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공무원, 아이폰·갤럭시폰 쓰지마”…고래싸움에 새우등 된 삼성?

뉴스1

입력 2023-09-07 11:42 수정 2023-09-07 11:43

|
폰트
|
뉴스듣기
|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서울 마포구 삼성디지털프라자 홍대본점에서 시민들이 삼성전자의 플래그십 스마트폰 ‘갤럭시 S23’ 시리즈를 살펴보고 있다. 2023.2.14. 뉴스1

삼성전자가 미중 갈등 여파로 점유율 1%의 중국 스마트폰 시장에서 적신호를 마주했다.

중국 당국은 공무원에게 아이폰·갤럭시 폰 같은 외국산 휴대전화 사용을 금지했다. 미국이 중국 기술 분야를 통제하자 애플을 겨냥해 내린 보복성 조치다. 문제는 이에 따른 여파가 삼성전자에게 부정적인 시그널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13일 외신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중국은 최근 공무원이 자국 브랜드가 아닌 기기를 업무용으로 쓰거나 출근할 때 가져오지 않도록 지침을 내렸다.

정보기술(IT) 업계는 중국의 이번 조치로 아이폰이 가장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본다.

중국은 애플의 입김이 상당히 강한 시장이다.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 조사 결과 아이폰은 올해 1분기 중국 시장에서 점유율 20%로 1위를 차지했다. 전년 동기(18%)대비 2%포인트(p) 올랐다.

다음으로 △오포(18%) △비보(16%) △아너(16%) △샤오미(12%) 등 중국 현지 업체가 뒤를 이었다.

외산폰 브랜드는 점유율 1위의 애플과 기타로 분류된 삼성전자 등이 포함된다.

중국은 전 세계 1위 휴대전화 업체인 삼성전자가 수년째 고전을 면치 못하는 시장이다.

갤럭시폰은 중국에서 정치·문화적 영향으로 현지 시장 비중이 1%대 안팎을 오가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은 현지 브랜드를 선호하는 ‘애국 소비’가 강하고 2016년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논란으로 반한감정이 커지면서 한때 불매운동까지 있었던 점이 큰 영향을 미쳤다.

그렇다고 중국을 포기하긴 어렵다. 점유율이 1% 안팎이지만 세계 최대 스마트폰 시장인 중국에서 판매부진이 계속되면 매출에 직접적인 타격을 받을 수 있어서다.

지난해 기준 중국 연간 스마트폰 출하량은 2억9000만대가량으로 추정된다. 여기에 1% 비중만 돼도 300만대에 육박한다.

같은 기간 내수 스마트폰 출하량은 1500만대 정도다. 삼성전자 내수 점유율을 어림잡아 80%로 가정했을 때 1200만대가량이 삼성전자 몫이다. 중국에서 삼성전자가 점유율을 3%만 더 늘려도 내수 판매량을 뛰어넘게 된다.

삼성전자가 2021년 중국 사업혁신팀을 만들고 현지 특화 전략을 강화해 점유율 확대를 포기하지 않는 이유다. 매년 하반기 중국 고위 및 상류층을 대상으로 삼성전자가 심계천하 시리즈를 출시하고 있는 것도 이같은 배경에서다.

노태문 MX(모바일 경험) 사업부장(사장) 역시 7월 폴더블(화면이 접히는) 스마트폰 갤럭시Z플립5·폴드5 공개 후 기자 간담회를 열고 “중국만의 사용성과 여러 로컬(지역 맞춤) 서비스 콘텐츠를 제품에 잘 구현시키겠다”며 “중국 삼성 모바일 연구소와도 힘을 합쳐 중국시장을 잘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매출에서도 비중이 줄긴 했으나 중국은 삼성전자에게 여전히 중요하다. 지난해 삼성전자의 중국 매출(순매출액 기준)은 전년 대비 10조원 줄어든 35조6000억원이다. 삼성전자 연간 매출 302조원의 10%를 넘어선다. 스마트폰과 함께 가전 등 다른 제품 매출을 더한 값이다.

중국 시장 위축에도 판매 확대를 공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던 삼성전자에게 중국 당국의 외산폰 사용금지 조치는 부정적인 시그널이 될 수밖에 없다. 현지 시장의 포지셔닝 상황을 봤을 때 가성비 시장을 겨냥해야 하지만 애플을 노린 이번 조치가 중국 토종 브랜드 시장 점유율 확대로 이어지면 삼성전자 입지는 더 좁아질 우려가 있다.

업계 관계자는 “이번 사안은 중국 당국이 애플을 직접적으로 겨냥한 조치지만 위축된 중국시장에서 점유율 확대를 강하게 타진하던 삼성전자에게도 악재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서울=뉴스1)


라이프



모바일 버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