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K 등 하반기 글로벌 전략회의… 화두는 ‘미래’ ‘리밸런싱’

홍석호 기자

입력 2024-06-17 03:00 수정 2024-06-17 03:33

|
폰트
|
뉴스듣기
|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삼성 18∼20일, 반도체 부문은 25일… ‘이재용 美출장 성과’ 바탕 전략 논의
SK, 사업 포트폴리오 재조정 추진
현대차, 시장별 전략 1주일간 검토
롯데, 모빌리티 등 신성장동력 점검




글로벌 경기 침체가 장기화되고 지정학적 리스크가 커지는 상황에서 재계 주요 그룹이 하반기(7∼12월) 경영전략을 구상하는 회의를 잇달아 열고 대응책 마련에 나선다.

16일 재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18일부터 글로벌 전략회의를 연다. 삼성전자는 매년 6월과 12월 등 두 차례 주요 경영진과 해외법인장들이 모여 사업 부문·지역별로 현안을 공유하고 전략에 대해 의견을 나누는 글로벌 전략회의를 진행한다.

우선 18일 모바일경험(MX) 사업부를 시작으로 19일 생활가전(DA), 영상디스플레이(VD) 사업부, 20일 전사 부문이 회의를 연다. 회의는 디바이스경험(DX)부문장을 맡고 있는 한종희 부회장이 주재한다. 지난달 반도체(DS)부문장으로 긴급 투입된 전영현 부회장이 처음 주재하는 DS부문 전략회의는 25일 경기 화성사업장에서 열린다.

삼성전자의 글로벌 전략회의에서는 최근 안팎의 위기 상황을 타개할 해법에 대한 토의가 집중적으로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2주간 글로벌 빅테크 최고경영자(CEO) 등과 관계를 다지고 온 미국 출장 성과를 바탕으로 한 사업 계획도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이 회장은 글로벌 전략회의에 직접 참석하지는 않지만, 미국 비즈니스 미팅에 동행한 주요 경영진이 이 회장의 메시지를 전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회장은 출장을 마치고 13일 귀국하며 “삼성의 강점을 살려 삼성답게 미래를 개척하자”고 위기 돌파 방안을 제시했다.

그룹 차원의 사업 포트폴리오 리밸런싱(재조정)을 추진 중인 SK그룹 경영진은 28, 29일 ‘SK 경영 관리체계(SKMS)’ 등을 주제로 경영전략회의를 가진다. SK그룹은 6월 경영전략회의, 8월 이천포럼, 10월 CEO세미나 등을 통해 그룹의 경영 방향을 정한다.

현재 배터리, 석유화학 등 그룹 주력 사업이 부진에 빠진 상황에서 SK그룹은 고 최종현 선대회장이 1979년 처음 정립한 SKMS를 돌파구로 꺼냈다. 기업문화 회복을 통해 그룹의 구심점을 굳건히 세우겠다는 취지다. 이와 함께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침체)에 따른 SK온 배터리 사업 부진이 모회사인 SK이노베이션의 재무 구조에까지 악영향을 끼치는 상황에서 관련 계열 사업 재편에 대한 큰 그림도 그릴 것으로 전망된다.

현대자동차와 기아는 매년 상·하반기 개최하는 해외권역본부장 회의를 이르면 이달 말 열 것으로 전망된다. 1주간 CEO 주재로 권역본부장, 판매·생산 법인장들이 참석해 주요 시장별 전략을 점검한다.

LG그룹은 지난달 구광모 ㈜LG 대표 주재로 전략보고회를 열고 LG전자, LG이노텍 등 주요 계열사가 추진 중인 사업을 점검했다. LG그룹은 상반기(1∼6월) 전략보고회에서는 계열사별로 중장기적으로 추진할 사업 전략을, 하반기 사업보고회에서는 연간 사업을 검토해 왔다.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도 다음 달 하반기 VCM(옛 사장단 회의)을 주재해 그룹의 중장기 전략을 논의할 것으로 전망된다. 침체기에 빠진 화학 사업의 돌파구를 찾는 한편 헬스앤드웰니스, 모빌리티 등 신성장동력을 점검할 예정이다. VCM에는 신 회장의 장남 신유열 롯데지주 미래성장실장(전무)도 참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홍석호 기자 will@donga.com

라이프



모바일 버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