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10명중 8명이 미혼… 30년뒤엔 청년인구 ‘반토막’
세종=송혜미 기자
입력 2023-11-28 03:00 수정 2023-11-28 04:13
통계청 ‘청년세대의 변화’ 발표
30~34세 미혼 56%… 20년새 3배로
청년인구 2020년 1021만명서
2050년 521만명으로 줄어들어
결혼을 늦추거나 아예 하지 않는 청년이 늘면서 청년 미혼 인구 비중이 80%를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혼자 살거나 부모 집에 얹혀사는 청년들도 크게 늘었다. 가정을 꾸리지 않고 아이를 낳지 않는 청년들이 늘면서 30년 뒤에는 청년 인구가 반 토막 날 것으로 관측된다.
27일 통계청은 이런 내용을 담은 ‘인구주택총조사 결과로 분석한 우리나라 청년세대의 변화’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2020년 결혼하지 않은 만 19∼34세 청년은 783만7000명으로, 전체 청년 인구의 81.5%를 차지했다. 2000년에는 이 나이대 청년 10명 중 5명(54.5%)만이 미혼이었는데 20년 새 이 비중이 27.0%포인트나 뛴 것이다.
남녀가 흔히 결혼하는 연령대인 30∼34세에서도 미혼 비중은 56.3%에 달했다. 2000년(18.7%)에 비해 세 배로 불어난 규모다. 2020년 기준 평균 혼인 연령은 남성 33.2세, 여성 30.8세다.
결혼하지 않는 청년이 늘어나면서 청년세대 가운데 부부가구 비중도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2000년에는 청년세대 37.1%가 부부가구였다. 이 비중은 꾸준히 줄어 2020년(15.5%)에는 절반 수준으로 쪼그라들었다.
이들은 결혼하지 않는 대신 ‘나 홀로 가구’로 독립하거나 ‘캥거루족’이 돼 부모와 함께 살고 있었다. 2020년 청년 5명 중 1명(20.1%)이 1인 가구인 것으로 집계됐다. 20년 전에는 불과 6.6%만이 1인 가구였는데 그 비중이 급격히 늘며 처음 20%를 넘겼다.
부모와 동거하는 청년도 2020년 55.3%로 20년 전(46.2%)보다 10%포인트가량 늘었다. 부모에게 용돈을 받아 생활비를 마련하는 청년은 2020년 기준 10명 중 3명(29.5%)이었다. 성별로는 남성(32.0%)이 여성(26.9%)보다 부모의 지원에 더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 관계자는 “결혼하지 않는 청년이 늘어나면서 졸업을 했거나 경제활동을 하는데도 부모와 같이 사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며 “부모의 도움에 점점 더 의존하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체 청년 인구는 2020년 1021만3000명으로 전체 인구(5013만3000명)의 20.4%를 차지했다. 5년 전인 2015년에 비해 인구는 48만3000명, 비중은 4.5%포인트 감소했다. 청년 인구 비중은 1990년(31.9%)을 정점으로 꾸준히 떨어지고 있다. 이런 추세가 지속되면 2050년 청년 인구는 521만3000명으로 쪼그라들 것으로 추산된다. 약 30년 뒤 청년 인구가 절반으로 줄어드는 것이다. 총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11.0%로 반 토막 날 것으로 예상됐다.
세종=송혜미 기자 1am@donga.com
30~34세 미혼 56%… 20년새 3배로
청년인구 2020년 1021만명서
2050년 521만명으로 줄어들어
결혼을 늦추거나 아예 하지 않는 청년이 늘면서 청년 미혼 인구 비중이 80%를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혼자 살거나 부모 집에 얹혀사는 청년들도 크게 늘었다. 가정을 꾸리지 않고 아이를 낳지 않는 청년들이 늘면서 30년 뒤에는 청년 인구가 반 토막 날 것으로 관측된다.
27일 통계청은 이런 내용을 담은 ‘인구주택총조사 결과로 분석한 우리나라 청년세대의 변화’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2020년 결혼하지 않은 만 19∼34세 청년은 783만7000명으로, 전체 청년 인구의 81.5%를 차지했다. 2000년에는 이 나이대 청년 10명 중 5명(54.5%)만이 미혼이었는데 20년 새 이 비중이 27.0%포인트나 뛴 것이다.
남녀가 흔히 결혼하는 연령대인 30∼34세에서도 미혼 비중은 56.3%에 달했다. 2000년(18.7%)에 비해 세 배로 불어난 규모다. 2020년 기준 평균 혼인 연령은 남성 33.2세, 여성 30.8세다.
결혼하지 않는 청년이 늘어나면서 청년세대 가운데 부부가구 비중도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2000년에는 청년세대 37.1%가 부부가구였다. 이 비중은 꾸준히 줄어 2020년(15.5%)에는 절반 수준으로 쪼그라들었다.
이들은 결혼하지 않는 대신 ‘나 홀로 가구’로 독립하거나 ‘캥거루족’이 돼 부모와 함께 살고 있었다. 2020년 청년 5명 중 1명(20.1%)이 1인 가구인 것으로 집계됐다. 20년 전에는 불과 6.6%만이 1인 가구였는데 그 비중이 급격히 늘며 처음 20%를 넘겼다.
부모와 동거하는 청년도 2020년 55.3%로 20년 전(46.2%)보다 10%포인트가량 늘었다. 부모에게 용돈을 받아 생활비를 마련하는 청년은 2020년 기준 10명 중 3명(29.5%)이었다. 성별로는 남성(32.0%)이 여성(26.9%)보다 부모의 지원에 더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 관계자는 “결혼하지 않는 청년이 늘어나면서 졸업을 했거나 경제활동을 하는데도 부모와 같이 사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며 “부모의 도움에 점점 더 의존하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체 청년 인구는 2020년 1021만3000명으로 전체 인구(5013만3000명)의 20.4%를 차지했다. 5년 전인 2015년에 비해 인구는 48만3000명, 비중은 4.5%포인트 감소했다. 청년 인구 비중은 1990년(31.9%)을 정점으로 꾸준히 떨어지고 있다. 이런 추세가 지속되면 2050년 청년 인구는 521만3000명으로 쪼그라들 것으로 추산된다. 약 30년 뒤 청년 인구가 절반으로 줄어드는 것이다. 총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11.0%로 반 토막 날 것으로 예상됐다.
세종=송혜미 기자 1am@donga.com
비즈N 탑기사
- 열차에 두고 내린 결제대금 3천만원, 주인 품으로 무사귀환
- “창가나 통로 옆 좌석도 돈 내야해?”…항공사 ‘좌석 선택 수수료’ 논란
- 이수정 “공수처 무력 사용에 시민 다쳐…다음 선거부턴 꼭 이겨야”
- 주택서 발견된 화재 흔적…‘간이 스프링클러’가 막았다
- ‘아가씨’ ‘여기요(저기요)’…연령·성별 따라 호칭 달라
- ‘쿨’ 김성수, 수십억대 사기 피해 고백…“유재석 말 들을 걸” 후회
- “성경에 대한 흥미 느끼도록…입문 돕는 바람잡이 되고파”
- ‘15년 공백기’ 원빈 근황…여전한 조각 미남
- 제주서 中 여행업자-병원 유착 ‘불법 외국인 진료’ 적발…3명 기소
- 10년 전에도 동절기 공항 철새 퇴치 기술 연구 권고했다
- 한양, 평택고덕 패키지형 공모사업 P-2구역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 서울원 아이파크 8일 무순위 청약…전용 74·84㎡ 물량도 나와
- 착한 아파트 ‘평택 브레인시티 수자인’ 분양
- 보아, 18년 전 샀던 청담동 건물…시세차익 71억원
- ‘BS그룹’ 새출발… 새로운 CI 선포
- 삼성, 쓰던 갤럭시폰 매입 시작…중고폰 시장 메기될까
- ‘은퇴’ 추신수, SSG 프런트로 새 출발…육성 파트 맡을 듯
- 양재웅, 한남 ‘100억대 고급빌라’ 분양…이승기는 105억 전세살이
- “해외여행 가면 손해”…설 연휴, 국내관광 혜택 쏟아진다
- 알뜰폰 더 싸진다…1만원대 5G 20GB 요금제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