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9월까지 덜 걷힌 세수 11.3조…“재추계 예상 범위”
뉴스1
입력 2024-10-31 11:10 수정 2024-10-31 11:11
국세수입 현황…부가세 환급 늘며 9월 부가세 1.5조 감소
1~9월 누계 법인세 7.4조↓…“연간 전망치엔 영향 낮아”
ⓒ 뉴스1 DB.올해 1~9월 걷힌 국세수입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1조 원 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획재정부가 31일 발표한 ‘2024년 9월 국세수입 현황’에 따르면 지난달 국세수입은 23조 1000억 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1조 9000억 원 감소했다.
세목별로 보면 법인세가 중간예납 규모 감소에 따라 전년 동월 대비 6000억 원 감소한 9조 원이었다.
부가가치세도 환급 세액이 증가에 따른 국내분 감소 등으로 1조 4000억 원 줄어든 1조 5000억 원으로 집계됐다.
기재부 관계자는 “반도체 기업의 설비투자가 늘면서 부가세 환급액이 6000억~7000억 원 정도 늘었다”면서도 “3분기 소비가 괜찮아서 10월 부가세 수입이 상당 부분 상쇄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반면 취업자 증가와 임금상승에 따른 근로소득세 증가 영향으로 소득세는 전년보다 5000억 원 늘어난 7조 9000억 원이었다.
이 밖에 증권거래세(-3000억 원)와 관세(-2000억 원) 등이 감소하고 상속증여세(2000억 원)는 증가했으며, 다른 세목은 전년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기재부 제공)
이로써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걷힌 누계 국세수입은 255조 300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조 3000억 원(4.3%) 감소했다.
연간 목표세수 대비 징수 실적을 나타내는 진도율은 69.5%로 지난해 결산안(77.5%) 대비 8%포인트(p) 내렸다. 최근 5년 평균(78.3%)과 비교하면 8.8%p 낮은 수치다.
1~9월 법인세는 전년 동기 대비 17조 4000억 원 줄어든 54조 5000억 원이었다.
법인세 수입이 크게 저조하면서, 역대 최대 ‘세수 펑크’가 발생한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결손이 발생하게 됐다.
정부는 지난 9월 세수 재추계 결과에서 올해 결손액을 29조 6000억 원으로 전망한 바 있다.
다만 기재부 관계자는 “9월 실적에서 부가세 세수가 크게 줄긴 했지만, 재추계에서 발표한 연간 전망치에는 영향이 크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뉴스1)
1~9월 누계 법인세 7.4조↓…“연간 전망치엔 영향 낮아”

기획재정부가 31일 발표한 ‘2024년 9월 국세수입 현황’에 따르면 지난달 국세수입은 23조 1000억 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1조 9000억 원 감소했다.
세목별로 보면 법인세가 중간예납 규모 감소에 따라 전년 동월 대비 6000억 원 감소한 9조 원이었다.
부가가치세도 환급 세액이 증가에 따른 국내분 감소 등으로 1조 4000억 원 줄어든 1조 5000억 원으로 집계됐다.
기재부 관계자는 “반도체 기업의 설비투자가 늘면서 부가세 환급액이 6000억~7000억 원 정도 늘었다”면서도 “3분기 소비가 괜찮아서 10월 부가세 수입이 상당 부분 상쇄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반면 취업자 증가와 임금상승에 따른 근로소득세 증가 영향으로 소득세는 전년보다 5000억 원 늘어난 7조 9000억 원이었다.
이 밖에 증권거래세(-3000억 원)와 관세(-2000억 원) 등이 감소하고 상속증여세(2000억 원)는 증가했으며, 다른 세목은 전년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이로써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걷힌 누계 국세수입은 255조 300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조 3000억 원(4.3%) 감소했다.
연간 목표세수 대비 징수 실적을 나타내는 진도율은 69.5%로 지난해 결산안(77.5%) 대비 8%포인트(p) 내렸다. 최근 5년 평균(78.3%)과 비교하면 8.8%p 낮은 수치다.
1~9월 법인세는 전년 동기 대비 17조 4000억 원 줄어든 54조 5000억 원이었다.
법인세 수입이 크게 저조하면서, 역대 최대 ‘세수 펑크’가 발생한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결손이 발생하게 됐다.
정부는 지난 9월 세수 재추계 결과에서 올해 결손액을 29조 6000억 원으로 전망한 바 있다.
다만 기재부 관계자는 “9월 실적에서 부가세 세수가 크게 줄긴 했지만, 재추계에서 발표한 연간 전망치에는 영향이 크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뉴스1)
비즈N 탑기사
- ‘책 출간’ 한동훈, 정계 복귀 움직임에 테마株 강세
- 조선 후기 화가 신명연 ‘화훼도 병풍’ 기념우표 발행
- 붕괴 교량과 동일·유사 공법 3곳 공사 전면 중지
- 명동 ‘위조 명품’ 판매 일당 덜미…SNS로 관광객 속였다
- “나대는 것 같아 안올렸는데”…기안84 ‘100 챌린지’ 뭐길래
- ‘전참시’ 이연희, 득녀 5개월만 복귀 일상…아침 산책+운동 루틴
- 국내 기술로 개발한 ‘한국형 잠수함’ 기념우표 발행
- ‘아파트 지하주차장서 음주운전’ 인천시의원 송치
- 학령인구 감소 탓에 도심지 초교마저 학급 편성 ‘비상’
- 상속인 행세하며 100억 원 갈취한 사기꾼 일당 붙잡혀
- [자동차와 法] 주요국의 자율주행차 관련 법·제도 현황 살펴보니
- 직장인 64.7% “올해 연봉 협상 결과 불만족”
- “월급 벌써 다 쓰고 없다”…벌이는 그대로인데, 지출 확 늘어난 한국인들
- 갤S25 울트라, 美 컨슈머리포트 스마트폰 평가서 ‘1위’
- 울산 관광, 한곳서 예약하면 최대 20% 할인
- ‘책 출간’ 한동훈, 정계 복귀 움직임에 테마株 강세
- 이 ‘테스트’ 1분만 하면 오래 살지 알 수 있다?
- 기업회생 절차 홈플러스, ‘홈플런’ 할인 1주 연장
- 동해와 태평양을 잇는 해협에 보석같은 어화(漁火)[전승훈 기자의 아트로드]
- “탁 트인 바다·드넓은 들판에서 봄 기운 만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