·드넓은 들판에서 봄 기운 만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