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참조기 값 32% 뛰고, 소고기 16% 내려
세종=송혜미 기자
입력 2023-09-25 03:00 수정 2023-09-25 04:08
대형마트 판매가 작년 추석과 비교
폭염-이상수온에 과일-생선값 올라
소고기값, 사육 마릿수 늘며 싸져

추석을 앞두고 과일과 참조기, 쌀 등의 가격이 지난해보다 일제히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비용 부담이 큰 소고기값이 떨어지면서 차례상 물가는 1년 전보다 소폭 내려갈 전망이다.
24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추석을 9일 앞둔 20일 기준 대형마트 34곳의 배 가격은 5개에 평균 1만6283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추석을 열흘 앞둔 성수기 가격(1만2297원)보다 32.4% 뛰었다. 전통시장 16곳의 배 가격은 평균 1만7600원으로 지난해(1만5367원)보다 14.5% 올랐다. 올해 대형마트의 사과 5개 가격은 1만7580원으로 지난해(1만4778원)보다 19.0% 올랐다. 다만 전통시장 판매가는 1만5528원으로 1년 전(1만5118원)보다 2.7% 오른 데 그쳤다. 과일값이 일제히 오른 것은 올봄 평년보다 쌀쌀한 날이 이어진 데다 여름철 폭염과 폭우가 겹친 데 따른 것이다.
이상기온 등의 영향으로 어획량이 줄면서 참조기값도 비싸졌다. 참조기 3마리 가격은 대형마트 4479원, 전통시장 4830원으로 1년 전보다 각각 31.8%, 35.4% 뛰었다. 쌀 2kg 가격은 대형마트 5685원, 전통시장 5585원으로 각각 25.7%, 7.4% 올랐다.
반면 차례상 비용 중 큰 몫을 차지하는 소고기값은 떨어졌다. 올해 한우 사육 마릿수가 늘면서 가격이 안정화된 영향이 컸다. 육전 등에 쓰이는 소고기 우둔살(1.8kg)은 대형마트에서 평균 8만1884원에 팔리고 있다. 1년 전(9만7495원)보다 16.0% 내렸다. 전통시장 판매가(7만5508원)도 지난해보다 11.2% 낮다. 국거리로 쓰이는 소고기 양지살(300g)은 대형마트 1만6521원, 전통시장 1만3974원으로 각각 7.9%, 10.6% 낮아졌다.
aT는 전통 차례상을 차리는 가정이 대형마트에서 장을 보면 올해 34만2215원이 들 것이라고 전망했다. 같은 품목을 전통시장에서 사면 26만6652원으로 대형마트보다 8만 원 가까이 덜 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1년 전과 비교하면 대형마트는 5.5%, 전통시장은 2.0% 낮아진 가격이다.
세종=송혜미 기자 1am@donga.com
폭염-이상수온에 과일-생선값 올라
소고기값, 사육 마릿수 늘며 싸져

추석을 앞두고 과일과 참조기, 쌀 등의 가격이 지난해보다 일제히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비용 부담이 큰 소고기값이 떨어지면서 차례상 물가는 1년 전보다 소폭 내려갈 전망이다.
24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추석을 9일 앞둔 20일 기준 대형마트 34곳의 배 가격은 5개에 평균 1만6283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추석을 열흘 앞둔 성수기 가격(1만2297원)보다 32.4% 뛰었다. 전통시장 16곳의 배 가격은 평균 1만7600원으로 지난해(1만5367원)보다 14.5% 올랐다. 올해 대형마트의 사과 5개 가격은 1만7580원으로 지난해(1만4778원)보다 19.0% 올랐다. 다만 전통시장 판매가는 1만5528원으로 1년 전(1만5118원)보다 2.7% 오른 데 그쳤다. 과일값이 일제히 오른 것은 올봄 평년보다 쌀쌀한 날이 이어진 데다 여름철 폭염과 폭우가 겹친 데 따른 것이다.
이상기온 등의 영향으로 어획량이 줄면서 참조기값도 비싸졌다. 참조기 3마리 가격은 대형마트 4479원, 전통시장 4830원으로 1년 전보다 각각 31.8%, 35.4% 뛰었다. 쌀 2kg 가격은 대형마트 5685원, 전통시장 5585원으로 각각 25.7%, 7.4% 올랐다.
반면 차례상 비용 중 큰 몫을 차지하는 소고기값은 떨어졌다. 올해 한우 사육 마릿수가 늘면서 가격이 안정화된 영향이 컸다. 육전 등에 쓰이는 소고기 우둔살(1.8kg)은 대형마트에서 평균 8만1884원에 팔리고 있다. 1년 전(9만7495원)보다 16.0% 내렸다. 전통시장 판매가(7만5508원)도 지난해보다 11.2% 낮다. 국거리로 쓰이는 소고기 양지살(300g)은 대형마트 1만6521원, 전통시장 1만3974원으로 각각 7.9%, 10.6% 낮아졌다.
aT는 전통 차례상을 차리는 가정이 대형마트에서 장을 보면 올해 34만2215원이 들 것이라고 전망했다. 같은 품목을 전통시장에서 사면 26만6652원으로 대형마트보다 8만 원 가까이 덜 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1년 전과 비교하면 대형마트는 5.5%, 전통시장은 2.0% 낮아진 가격이다.
세종=송혜미 기자 1am@donga.com
비즈N 탑기사
- 이강인의 인기에 음바페도 ‘한글 유니폼’ 입고 뛰었다…‘파리 들썩’
- 빚 1억 남기고 실종 지적장애 男, 방송 직전에 극적 발견
- 위안부 피해자 손배 2심 승소…日언론들 신속 타전
- 美 북부 지역까지 위협하는 캐나다 야생 멧돼지…“퇴치 어려워”
- 부산도 옮았다…빈대 공포에 “코로나 때처럼 외출 자제”
- 꿀벌이 돌아온다…아까시꿀 생산량 평년比 51% ↑
- 식중독균 살모넬라 검출 ‘눈꽃치즈 불닭’…판매중단·회수
- 김동연 “김포 서울 편입은 국토 갈라치기…총선 전략이면 자충수”
- 경찰, 대학가 ‘마약 광고 전단’ 살포 40대 구속 송치
- “결혼 왜 못하니?” 전처 이혜영 영상편지에…이상민 ‘답장’ 진땀
- 고금리·고분양가에 12월 아파트 분양전망지수 넉달 연속 하락
- 아파트 거래 올해도 싸늘… 매매회전율 역대 두번째 낮아
- ‘살은 피둥피둥, 각질은 후두둑’…겨울철 건강관리 이렇게
- ‘0원 요금’ 약발 끝났다…알뜰폰 18만명 번호 대이동
- [DBR]“로봇이 냉장고 문짝 척척” 생산성 혁신 스마트 공장
- 원희룡 “전세사기는 질 나쁜 민생범죄…선구제 후구상 신중 검토 필요”
- “연말 빛 축제, 서울에서 즐기세요”
- “인류 파멸 불씨냐, 번영의 선물이냐”… AI ‘두머’ vs ‘부머’ 대논쟁[인사이드&인사이트]
- “전세금 떼일라” 빌라 기피… 내년초 서울 입주 416채 역대최소
- 中企 은행대출 1000조… 파산 신청업체 역대 최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