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사 3년미만’ 신입사원 10명중 8명 “퇴사·이직 고민중”
뉴시스
입력 2023-03-17 15:24:00 수정 2023-03-17 15:24:15

좁은 취업문을 뚫고 들어온 MZ세대(밀레니엄+Z세대) 10명 중 8명은 ‘퇴직 또는 이직’을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무 목적이 불투명하거나, 상사의 지나친 간섭이 있을 때 ‘멘탈(정신력)’이 무너진다고 답한 이들이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17일 리멤버와 한국능률협회컨설팅이 상장기업 3년차 이내 신입사원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직 또는 퇴사를 고려해봤다’고 답한 응답자는 전체의 83%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어렵게 취업에 성공했지만 대다수의 신입사원이 얼마 지나지 않아 퇴사를 고려한다는 것이다.
MZ세대에게 멘탈이 무너지는 순간이 언제인지 물었다. ‘업무 목적이 불투명할 때’ 멘탈이 무너진다고 답한 비율이 31.8%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이외에도 ‘상사의 지나친 간섭(18.4%)’, ‘도와줄 사람이 없을 때(17.7%)’ 등이 뒤를 이었다.
동료·상사로부터 일과 관련된 직접적인 도움을 선호하는 이들도 많았다.
사수가 멋있어 보이는 순간을 묻는 질문에 ‘업무적으로 뛰어난 역량을 보여줄 때(47.4%)’라고 답한 이들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실수를 커버해줄 때(18.7%)’, ‘업무지시를 명확하게 내릴 때(15.0%)’가 뒤를 이었다.
또한 일에서 의미와 재미를 찾는 경향이 강한 MZ세대의 경우, 돈보다는 커리어 성장이나 조직문화를 더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 시 다른 부분이 만족스럽다면 포기할 수 있는 것으로는 ‘연봉(28.7%)’이 가장 높은 순위를 차지했다. ‘사내 교육 지원(23.9%)’도 2위를 차지했다. 유튜브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쉽게 원하는 교육을 받을 수 있는 디지털 환경 변화의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 이외에 직주 근접(14.3%), 워라밸(13.3%), 커리어 성장(6.6%), 복리후생(3.8%) 등이 뒤를 이었다.
한편 서류 전형에서 가장 불쾌감이 들었던 경험으로는 ‘불합격에 대한 통보조차 하지 않음(52.2%)’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서 ‘민감한 정보 기재 요구(33.4%)’, ‘신체 정보 기재 요구(8.3%)’ 등이 뒤를 이었다.
면접에서 가장 불쾌감이 들었던 경험으로는 ‘면접관의 태도가 무례함(29.3%)’이 1위를 차지했다. 면접 준비에 드는 시간과 노력을 중시하는 요즘 ‘면접비를 제공하지 않는 것(19.8%)’에 대해서도 많은 이들이 불쾌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뉴시스]
비즈N 탑기사
- 여친에 청혼하기 위해 ‘가짜 버스시간표’ 설치한 英 남성
- 혀로 ‘쏙쏙’ 젠가 뽑기…세상 가장 긴 혀 가진 男, 기네스 새기록
- 밤하늘 위 수상한 불빛, UFO인줄 알았는데…알고 보니?
- 中에 차량 뒤덮는 벌레 비?…정체는 “OOO 인듯”
- 제주에 노란 개나리 ‘활짝’…작년·평년 보다 4일 빨리 ‘개화’
- “짜장면 1개에 5만5000원 기부” 자랑…알고보니 ‘설정샷’
- ‘서울도 문 닫는 학교’ 이유 있었다…아동인구 감소폭 전국 최고
- ‘에에올’ 아카데미 작품상…괴짜 듀오에 반했다
- “대리 축의금 9만9000원 낸 후배”…1000원 행방은?
- “부끄러운 동문”…서울대에 ‘정순신 임명 비판’ 대자보
- 권도형 체포, 암호화폐 천재에서 일개 범죄자로 추락
- 신한은행, 모든 가계대출 금리 인하…최대 1.5%P 내려
- 삼성전자, 임금 인상 사측 2% vs 노조 10%…입장차 커
- “10명 중 7명이 한국인?”…일본·동남아 방문객 1위 싹쓸이
- 배달 치킨 1마리값 3만원 시대…교촌發 ‘도미노’ 가격인상되나
- 280조원 쏟아붓고도 출산율 ‘1’도 안되는 한국…정부 대책 부심
- 간편결제 일평균 이용액 7000억 돌파…사상 최대
- ‘공시가 하락’ 후폭풍… 전세보증보험 탈락 늘듯
- ‘편리성’ 인터넷銀-‘자금력’ 지방銀 손잡고 공동대출 추진
- 5대 은행, 주담대 심사 때 임차인 보증금 감안해 대출 실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