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Z세대가 본 ‘윤석열표’ 청년주거해법…“좋은 기회지만 로또 같아”
뉴스1
입력 2022-08-17 14:39 수정 2022-08-17 14:49

청년원가 주택?역세권 첫집은 청년에게 좋은 기회로 보인다. 시세의 70% 이하로 분양받을 수 있고, 저금리로 초장기(40년 이상) 모기지가 지원된다. 5년의 의무 거주기간 이후 공공에 환매할 수 있어 70%의 시세차익까지 가져갈 수 있다.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은 이 정책으로 끊어진 주거 사다리를 복원하겠다고 했다. 사다리를 타고 올라야 할 청년, 신혼부부는 두 정책을 어떻게 생각할까. 뉴스1은 이들의 목소리를 통해 정책에 대한 기대와 우려를 살펴봤다.
◇‘내 집 마련’ 꿈꾸기 힘든 시대…“청년 입장에선 좋은 기회”
“청년 입장에서 좋은 기회인 것은 맞다.”
청년들은 청년원가 주택?역세권 첫집이 ‘내 집 마련’을 위한 징검다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자격증을 준비하는 동안 부모의 월세 부담을 조금이라도 덜고자 월세 30만원짜리 서울 종로구 옥탑방에 거주하고 있는 이주원씨(26). 그는 청년 원가 주택?역세권 첫집이 내 집 마련으로 나아가는 좋은 기회임을 강조했다.
이씨는 “모든 2030이 똑같겠지만 만나면 하는 얘기가 다 집 얘기”라며 “나라에서 저리에 70% 가격으로 주택 분양하게 해준다면 앞으로 집을 사려고 돈을 모으는 입장에서 도움이 될 것 같다”고 밝혔다.
집 걱정이 한창인 예비 신부도 정책이 시행된다면 신청할 계획이다. 내년 5월에 결혼할 예정인 전혜린씨(24)는 “원가에 들어갈 수 있고, 역세권이고 좋은 거 다 넣은 것 같다”며 “이자율 너무 높은데 저금리로 해준다고 하니 너무 좋다”고 말했다.
공무원 시험 준비차 제주도에서 서울 동작구 노량진동으로 이사한 김모씨(23·여)도 “여건이 된다면 신청해볼 것 같다”며 “사회 초년생인 청년 주거 문제 해결을 위해 국가 공공성을 강화하는 방향의 정책은 바람직하다”는 견해를 밝혔다.

청년들은 좋은 기회임을 인정하면서도, 우려되는 지점이 여전하다고 입을 모아 지적했다.
대학생 이영석씨(26)는 “너무 로또 같다”고 평했다. 물량은 한정돼 있는데 일부에게만 싼값에 시세 차익까지 기대할 수 있는 주택을 분양하면, 정책 대상인 젊은 층 사이에서도 공정성 논란이 제기될 수 있다는 것이다.
시세 차익을 책정하는 과정에서 갈등이 생길 수도 있다는 예상도 나온다. 청년원가 주택?역세권 첫집은 공공 환매만 가능하다. 이씨는 “지역에서 건물이 어떻게 평가받느냐에 따라 (시세차익이) 결정된다”고 꼬집었다.
재원 마련이 어려워 공급에 차질이 생길 가능성도 제기된다. 공공택지를 제외하곤 선호 지역인 도심, 역세권 대부분은 민간 소유 토지라 확보에 큰 재원이 든다. 추후 공공이 집을 다시 사들여야 해 분양 이후에도 재정 문제가 불거질 수 있다는 예상도 있다.
양천구에서 부모와 함께 거주하는 박모씨(32·남)는 “입지가 좋은 곳 위주로 지으려면 돈이 좀 드는 게 아닐 텐데 (재원을) 어떻게 마련할지 궁금하다”며 “땅값만 생각해도 분양가가 높을 것 같은데 아무리 원가 공급에 저금리라도 청년들이 부담하기엔 어렵지 않을까 싶다”고 전했다.
수도권에 물량이 편중될 것이란 예상에 지방 청년은 배제된다는 우려도 있다. 지방에서 대학을 다니는 김모씨(26)는 “정책 타겟에서 지방 사람은 빠져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제주도가 고향인 김서연씨도 “수도권과 지방 격차가 벌어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서울=뉴스1)
비즈N 탑기사
- 김소월 ‘진달래꽃’ 초판본 1.65억원…근현대문학 서적 경매 최고가
- “편의점이 휴게소냐”…신발 벗고 1시간 있다가 가져온 ‘닭뼈’ 버리고 간 男
- “자식 아니어도 후계자 가능”…세계 최고부자 루이비통 회장 발언 화제
- 코카인이 석유 제치고 콜롬비아 수출품 1위 등극 ‘오명’
- 지하철 선로로 빠진 내 휴대폰, 당황하지 말고…“위치 기억해 신고”
- 1.5㎞ 걸어 간 자폐 가출인…CCTV 관제센터 덕에 무사 귀가
- 포도주가 강처럼 흘러…포르투갈 양조장 탱크 터져
- 퇴근 후 운동하던 경찰들, 쓰러진 시민 구했다 “남편 잃을 뻔…감사”
- 잠 못 이루게 하는 ‘슈퍼 블루문’?…과학적 근거 있을까
- 5000원에 구매한 그림이 3억?…로또 맞은 골동품 애호가
- 삼성전자, 전력효율 70% 높인 D램 모듈 첫 개발
- “웰컴 유커” 오전엔 전통문화, 오후엔 K뷰티 체험해볼까
- 블록 분류하고 한발 요가… 테슬라 AI로봇, 인간에 더 가까이
- 가계대출 1인당 빚, 年소득의 3배… 청년 대출 급증
- 공공주택 12만채 건설… 공급속도 높인다
- 서울 아파트 ‘상승거래’ 세달 연속 50% 웃돌았다…2021년 10월 이후 최고치
- ‘혼추족’ 마음 달랠, 풍성한 도시락
- 7월 출생아수, 2만명선 무너져 ‘역대 최저’…인구 45개월 연속 자연감소
- 1~7월 근로자 실질임금 1년 전보다 5만3천원↓…고물가 여파 지속
- 추석 이후 연말까지 대단지 3만4920가구 분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