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명동 광역버스 29일부터 일부 조정…“도심 출·퇴근 혼잡 개선”

뉴시스

입력 2024-06-17 11:45 수정 2024-06-17 11:45

|
폰트
|
뉴스듣기
|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용인→강남 5개 노선 오후 역방향…정류장 변경
9개 노선은 강남대로 중앙차로→가로변에 정차
명동→성남 '명동입구' 정류장 '롯데백화점' 조정


ⓒ뉴시스

서울 도심의 출·퇴근길 혼잡을 줄이기 위해 강남·명동을 통과하는 22개 광역버스 노선·정류장이 오는 29일부터 분산·조정된다.

17일 국토교통부 대도시광역교통위원회(대광위)와 서울시, 인천시, 경기도에 따르면 오는 29일부터 수도권에서 서울 강남으로 향하는 20개 노선과 정류장이 일부 변경된다.

우선 ▲1560번 ▲5001번 ▲5001-1번 ▲5002B번 ▲5003번 등 용인에서 강남으로 운행하는 5개 노선은 퇴근시간대 강남대로 중앙버스전용차로의 신논현→양재 방향의 도로혼잡이 심해지는 것을 감안해 강남역 부근에서 경부고속도로에 빠르게 진입하기 위해 오후시간대 역방향으로 전환한다.

현재는 경부고속도로→반포나들목(IC)→신논현→강남→양재IC→경부고속도로 순으로 진입했으나 29일부터는 오후에 경부고속도로→신양재IC→강남→신논현→반포IC→경부고속도로 순으로 전환된다.

용인 거주 직장인들에게는 서울 출근시 오전 노선번호는 A, 오후 노선번호는 B로 구분된다. 용인에서 출근할 때에는 지금과 같은 정류장에서 승차하면 되나 강남에서 퇴근할 때에는 이용하던 정류장의 차로 반대편 정류장에서 탑승해야 한다.

강남대로 중앙버스전용차로 교통량을 분산하기 위해 15개 노선은 일부 구간에서 가로변 차로로 운행·정차한다. 인천 9500번·9501번·9802번 , 고양 M7412번·9700번·김포 M6427번·6427번·파주 G7426번·포천 3100번 등 9개 노선은 강남대로 신논현→양재 구간에서는 ‘2호선강남역(중)’ 정류장부터 가로변에 정차한다.

양재에서 회차 후 강남대로에서 양재→신논현 방향으로 운행하는 구간에서는 기존과 동일하게 중앙차로를 운행한다. 서울에서 퇴근하는 시민들은 기존에 이용하던 정류장에서 탑승하면 된다.

아울러 ▲M4403번 ▲4403번 ▲1551번 ▲1551B번 ▲8501번 ▲8502번 등 화성 동탄에서 출발하는 6개 노선은 강남대로 중앙차로의 ‘신분당선강남역(중)’ 정류장 대신 강남역 인근 가로변 정류장에 정차한 후 ‘뱅뱅사거리(중)’부터 중앙차로에 합류한다.

강남대로 가로변 정류장도 일부 재배치된다. 성남에서 서울 명동으로 향하는 노선인 9003번과 9300번은 혼잡이 심한 명동 일대와 남산 1호 터널을 우회하도록 회차경로를 남산 1호 터널에서 소월로로 조정한다. 서울역 회차 이후 성남으로 향할 때에는 ‘명동입구’ 정류장을 통과하는 대신 길 건너편 ‘롯데백화점’ 정류장에 정차한다.

국토부는 지난 5월16일 광역버스가 과도하게 집중됐던 ‘남대문세무서(중)’ 정류장 11개 노선을 인근 가로변에 ‘명동성당’ 정류장을 신설해 분산하는 조치를 한 바 있다. 그 결과 혼잡시간대 기존 정류장 정차 버스가 시간당 143대에서 116대로 18.9% 감소하는 효과가 나타났다. 광역버스의 운행차로 분산으로 교통 흐름도 개선돼 퇴근시간대 서울역버스환승센터와 순천향대병원 간 운행 소요시간은 약 30분에서 약 25분으로 5분 내외 단축됐다.

이정희 대광위 광역교통정책국장은 “이번 강남 등 22개 노선의 조정을 통해 버스 이용자는 물론 보행자, 운전자 등의 편의도 증진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철저한 사전 홍보와 안내, 계도 요원 배치를 통해 이용객 혼선을 최대한 방지할 계획이다. 시행 이후 운영상황을 모니터링해 향후 광역버스 정책에 반영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서울=뉴시스]


라이프



모바일 버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