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Z세대, 10명 중 8명은 노후 불안…퇴직연금 잘 몰라”
뉴시스
입력 2022-09-27 16:21 수정 2022-09-27 16:21
MZ세대(1980~2000년대 출생)가 10명 중 8명은 노후가 불안하다고 생각하지만 이를 대비하기 위한 연금에 대한 지식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키움투자자산운용 ‘MZ 그리고 미래’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80.6%는 노후가 불안하다고 답했다. 이유는 경제적인 부분에 대한 걱정(93.2%)이 압도적이었다. 현재 노후 준비를 못하고 있다는 게 42.7%로 보통이다(43.0%)와 비슷한 응답률을 보여 응답 대부분을 차지했다. 현재 소득이 적다는 게 이유였다.
이번 설문은 MZ세대를 위한 경제 뉴르레터 어피티와 연금 뉴스레터 연금술사 구독자 1009명을 대상으로 5월18일부터 25일까지 2주간 실시됐다.
연령대는 25세 이상 35세 미만이 74.9%로 평균 연소득은 3000만원 미만이 28.6%, 3000만원 이상~5000만원 미만이 50%였다. 퇴직연금 적립금은 3000만원 미만이 71.4% 수준이었다.
연금에 대한 관심은 있는 편(45.8%), 관심 많음(26.4%) 순이었다. 퇴직연금 필요성은 인식하지만 운용방법은 잘 모르겠다 답한 비율도 54.1%로 적지 않았다. 퇴직연금 자산 대부분이 원리금 보장형에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32.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퇴직연금 포트폴리오 점검에 대한 질문에는 1년에 한 번도 안 한다가 42.9%로 가장 높았고, 리밸런싱으로 수익률 개선 경험이 있는지 확인하는 질문에도 수익률 개선이 없거나 무의미한 수준이라는 답변이 45.2%를 차지했다.
김혜나 키움투자자산운용 팀장은 “부모 세대 대비 저성장 시대를 살아가는 MZ세대가 노후 준비에 대한 인식은 높지만 구체적인 방법을 알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MZ세대를 위한 퇴직연금 운용 교육이 절실해 보인다”고 말했다.
[서울=뉴시스]
27일 키움투자자산운용 ‘MZ 그리고 미래’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80.6%는 노후가 불안하다고 답했다. 이유는 경제적인 부분에 대한 걱정(93.2%)이 압도적이었다. 현재 노후 준비를 못하고 있다는 게 42.7%로 보통이다(43.0%)와 비슷한 응답률을 보여 응답 대부분을 차지했다. 현재 소득이 적다는 게 이유였다.
이번 설문은 MZ세대를 위한 경제 뉴르레터 어피티와 연금 뉴스레터 연금술사 구독자 1009명을 대상으로 5월18일부터 25일까지 2주간 실시됐다.
연령대는 25세 이상 35세 미만이 74.9%로 평균 연소득은 3000만원 미만이 28.6%, 3000만원 이상~5000만원 미만이 50%였다. 퇴직연금 적립금은 3000만원 미만이 71.4% 수준이었다.
연금에 대한 관심은 있는 편(45.8%), 관심 많음(26.4%) 순이었다. 퇴직연금 필요성은 인식하지만 운용방법은 잘 모르겠다 답한 비율도 54.1%로 적지 않았다. 퇴직연금 자산 대부분이 원리금 보장형에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32.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퇴직연금 포트폴리오 점검에 대한 질문에는 1년에 한 번도 안 한다가 42.9%로 가장 높았고, 리밸런싱으로 수익률 개선 경험이 있는지 확인하는 질문에도 수익률 개선이 없거나 무의미한 수준이라는 답변이 45.2%를 차지했다.
김혜나 키움투자자산운용 팀장은 “부모 세대 대비 저성장 시대를 살아가는 MZ세대가 노후 준비에 대한 인식은 높지만 구체적인 방법을 알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MZ세대를 위한 퇴직연금 운용 교육이 절실해 보인다”고 말했다.
[서울=뉴시스]
비즈N 탑기사
- 김소월 ‘진달래꽃’ 초판본 1.65억원…근현대문학 서적 경매 최고가
- “편의점이 휴게소냐”…신발 벗고 1시간 있다가 가져온 ‘닭뼈’ 버리고 간 男
- “자식 아니어도 후계자 가능”…세계 최고부자 루이비통 회장 발언 화제
- 코카인이 석유 제치고 콜롬비아 수출품 1위 등극 ‘오명’
- 지하철 선로로 빠진 내 휴대폰, 당황하지 말고…“위치 기억해 신고”
- 1.5㎞ 걸어 간 자폐 가출인…CCTV 관제센터 덕에 무사 귀가
- 포도주가 강처럼 흘러…포르투갈 양조장 탱크 터져
- 퇴근 후 운동하던 경찰들, 쓰러진 시민 구했다 “남편 잃을 뻔…감사”
- 잠 못 이루게 하는 ‘슈퍼 블루문’?…과학적 근거 있을까
- 5000원에 구매한 그림이 3억?…로또 맞은 골동품 애호가
- 삼성전자, 전력효율 70% 높인 D램 모듈 첫 개발
- “웰컴 유커” 오전엔 전통문화, 오후엔 K뷰티 체험해볼까
- 블록 분류하고 한발 요가… 테슬라 AI로봇, 인간에 더 가까이
- 가계대출 1인당 빚, 年소득의 3배… 청년 대출 급증
- 공공주택 12만채 건설… 공급속도 높인다
- 서울 아파트 ‘상승거래’ 세달 연속 50% 웃돌았다…2021년 10월 이후 최고치
- ‘혼추족’ 마음 달랠, 풍성한 도시락
- 7월 출생아수, 2만명선 무너져 ‘역대 최저’…인구 45개월 연속 자연감소
- 1~7월 근로자 실질임금 1년 전보다 5만3천원↓…고물가 여파 지속
- 추석 이후 연말까지 대단지 3만4920가구 분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