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금리 올리더니…5대銀 예대차, 두 달 연속 확대
뉴시스(신문)
입력 2024-10-31 15:38 수정 2024-10-31 15:38
대출금리, 수신금리보다 큰 폭 상승
국민·신한·하나·우리, 예대차 커져
현금자동입출금기(ATM)와 현금자동인출기(CD) 이용액이 19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감소했다. 13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CD 공동망’을 통한 계좌이체와 현금인출 등의 금액은 지난 1월 14조8485억 원을 기록했다. 사진은 13일 서울 시내 한 건물에 설치된 현금자동입출금기. 2024.03.13. [서울=뉴시스]
5대 시중은행의 지난달 신규 취급 기준 평균 가계 예대금리차가 전월보다 벌어지면서 두 달 연속 확대됐다. 예대금리차란 가계 대출금리에서 저축성 수신금리를 뺀 것이다. 가계대출 수요를 억누르기 위해 은행들이 대출금리에 적용되는 가산금리를 인상하면서 예금금리와 대출금리의 차이가 커진 것으로 풀이된다.
31일 은행연합회 공시에 따르면 KB국민·신한·우리·하나·NH농협 등 5대 시중은행의 지난달 신규 취급 기준 정책서민금융(햇살론뱅크, 햇살론15, 안전망 대출Ⅱ, 최저신용자 특례보증) 제외 가계 예대금리차는 평균 0.734%포인트로 집계됐다. 전월 0.57%포인트에서 0.164%포인트 확대됐다.
5대 은행의 예대금리차는 8월에 이어 2개월 연속 벌어졌다. 앞서 5월부터 7월까지는 3개월 연속 줄어든 바 있다.
이는 대출금리가 예금금리보다 큰 폭으로 오른 영향이다. 지난달 5대 은행의 평균 정책서민금융제외 가계대출 금리는 4.128%로 전월 3.938%에서 0.19%포인트 상승했다. 평균 저축성수신금리는 3.394%로 전월 3.368%에서 0.026%포인트 오르는 데 그쳤다.
5대 은행 중에서는 농협은행을 제외한 4대 은행의 예대금리차가 전월보다 커졌다.
은행별 예대금리차는 농협은행 1.05%포인트, 국민은행 0.98%포인트, 하나은행 0.68%포인트, 신한은행 0.53%포인트, 우리은행 0.43%포인트다.
인터넷은행과 지방은행, 외국계 은행 등을 포함한 공시 대상 19개 은행 중 정책서민금융 제외 가계 예대금리차가 가장 큰 곳은 전북은행으로 5.00%포인트다. 가장 작은 곳은 우리은행이다. 전북은행은 “정책서민금융대출, 중저신용자 대상대출의 비중이 높아 대출금리가 높아보인 것”이라고 설명했다.
인터넷전문은행 3사 중에서는 토스뱅크가 1.81%포인트로 가장 컸다. 토스뱅크는 “전월세자금대출의 비중이 증가하며 예대금리차가 소폭 하락했지만 대체로 전월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카카오뱅크 1.72%포인트, 케이뱅크 0.93%포인트로 나타났다.
지난달 잔액 기준 정책서민금융 제외 가계 예대금리차는 5대 은행 중 국민은행이 가장 컸다. 2.28%포인트다. 이어 농협은행 2.20%포인트, 신한은행 2.04%포인트, 우리은행 1.99%포인트, 하나은행 1.94%포인트다.
공시 대상 19개 은행 중에서는 전북은행이 4.61%포인트로 가장 컸으며 KDB산업은행이 0.53%포인트로 가장 작았다.
[서울=뉴시스]
국민·신한·하나·우리, 예대차 커져

5대 시중은행의 지난달 신규 취급 기준 평균 가계 예대금리차가 전월보다 벌어지면서 두 달 연속 확대됐다. 예대금리차란 가계 대출금리에서 저축성 수신금리를 뺀 것이다. 가계대출 수요를 억누르기 위해 은행들이 대출금리에 적용되는 가산금리를 인상하면서 예금금리와 대출금리의 차이가 커진 것으로 풀이된다.
31일 은행연합회 공시에 따르면 KB국민·신한·우리·하나·NH농협 등 5대 시중은행의 지난달 신규 취급 기준 정책서민금융(햇살론뱅크, 햇살론15, 안전망 대출Ⅱ, 최저신용자 특례보증) 제외 가계 예대금리차는 평균 0.734%포인트로 집계됐다. 전월 0.57%포인트에서 0.164%포인트 확대됐다.
5대 은행의 예대금리차는 8월에 이어 2개월 연속 벌어졌다. 앞서 5월부터 7월까지는 3개월 연속 줄어든 바 있다.
이는 대출금리가 예금금리보다 큰 폭으로 오른 영향이다. 지난달 5대 은행의 평균 정책서민금융제외 가계대출 금리는 4.128%로 전월 3.938%에서 0.19%포인트 상승했다. 평균 저축성수신금리는 3.394%로 전월 3.368%에서 0.026%포인트 오르는 데 그쳤다.
5대 은행 중에서는 농협은행을 제외한 4대 은행의 예대금리차가 전월보다 커졌다.
은행별 예대금리차는 농협은행 1.05%포인트, 국민은행 0.98%포인트, 하나은행 0.68%포인트, 신한은행 0.53%포인트, 우리은행 0.43%포인트다.
인터넷은행과 지방은행, 외국계 은행 등을 포함한 공시 대상 19개 은행 중 정책서민금융 제외 가계 예대금리차가 가장 큰 곳은 전북은행으로 5.00%포인트다. 가장 작은 곳은 우리은행이다. 전북은행은 “정책서민금융대출, 중저신용자 대상대출의 비중이 높아 대출금리가 높아보인 것”이라고 설명했다.
인터넷전문은행 3사 중에서는 토스뱅크가 1.81%포인트로 가장 컸다. 토스뱅크는 “전월세자금대출의 비중이 증가하며 예대금리차가 소폭 하락했지만 대체로 전월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카카오뱅크 1.72%포인트, 케이뱅크 0.93%포인트로 나타났다.
지난달 잔액 기준 정책서민금융 제외 가계 예대금리차는 5대 은행 중 국민은행이 가장 컸다. 2.28%포인트다. 이어 농협은행 2.20%포인트, 신한은행 2.04%포인트, 우리은행 1.99%포인트, 하나은행 1.94%포인트다.
공시 대상 19개 은행 중에서는 전북은행이 4.61%포인트로 가장 컸으며 KDB산업은행이 0.53%포인트로 가장 작았다.
[서울=뉴시스]
비즈N 탑기사
- ‘책 출간’ 한동훈, 정계 복귀 움직임에 테마株 강세
- 조선 후기 화가 신명연 ‘화훼도 병풍’ 기념우표 발행
- 붕괴 교량과 동일·유사 공법 3곳 공사 전면 중지
- 명동 ‘위조 명품’ 판매 일당 덜미…SNS로 관광객 속였다
- “나대는 것 같아 안올렸는데”…기안84 ‘100 챌린지’ 뭐길래
- ‘전참시’ 이연희, 득녀 5개월만 복귀 일상…아침 산책+운동 루틴
- 국내 기술로 개발한 ‘한국형 잠수함’ 기념우표 발행
- ‘아파트 지하주차장서 음주운전’ 인천시의원 송치
- 학령인구 감소 탓에 도심지 초교마저 학급 편성 ‘비상’
- 상속인 행세하며 100억 원 갈취한 사기꾼 일당 붙잡혀
- 日서 12배 성장 이끈 ‘사무엘 피터’ 콘래드서울 총지배인… “또 가고 싶은 5성 호텔 경험 완성”
- 식당서 파는 소주-맥주 가격마저 올랐다
- 3년 만에 뉴욕서 열리는 갤럭시 언팩…‘초슬림’ 갤Z7 공개 임박
- 삼성, 1조원대 반도체 충당금… “3분기 반등 의지”
- [단독]까르띠에-루이비통… 韓 고객정보 지킬 책임자 없었다
- 마른 장마에 역대급 폭염까지…전력 수요 7월 기준 역대치 경신
- 2금융권 “신용대출 승인율 반토막”… 고강도 규제에 경영 비상
- 롤스로이스 ‘팬텀 덩텔’ 탄생… 아버지 위한 헌정작
- 올 잠재성장률 2% 붕괴… 망가진 ‘경제 기초체력’
- 하반기 전국 13만7796채 분양… 대출규제로 일정 조정 가능성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