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10명 중 9명 “현재 대한민국이 기후위기 직면”
뉴시스
입력 2024-06-04 11:50 수정 2024-06-04 13:29
기후위기 감시와 예측 위한 설문조사
기상청, 기본계획 수립의 기초자료로
영유아, 노년세대 기후변화에 민감해
국민 10명 중 9명은 현재 대한민국이 기후위기에 처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상청이 4일 발표한 ‘기후위기 감시 및 예측 서비스 발굴을 위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 89.9%가 “현재 대한민국이 기후위기에 직면해 있다”고 답했다.
설문조사는 온라인 정책 참여 공간인 국민생각함을 통해 약 20일 동안 진행됐고 1706명이 응답했다.
기후변화에 가장 민감하게 영향을 받는 세대로, 응답자 30.1%가 영유아 세대를 꼽았다. 신체적으로 가장 연약하며 환경 적응력과 면역력이 취약하다는 이유에서다.
그다음으로는 노년 세대가 뽑혔다. 응답자 26.7%가 복지 사각지대에 처한 상황에서 기후변화 대응에 취약한 노년 세대를 선택했다.
기후변화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현상으로는 폭염(53.8%), 집중호우나 홍수(27.5%)가 있었다.
수확량 감소, 재배지 이동 등 식량 분야(45%), 서식지 이동, 생물종 변화 등 생태계 분야(26.3%)는 기후변화에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분야로 뽑혔다.
응답자 대부분은 기후변화에 관한 감시와 예측이 기후위기 대응에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폭염·한파 등 극단적 날씨(27.5%), 홍수·가뭄·산사태 등 물 관련(23.5%) 현상에 감시와 예측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식량부족(19.1%), 생태계 붕괴(17%)가 뒤를 이었다.
이에 따라 기상청이 제공하는 기후 예측 요소도 다양해져야 한다는 응답이 나왔다.
기온과 강수량 외에도 일사량, 일조시간 등 햇빛정보(33.3%), 해수면 온도, 파도 높이 등 해양정보(30.7%), 토양수분 등 지표정보(18.1%), 풍속 등 바람 정보(17.6%)가 필요하고 답했다.
유희동 기상청장은 “국민이 원하는 기후·기후 변화 감시 및 예측 서비스를 범부처 협업을 통해 기본계획 전략 수립에 적극적으로 반영하겠다”고 말했다.
[서울=뉴시스]
기상청, 기본계획 수립의 기초자료로
영유아, 노년세대 기후변화에 민감해
ⓒ뉴시스
국민 10명 중 9명은 현재 대한민국이 기후위기에 처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상청이 4일 발표한 ‘기후위기 감시 및 예측 서비스 발굴을 위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 89.9%가 “현재 대한민국이 기후위기에 직면해 있다”고 답했다.
설문조사는 온라인 정책 참여 공간인 국민생각함을 통해 약 20일 동안 진행됐고 1706명이 응답했다.
기후변화에 가장 민감하게 영향을 받는 세대로, 응답자 30.1%가 영유아 세대를 꼽았다. 신체적으로 가장 연약하며 환경 적응력과 면역력이 취약하다는 이유에서다.
그다음으로는 노년 세대가 뽑혔다. 응답자 26.7%가 복지 사각지대에 처한 상황에서 기후변화 대응에 취약한 노년 세대를 선택했다.
기후변화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현상으로는 폭염(53.8%), 집중호우나 홍수(27.5%)가 있었다.
수확량 감소, 재배지 이동 등 식량 분야(45%), 서식지 이동, 생물종 변화 등 생태계 분야(26.3%)는 기후변화에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분야로 뽑혔다.
응답자 대부분은 기후변화에 관한 감시와 예측이 기후위기 대응에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폭염·한파 등 극단적 날씨(27.5%), 홍수·가뭄·산사태 등 물 관련(23.5%) 현상에 감시와 예측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식량부족(19.1%), 생태계 붕괴(17%)가 뒤를 이었다.
이에 따라 기상청이 제공하는 기후 예측 요소도 다양해져야 한다는 응답이 나왔다.
기온과 강수량 외에도 일사량, 일조시간 등 햇빛정보(33.3%), 해수면 온도, 파도 높이 등 해양정보(30.7%), 토양수분 등 지표정보(18.1%), 풍속 등 바람 정보(17.6%)가 필요하고 답했다.
유희동 기상청장은 “국민이 원하는 기후·기후 변화 감시 및 예측 서비스를 범부처 협업을 통해 기본계획 전략 수립에 적극적으로 반영하겠다”고 말했다.
[서울=뉴시스]
비즈N 탑기사
- 열차에 두고 내린 결제대금 3천만원, 주인 품으로 무사귀환
- “창가나 통로 옆 좌석도 돈 내야해?”…항공사 ‘좌석 선택 수수료’ 논란
- 이수정 “공수처 무력 사용에 시민 다쳐…다음 선거부턴 꼭 이겨야”
- 주택서 발견된 화재 흔적…‘간이 스프링클러’가 막았다
- ‘아가씨’ ‘여기요(저기요)’…연령·성별 따라 호칭 달라
- ‘쿨’ 김성수, 수십억대 사기 피해 고백…“유재석 말 들을 걸” 후회
- “성경에 대한 흥미 느끼도록…입문 돕는 바람잡이 되고파”
- ‘15년 공백기’ 원빈 근황…여전한 조각 미남
- 제주서 中 여행업자-병원 유착 ‘불법 외국인 진료’ 적발…3명 기소
- 10년 전에도 동절기 공항 철새 퇴치 기술 연구 권고했다
- 구글도, 아마존도, 엔비디아도 ‘이 도시’로 온다…이유는?
- 한양, 평택고덕 패키지형 공모사업 P-2구역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 양재웅, 한남 ‘100억대 고급빌라’ 분양…이승기는 105억 전세살이
- 착한 아파트 ‘평택 브레인시티 수자인’ 분양
- “해외여행 가면 손해”…설 연휴, 국내관광 혜택 쏟아진다
- 국민 10명 중 6명, 대한민국 경제상황 “악화할 것”
- 서울원 아이파크 8일 무순위 청약…전용 74·84㎡ 물량도 나와
- ‘BS그룹’ 새출발… 새로운 CI 선포
- 보아, 18년 전 샀던 청담동 건물…시세차익 71억원
- 알뜰폰 더 싸진다…1만원대 5G 20GB 요금제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