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내시경 시술 후 부작용 발생 가능성, 최대 45배 증가
홍은심 기자
입력 2025-05-20 11:21 수정 2025-05-20 11:26
- 소화기내과 천재영·김민재 교수팀, 대장내시경 검사 부작용 위험도 측정 도구 개발
- 의료진·환자·보호자가 객관화된 지표로 치료 방향 결정에 도움 될 것

고령화로 매년 대장내시경 시술을 받는 환자의 나이가 많아지고 있다. 60세 이상 고령 환자는 평소 복용하는 약물이나 신체 기능 저하 같은 요인에 따라 대장내시경 이후 출혈, 천공, 전신 합병증 같은 부작용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최근 국내 연구팀이 고령 환자 대상 대장내시경을 시행할 때 부작용 발생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해 논문으로 펴냈다.
강남세브란스병원 소화기내과 천재영·김민재 교수팀은 고령 환자가 대장내시경을 할 때, 개별 환자가 지닌 위험도를 정확하게 평가해 시술 여부와 시기를 판단하는 도구에 관한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60세 이상 고령 환자가 대장내시경을 받은 후 30일 이내에 응급실을 찾거나 계획되지 않은 입원을 했을 경우를 부작용 발생 상황으로 정의했다. 또한 노쇠 정도와 항혈소판제·항응고제 복용 상태 같은 부작용 유발 위험 인자를 점수로 객관화하는 방안을 마련했다.
연구팀은 2017년 8월부터 2022년 8월까지 강남세브란스병원에서 대장내시경 시술을 받은 60세 이상 환자 총 8154명을 대상군으로 삼아 추적·관찰했다. 대상군 응급실 방문과 입원 기록을 검토하면서 동시에 환자별 혈액 검사 결과와 활력징후를 바탕으로 노쇠 지표 점수를 고안했다. 노쇠 지표는 측정값에 따라 낮음, 중간, 높음의 세 단계로 구분했다.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는 평소 복용 약물도 위험 유발 점수를 부여했다. 항혈소판제에 속하는 아스피린과 P2Y12 억제제를 복용하고 있다면 각각 1점씩, 항응고제 사용도 1점을 주었다. 노쇠 지표는 중간 수준일 때 2점, 높은 수준일 경우 3점으로 처리했다.
노쇠 지표 점수와 평소 복용 약물 점수를 합산해 부작용 발생 가능에 대한 세 그룹으로 최종 나눴다. 최종 점수 0점은 저위험군, 1~3점은 중위험군, 4~6점은 고위험군에 속했다.
연구 결과, 평균 연령 67.9세(60~94세)로 구성된 8154명 가운데 30일 이내 부작용이 발생한 확률은 1.4%(114명)였다. 부작용 발생에는 평소 사용하는 아스피린, P2Y12 억제제, 항응고제가 각각 독립 인자로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했다. 노쇠 지표도 중간과 높음은 부작용 발생에 영향을 주는 인자로 밝혀졌다.
노쇠 지표 점수와 평소 복용 약물 점수를 합산해 산출한 최종 점수도 세 그룹이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다. 합산 점수 0점에 속하는 낮은 위험 그룹은 4877명 중 13명만이 부작용 증세를 보였다. 중위 위험 그룹과 높은 위험 그룹은 각각 2922명 중 64명(2.2%)과 355명 중 38명(10.7%)을 나타냈다. 낮은 위험 그룹과 비교할 때 중위 위험 그룹은 약 8.4배, 높은 위험 그룹은 약 45배 부작용 발생 가능성이 커짐을 보였다.
연구를 주도한 천재영 교수는 “두 곳의 타 의료기관에서 수집한 대장내시경 검사 9154건 데이터에도 같은 방식을 적용해 비슷한 결과물을 얻음으로써 검증을 마쳤다. 과거에는 단순히 고령이라는 이유로 시술을 제한하는 경우가 많지만, 실제로 대장내시경 연관 부작용은 나이보다 다른 요인들과 연관돼 있다”라며 “의료진은 물론 환자와 보호자도 객관화된 지표를 확인해 치료 방향을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논문은 국제 위장관학 학술지인 Gut and Liver 5월 온라인판에 ‘고령 환자 대상 대장내시경 후 30일 이내 부작용 발생 예측을 위한 새 위험 점수 개발’이라는 제목으로 실렸다.
홍은심 기자 hongeunsim@donga.com
- 의료진·환자·보호자가 객관화된 지표로 치료 방향 결정에 도움 될 것

고령화로 매년 대장내시경 시술을 받는 환자의 나이가 많아지고 있다. 60세 이상 고령 환자는 평소 복용하는 약물이나 신체 기능 저하 같은 요인에 따라 대장내시경 이후 출혈, 천공, 전신 합병증 같은 부작용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최근 국내 연구팀이 고령 환자 대상 대장내시경을 시행할 때 부작용 발생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해 논문으로 펴냈다.
강남세브란스병원 소화기내과 천재영·김민재 교수팀은 고령 환자가 대장내시경을 할 때, 개별 환자가 지닌 위험도를 정확하게 평가해 시술 여부와 시기를 판단하는 도구에 관한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60세 이상 고령 환자가 대장내시경을 받은 후 30일 이내에 응급실을 찾거나 계획되지 않은 입원을 했을 경우를 부작용 발생 상황으로 정의했다. 또한 노쇠 정도와 항혈소판제·항응고제 복용 상태 같은 부작용 유발 위험 인자를 점수로 객관화하는 방안을 마련했다.
연구팀은 2017년 8월부터 2022년 8월까지 강남세브란스병원에서 대장내시경 시술을 받은 60세 이상 환자 총 8154명을 대상군으로 삼아 추적·관찰했다. 대상군 응급실 방문과 입원 기록을 검토하면서 동시에 환자별 혈액 검사 결과와 활력징후를 바탕으로 노쇠 지표 점수를 고안했다. 노쇠 지표는 측정값에 따라 낮음, 중간, 높음의 세 단계로 구분했다.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는 평소 복용 약물도 위험 유발 점수를 부여했다. 항혈소판제에 속하는 아스피린과 P2Y12 억제제를 복용하고 있다면 각각 1점씩, 항응고제 사용도 1점을 주었다. 노쇠 지표는 중간 수준일 때 2점, 높은 수준일 경우 3점으로 처리했다.
노쇠 지표 점수와 평소 복용 약물 점수를 합산해 부작용 발생 가능에 대한 세 그룹으로 최종 나눴다. 최종 점수 0점은 저위험군, 1~3점은 중위험군, 4~6점은 고위험군에 속했다.
연구 결과, 평균 연령 67.9세(60~94세)로 구성된 8154명 가운데 30일 이내 부작용이 발생한 확률은 1.4%(114명)였다. 부작용 발생에는 평소 사용하는 아스피린, P2Y12 억제제, 항응고제가 각각 독립 인자로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했다. 노쇠 지표도 중간과 높음은 부작용 발생에 영향을 주는 인자로 밝혀졌다.
노쇠 지표 점수와 평소 복용 약물 점수를 합산해 산출한 최종 점수도 세 그룹이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다. 합산 점수 0점에 속하는 낮은 위험 그룹은 4877명 중 13명만이 부작용 증세를 보였다. 중위 위험 그룹과 높은 위험 그룹은 각각 2922명 중 64명(2.2%)과 355명 중 38명(10.7%)을 나타냈다. 낮은 위험 그룹과 비교할 때 중위 위험 그룹은 약 8.4배, 높은 위험 그룹은 약 45배 부작용 발생 가능성이 커짐을 보였다.
연구를 주도한 천재영 교수는 “두 곳의 타 의료기관에서 수집한 대장내시경 검사 9154건 데이터에도 같은 방식을 적용해 비슷한 결과물을 얻음으로써 검증을 마쳤다. 과거에는 단순히 고령이라는 이유로 시술을 제한하는 경우가 많지만, 실제로 대장내시경 연관 부작용은 나이보다 다른 요인들과 연관돼 있다”라며 “의료진은 물론 환자와 보호자도 객관화된 지표를 확인해 치료 방향을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논문은 국제 위장관학 학술지인 Gut and Liver 5월 온라인판에 ‘고령 환자 대상 대장내시경 후 30일 이내 부작용 발생 예측을 위한 새 위험 점수 개발’이라는 제목으로 실렸다.
홍은심 기자 hongeunsim@donga.com
비즈N 탑기사
- ‘책 출간’ 한동훈, 정계 복귀 움직임에 테마株 강세
- 조선 후기 화가 신명연 ‘화훼도 병풍’ 기념우표 발행
- 붕괴 교량과 동일·유사 공법 3곳 공사 전면 중지
- 명동 ‘위조 명품’ 판매 일당 덜미…SNS로 관광객 속였다
- “나대는 것 같아 안올렸는데”…기안84 ‘100 챌린지’ 뭐길래
- ‘전참시’ 이연희, 득녀 5개월만 복귀 일상…아침 산책+운동 루틴
- 국내 기술로 개발한 ‘한국형 잠수함’ 기념우표 발행
- ‘아파트 지하주차장서 음주운전’ 인천시의원 송치
- 학령인구 감소 탓에 도심지 초교마저 학급 편성 ‘비상’
- 상속인 행세하며 100억 원 갈취한 사기꾼 일당 붙잡혀
- [자동차와 法] 주요국의 자율주행차 관련 법·제도 현황 살펴보니
- 건강에 좋다는 ‘이것’, 오히려 비만 위험…반전 경고 나와
- 48cm ‘장침’ 꽂으며 명의 행세…무면허 시술 70대男 구속
- 서울 vs 지방 부동산시장 양극화…풍부한 개발호재 갖춘 ‘서울원 아이파크’ 주목
- “담도암으로 엄마 잃어… 1억원 넘는 신약 치료비 등 개선 노력”
- “신선한 맥주를 더 오래 즐기는 방법”… 스텔라 아르투아의 ‘퍼펙트 서브’
- 한달 만에 11억 오른 압구정…실수요자 ‘지금이 매수 적기’ 판단
- “자고 나면 오른다”…규제 지정될라, 성동구 ‘패닉 바잉’ 확산
- 건강 생각해 논알코올 맥주? 혼합-밀 맥주는 혈당-중성지방 증가
- “폐암은 재발률 높은게 현실… EGFR 표적 치료제에 희망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