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연료 물가, 전년보다 31.7% 급등…외환위기 이후 최대폭 ↑
조응형 기자
입력 2023-02-05 16:09:00 수정 2023-02-05 16:12:19

지난달 전기·가스·난방비 등 연료 물가가 1년 새 30% 넘게 급등해 외환위기 이후 가장 많이 올랐다. 국회예산정책처는 올 4분기(10~12월) 이후에야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대로 안정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5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달 전기, 가스 및 기타연료 물가 지수가 1년 전에 비해 31.7% 올랐다. 이는 1998년 4월(38.2%) 이후 24년 9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1월 전기료는 지난해보다 29.5% 올라 1981년 1월(36.6%) 이후 42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도시가스는 36.2% 올라 지난해 10~12월과 같은 상승률을 보였다. 이는 1998년 4월(51.1%)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이밖에 지역난방비와 등유도 각각 34.0%, 37.7% 올랐다.
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7월 6.3%를 정점으로 둔화하고 있지만, 먹거리 등 체감 물가는 여전히 높다. 채소, 가공식품 등이 포함된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 물가는 5.8% 올라 전달(5.2%) 보다 상승 폭이 커졌다. 최근 이상 한파로 채소류 등 농산물 가격이 오르면서 가공식품 값도 오른 데 따른 것이다.
향후 대중교통비 등 공공요금 인상이 예고됨에 따라 체감 물가 부담은 더 커질 전망이다. 특히 전기, 가스요금 인상은 서비스 가격 상승으로 이어져 고물가가 장기화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국회 예산정책처는 지난달 31일 ‘2023년 경제 현안 분석’에서 “추가적인 유가 및 환율 상승이 없어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 4분기 이후에나 2%대로 안정될 것”이라며 “유가와 환율이 빠르게 안정되더라도 서비스 가격은 하방 경직성이 높아 상당 기간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조응형 기자 yesbro@donga.com
비즈N 탑기사
- 여친에 청혼하기 위해 ‘가짜 버스시간표’ 설치한 英 남성
- 혀로 ‘쏙쏙’ 젠가 뽑기…세상 가장 긴 혀 가진 男, 기네스 새기록
- 밤하늘 위 수상한 불빛, UFO인줄 알았는데…알고 보니?
- 中에 차량 뒤덮는 벌레 비?…정체는 “OOO 인듯”
- 제주에 노란 개나리 ‘활짝’…작년·평년 보다 4일 빨리 ‘개화’
- “짜장면 1개에 5만5000원 기부” 자랑…알고보니 ‘설정샷’
- ‘서울도 문 닫는 학교’ 이유 있었다…아동인구 감소폭 전국 최고
- ‘에에올’ 아카데미 작품상…괴짜 듀오에 반했다
- “대리 축의금 9만9000원 낸 후배”…1000원 행방은?
- “부끄러운 동문”…서울대에 ‘정순신 임명 비판’ 대자보
- 권도형 체포, 암호화폐 천재에서 일개 범죄자로 추락
- 신한은행, 모든 가계대출 금리 인하…최대 1.5%P 내려
- 삼성전자, 임금 인상 사측 2% vs 노조 10%…입장차 커
- “10명 중 7명이 한국인?”…일본·동남아 방문객 1위 싹쓸이
- 배달 치킨 1마리값 3만원 시대…교촌發 ‘도미노’ 가격인상되나
- 280조원 쏟아붓고도 출산율 ‘1’도 안되는 한국…정부 대책 부심
- 간편결제 일평균 이용액 7000억 돌파…사상 최대
- ‘공시가 하락’ 후폭풍… 전세보증보험 탈락 늘듯
- ‘편리성’ 인터넷銀-‘자금력’ 지방銀 손잡고 공동대출 추진
- 5대 은행, 주담대 심사 때 임차인 보증금 감안해 대출 실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