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정부 규제혁신 과제 1004건중 140건 개선 끝내
세종=서영빈 기자
입력 2022-07-29 03:00 수정 2022-07-29 08:10
[기업 규제 개선]
취약계층 산후조리원 지원 확대
마트 규제 개선 등 161건은 보류
한덕수 국무총리가 28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김동주 기자 zoo@donga.com
윤석열 정부가 출범 이후 교육, 복지, 보건, 산업 등의 분야에서 140건의 규제개선 조치를 끝냈다고 28일 밝혔다. 기획재정부 주도의 경제규제 혁신 태스크포스(TF)와는 별도로 여러 부처가 추진 중인 규제혁신 성과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를 열고 교육부와 보건복지부, 고용노동부, 산업통상자원부, 식품의약품안전처의 규제혁신 과제 추진 현황을 점검했다. 정부는 각 부처의 규제혁신 TF와 민간 건의사항을 토대로 총 1004건의 규제혁신 과제를 선정했다. 이 중 140건은 법령 개정 등 개선 조치를 마쳤고 703건은 소관 부처가 개선을 추진 중이다. 나머지 161건은 소관 부처가 불수용 의견을 밝혀 추가 검토에 들어갈 예정이다. 이렇게 보류된 과제 중에는 대형마트 영업규제 개선안도 포함됐다.
이정원 국무2차장이 28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규제혁신 과제 추진현황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2022.7.28/뉴스1개선이 완료된 과제 중에는 취약계층의 공공 산후조리원 이용지원을 확대한 게 눈길을 끈다. 당초 기초생활보장수급자는 산후조리도우미 서비스나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서비스를 지원받으면 공공 산후조리원 이용요금을 감면 받을 수 없었다. 그러나 지난달 모자보건법 시행령이 개정돼 국가유공자, 장애인, 한부모 가정 등 취약계층이 이들 서비스의 정부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됐다.
교육 분야에서는 사립대의 재산관리 규제가 완화됐다. 교육부는 정부 지침이 토지, 건물 등 사립대 보유재산의 수익 활용을 과도하게 제약하고 있다고 판단했다. 이에 따라 캠퍼스 건물에 약국이나 편의점 등의 매장이 보다 쉽게 입점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소상공인 지원 분야에서는 건물 일부로 숙박업을 할 경우 30객실 이상이거나, 영업장 면적이 건물 연면적의 3분의 1 이상이어야 한다는 공중위생관리법 시행규칙이 지난달 개정됐다. 이에 따라 앞으로는 객실이 독립된 층으로 구분되기만 하면 숙박업을 할 수 있다.
세종=서영빈 기자 suhcrates@donga.com
취약계층 산후조리원 지원 확대
마트 규제 개선 등 161건은 보류

윤석열 정부가 출범 이후 교육, 복지, 보건, 산업 등의 분야에서 140건의 규제개선 조치를 끝냈다고 28일 밝혔다. 기획재정부 주도의 경제규제 혁신 태스크포스(TF)와는 별도로 여러 부처가 추진 중인 규제혁신 성과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를 열고 교육부와 보건복지부, 고용노동부, 산업통상자원부, 식품의약품안전처의 규제혁신 과제 추진 현황을 점검했다. 정부는 각 부처의 규제혁신 TF와 민간 건의사항을 토대로 총 1004건의 규제혁신 과제를 선정했다. 이 중 140건은 법령 개정 등 개선 조치를 마쳤고 703건은 소관 부처가 개선을 추진 중이다. 나머지 161건은 소관 부처가 불수용 의견을 밝혀 추가 검토에 들어갈 예정이다. 이렇게 보류된 과제 중에는 대형마트 영업규제 개선안도 포함됐다.

교육 분야에서는 사립대의 재산관리 규제가 완화됐다. 교육부는 정부 지침이 토지, 건물 등 사립대 보유재산의 수익 활용을 과도하게 제약하고 있다고 판단했다. 이에 따라 캠퍼스 건물에 약국이나 편의점 등의 매장이 보다 쉽게 입점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소상공인 지원 분야에서는 건물 일부로 숙박업을 할 경우 30객실 이상이거나, 영업장 면적이 건물 연면적의 3분의 1 이상이어야 한다는 공중위생관리법 시행규칙이 지난달 개정됐다. 이에 따라 앞으로는 객실이 독립된 층으로 구분되기만 하면 숙박업을 할 수 있다.
세종=서영빈 기자 suhcrates@donga.com
비즈N 탑기사
- 위안부 피해자 손배 2심 승소…日언론들 신속 타전
- 美 북부 지역까지 위협하는 캐나다 야생 멧돼지…“퇴치 어려워”
- 부산도 옮았다…빈대 공포에 “코로나 때처럼 외출 자제”
- 꿀벌이 돌아온다…아까시꿀 생산량 평년比 51% ↑
- 식중독균 살모넬라 검출 ‘눈꽃치즈 불닭’…판매중단·회수
- 김동연 “김포 서울 편입은 국토 갈라치기…총선 전략이면 자충수”
- 경찰, 대학가 ‘마약 광고 전단’ 살포 40대 구속 송치
- “결혼 왜 못하니?” 전처 이혜영 영상편지에…이상민 ‘답장’ 진땀
- 이동국 “내 이름 사칭해 투자 유도한 유튜브 제작자 잠적”
- 장서희 “이상형? 외모 보고 만나면 고생길…결혼 생각은 늘 있다”
- “밥값·집값 버거워서” 독립 포기, 부모님 집으로…늘어나는 ‘리터루족’
- “연말 빛 축제, 서울에서 즐기세요”
- ‘생숙’ 소유자들 벌금 피하기 편법… 숙박 협동조합 설립 나서
- 한동훈 “전세사기 저지르면 20년은 감옥 가게 될 것”
- ‘신생아 특공’ 연간 7만채 공급… 맞벌이 소득 기준도 완화
- 전국 ‘악성 미분양’ 1만가구 넘었다…한 달 새 7.5% 늘어
- 실시간 여행지 정보 플랫폼 ‘메타라이브’, 겨울 필수 여행지 인증샷 이벤트 진행
- 올해 서울 빌라 월세 거래량 5만 건 넘어…역대 최다
- 전국 미분양 10개월 만에 6만채 밑으로… “시장 침체에 분양 자체 줄어”
- 한국인, 27세부터 ‘흑자 인생’… 43세 정점 찍고 61세 적자 전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