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킹달러’에 ‘짠 내’ 나는 유학생활…“외식 안 하고 알바로 버텨”
이승우 기자
입력 2022-09-23 17:39 수정 2022-09-23 17:58

미국 동부지역에서 유학 중인 박모 씨(27)는 23일 동아일보 기자와의 통화에서 “8년 차 유학생이지만 이렇게까지 생활고에 시달린 것은 처음”이라며 한숨을 쉬었다. 박 씨는 “올 초와 비교하면 학비는 800만 원 넘게 올랐고, 월세를 포함한 생활비도 100만 원 이상 더 든다”며 “더 이상 부모님께 손 벌리기도 죄송해 아르바이트를 더 하면서 버티고 있다”고 하소연했다.
● 유학생 “생활고로 유학 그만둘까 고민”
22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1409.7원으로 마감하며 13년 6개월 만에 1400원을 돌파했다. 지난해 말까지 1100원대였던 환율이 크게 오른 데다(원화 가치는 하락) 미국 현지의 물가 급등까지 겹치면서 유학생들은 허리끈을 바짝 졸라매고 있다. 식비를 줄이고, 월세가 싼 곳을 찾아 학교에서 차로 약 1시간 떨어진 장소로 이사하는 등 ‘짠 내’ 나는 유학생활을 이어가는 모습이다.미국의 한 주립대에 다니는 김모 씨(25)는 2주 전부터 한국에 있는 고등학생에게 ‘화상 과외’를 하며 용돈을 벌고 있다. 당초 교내 아르바이트를 구하려 했지만 생활비 부담을 느낀 유학생들이 대거 몰리면서 교내 일자리 구하기가 ‘하늘의 별따기’가 됐다. 김 씨는 “교수가 e메일로 모집 공고를 보내자 10분도 안 돼 마감됐다”며 “2명 뽑는데 30명 가깝게 지원자가 몰렸다”고 전했다. 유학생들은 학생 비자로 들어왔기 때문에 원칙적으로 교내 아르바이트 외에 다른 일을 할 수 없다.
미국 유학 4년 차인 이정훈 씨(27)는 학교 앞 아파트에서 지내다 최근 학교에서 차로 1시간 가량 걸리는 셰어하우스로 거처를 옮겼다. 올 초 1200달러였던 월세가 지난 달 1500달러로 올랐는데 환율까지 오르면서 한화로 매달 70만 원을 더 내야 했기 때문이다. 이 씨는 “치안까지 안 좋은 지역으로 옮기고 나니 오갈 때마다 지치고 불안하다”며 “생활비도 올라 이 상태로라면 유학생활을 계속할 수 있을지가 고민”이라고 토로했다.
환율 때문에 유학을 포기한 경우도 있다. 미국 유학을 준비하던 대학생 주성원 씨(25)는 “연간 학비가 1000만 원 넘게 올랐고, 월세도 매달 100만 원 가까이 올라 도저히 감당할 수 없다고 판단했다”며 “국내 대학원 진학을 알아보는 중”이라고 했다.
● 미국 취업 직장인은 “수입 늘어”
최근 입국 전 유전자증폭(PCR) 검사가 폐지됐지만 환율 때문에 해외여행을 포기하는 사람도 적지 않다. 추석 연휴 때 미국 서부 여행을 계획했던 직장인 한영호 씨(30)는 “왕복 비행기 값만 300만 원이 넘는데 경비도 생각했던 금액보다 200만 원 가까이 더 들어 여행을 포기했다”고 말했다.반면 미국 현지에서 일하며 달러로 급여를 받는 한국인들은 환율이 오른 덕을 보고 있다. 미국 현지 증권사에서 일하는 박모 씨(28)는 “두 달 전부터 번 돈을 대부분 한국으로 보내 저축하고 있다”며 “같은 금액을 바꿔도 과거보다 15% 가량 많은 원화를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미국 현지 제약회사에 다니는 이모 씨(26)는 “아낀 생활비를 한국으로 보내 환전하면 성과급 정도는 벌 수 있는 상황”이라고 했다.
이승우 기자 suwoong2@donga.com
비즈N 탑기사
- 추위 피해 맨홀 안으로 들어간 노인, 반나절 만에 구조
- 스티브잡스 ‘친필 사인’ 수표, 최종 낙찰가 4800만원
- “호랑이 입에 저게 뭐야?”…신발 물고있는 모습에 굴 들어가보니
- “하루 버티면 1300만원”…전기 끊긴 마트서 45일 생존 남성, 6억 벌었다
- 이강인의 인기에 음바페도 ‘한글 유니폼’ 입고 뛰었다…‘파리 들썩’
- 빚 1억 남기고 실종 지적장애 男, 방송 직전에 극적 발견
- 위안부 피해자 손배 2심 승소…日언론들 신속 타전
- 美 북부 지역까지 위협하는 캐나다 야생 멧돼지…“퇴치 어려워”
- 부산도 옮았다…빈대 공포에 “코로나 때처럼 외출 자제”
- 꿀벌이 돌아온다…아까시꿀 생산량 평년比 51% ↑
- ‘청약 1순위’ 되려면 청약통장 예치액 확인하세요[부동산 빨간펜]
- 집값 하락에 가구 자산 사상 첫 감소…평균 순자산은 4억3500만원
- 치킨 튀기고, 수술 보조… 협동로봇, ‘일손’ 해결사로
- 높은 집값, 이자 부담에…20년 넘은 구축 아파트 거래 ‘쑥’
- ‘LA 대신 서울’…일본 여행객 ‘엔저’에 연말연시 짠테크 해외여행
- “‘킹산직’ 채용 또 온다”…현대차, 다음주 400명 추가 채용
- 80만원대 준프리미엄급 ‘갤럭시 S23 FE’ 출시
- 2025년 말엔 곤돌라로 남산 오른다
- 배우 조윤희, 14마리의 유기견을 품다
- 가구 자산 3.7% 줄고 부채는 0.2% 늘어… 팍팍해진 한국인 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