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진이요? 괜찮습니다”…2030 리더 기피, 왜?
김수연 기자
입력 2025-05-20 10:48 수정 2025-05-20 11:22

2030세대 직장인들 사이에 ‘리더는 하지 않겠다’는 흐름이 확산하고 있다. ‘리더 포비아’ 또는 ‘언보싱(Unbossing)’ 현상으로 불리는 이 흐름은 성과 압박과 업무량 부담에 대한 회피심리, 그리고 개인 성향을 더 중시하는 태도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19일 대학내일20대연구소는 전국 19~36세 중 공기업과 사기업 재직자 85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20·30 직장인의 리더 인식 기획조사 2025’ 결과를 발표했다. 응답자 47.3%는 “향후 리더 역할을 맡지 않아도 불안하지 않다”고 했다. 반면 “불안하다”고 답한 비율은 22.1%에 그쳤다.
이어 ‘중간관리직을 맡을 의향이 있다’고 밝힌 응답자는 36.7%였다. “의향이 없다”는 답변은 32.5%로 비슷한 비율을 차지했다.
리더 피하는 이유는 ‘성과 압박’과 ‘업무 과중’
리더직을 꺼리는 가장 큰 이유는 성과에 대한 부담(42.8%)과 업무량 증가(41.6%)였다.또 “관리 직무가 개인 성향에 맞지 않는다”는 응답도 33.7%로 적지 않았다.
반면 리더직을 맡겠다고 밝힌 응답자들은 급여·복지 혜택(41.4%), 조직 내 인정(33.3%), 경력 개발 기회와 팀원과의 동반 성장(각 30.8%) 등을 이유로 꼽았다.
기업 형태에 따라 리더직 기피 이유도 달랐다. 대기업 재직자는 업무량 증가(47.1%)를 가장 큰 부담으로 꼽았다. 중견·중소기업 재직자는 팀 성과 책임(각 48.1%, 42.8%)을, 공기업 재직자는 팀원 성장 책임(48.6%)을 리더직을 꺼리는 이유로 들었다.
리더의 역할에 대한 인식도 기업마다 달랐다. 대기업은 목표 설정(36.3%)과 내·외부 조율(34.1%)을, 공기업은 조직문화 조성(40.4%)과 성과 관리(25.8%)를 주요 업무로 봤다. 모든 기업에서 공통으로 꼽은 리더의 역할은 소통과 팀워크 강화였다. 업무 조정과 분배도 중요한 리더 업무로 인식됐다.
대학내일20대연구소는 “2030 직장인들이 리더 역할에 대한 필요성을 적게 느끼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고 분석했다.
김수연 기자 xunnio410@donga.com
비즈N 탑기사
- ‘책 출간’ 한동훈, 정계 복귀 움직임에 테마株 강세
- 조선 후기 화가 신명연 ‘화훼도 병풍’ 기념우표 발행
- 붕괴 교량과 동일·유사 공법 3곳 공사 전면 중지
- 명동 ‘위조 명품’ 판매 일당 덜미…SNS로 관광객 속였다
- “나대는 것 같아 안올렸는데”…기안84 ‘100 챌린지’ 뭐길래
- ‘전참시’ 이연희, 득녀 5개월만 복귀 일상…아침 산책+운동 루틴
- 국내 기술로 개발한 ‘한국형 잠수함’ 기념우표 발행
- ‘아파트 지하주차장서 음주운전’ 인천시의원 송치
- 학령인구 감소 탓에 도심지 초교마저 학급 편성 ‘비상’
- 상속인 행세하며 100억 원 갈취한 사기꾼 일당 붙잡혀
- “자고 나면 오른다”…규제 지정될라, 성동구 ‘패닉 바잉’ 확산
- “담도암으로 엄마 잃어… 1억원 넘는 신약 치료비 등 개선 노력”
- 상가에도 아파트 입주권… 목동 6단지, 재건축 1년 앞당겼다
- 민생지원금 지급 논의에 기대감 ‘솔솔’…외식·주류업계 “좀 나아지려나”
- “일감 없어 내일부터 나오지 말래요” 멈춰선 건설현장에 한숨만
- “신선한 맥주를 더 오래 즐기는 방법”… 스텔라 아르투아의 ‘퍼펙트 서브’
- ‘만년 2등’ SK하이닉스 시총 180조 돌파…삼성전자 시총 절반 넘어섰다
- 한달 만에 11억 오른 압구정…실수요자 ‘지금이 매수 적기’ 판단
- AI-친환경 바람 타고… 배터리 3사, ESS로 ‘캐즘’ 넘는다
- “세 살 아이도 스마트폰 중독… 6세까진 ‘영상 콘텐츠’ 피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