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버섯처럼 퍼진 ‘보험사기’…작년 적발액 1조818억 ‘역대 최대’
뉴스1
입력 2023-03-23 12:12:00 수정 2023-03-27 13:15:21

진단서 위·변조, 고의사고 유발 등 지난해 적발된 보험사기 금액이 처음으로 1조원을 넘어서며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금융감독원은 지난 2022년 기준 보험사기 적발금액이 전년 9434억원 대비 14.7%(1384억원) 증가한 1조818억원으로 집계됐다고 23일 밝혔다. 역대 최고 수준이다.
적발인원은 10만2679명으로 전년(9만7629명) 대비 5.2% 증가했다. 1인당 평균 적발금액은 1050만원으로, 해가 갈수록 고액화하는 추세라는 게 금감원의 설명이다.
주요 사기 유형으로는 사고내용 조작이 61.8%(6681억원)으로 가장 높았다. 이어 허위사고 17.7%(1914억원), 고의사고 14.4%(1553억원) 순이다.
이 중 사고내용 조작 유형의 경우 진단서 위·변조, 입원수술비 과다청구 유형이 전년 대비 34.5%(633억원) 증가하면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보험 종목별로는 손해보험 적발금액이 전체 적발금액의 94.6%(1조 237억원)으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생명보험은 5.4%(581억원) 수준이다. 허위(과다)입원·진단·장해 등 상해·질병 보험상품 관련 사기가 증가함에 따라 전체 적발규모에서 손해보험 적발 규모가 크게 증가하는 추세다.
연령별로는 50대 적발 비중이 24.0%(2만4631명)으로 가장 높으며, 특히 최근 60대 이상의 고령층 보험사기 비중이 증가하는 추세다. 지난 2021년 19.8%에서 2022년 22.20%로 불어났다. 같은 기간 10·20대의 비중은 21.0%에서 17.3%로 줄었다.
보험사기 적발자의 직업은 회사원이 19.1%로 가장 많았고 무직·일용직(11.1%), 전업주부(10.6%), 학생(4.9%) 순이다. 이 중 보험설계사, 의료인, 자동차정비업자 등 관련 전문종사자의 비중은 4.3% 수준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수사당국, 건보공단, 심평원 등과 공조해 조직형 보험사기 등에 대한 조사 및 적발을 강화하겠다”며 “보험사기 방지를 위한 제도 및 업무관행 개선, 예방 교육, 홍보활동 등도 지속 이행하겠다”고 말했다.
(서울=뉴스1)
비즈N 탑기사
- “나는 사회주의자” 병역거부한 30대…항소심에서도 패소
- 휴대폰 가져왔다고…“물에 빠뜨려라” 중학교사 극단처벌 시끌
- “숨이 턱턱”…때 아닌 ‘5월 폭염’에 강릉은 이미 피서철 풍경
- 아이유, 표절 혐의로 고발당했다…소속사 “허위사실” 맞불
- “경찰에게 납치됐다”…대학 제적 숨기려 납치 자작극 벌인 美 여성
- 김소연, 결국 ‘이상우 보일러’ 일화 해명…“건강 생각해주는 남편”
- 박근형, 7년 만에 연극 무대로…연극 ‘세일즈맨의 죽음’
- “임신 중인데 배고파서”…미혼모 요청에 손길 내민 사장님[e글e글]
- 故백선엽 장녀, 美전광판서 아버지와 영상 재회
- ‘1000만원짜리 휴게소 감자’…英 산책로 조형물, 낭비 논란
- 고기 없는 사찰만두 나왔다…부처님오신날 맞이 건강식 봇물
- 서울 아파트값 1년만에 올랐다
- 집밥 식재료 비용 안정 찾나… 5월 들어 전년 대비 8.4% ↓
- 이른 무더위가 변수로… ‘변질 우려’ 빵‧유제품 회수 조치 잇달아
- “전기차 배터리도 비행기로 운송한다”… 대한항공, IATA 공인 인증 취득
- [르포] 생활 속으로 성큼 다가온 ‘스마트팜·로봇’…이마트 연수점 가보니
- 초록의 싱그러움 가득한 목장에 가볼까
- “여름 제주는 특별해”…놓치지 말아야 할 제주관광 10선
- 서울시-국토부 정책 공조하기로…“부동산 실거래 정보 제공”
- “수익률 40% 보장” 투기판 된 코인판… 5년간 5조 피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