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 ‘물류대란’ 오나…화물·택배 등 물류노동자들 연이어 파업예고

뉴스1

입력 2022-05-23 15:28 수정 2022-05-23 16:35

|
폰트
|
뉴스듣기
|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지난해 11월 25일부터 27일까지 1차 총파업에 돌입한 여파로 오전 울산 남구 울산신항 인근 도로변에 화물차들이 멈춰 서 있다. © News1
물류 노동자들이 연이어 파업을 선언하면서 올여름 물류대란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화물·비정규직·택배 부문 노조가 파업을 선포하고 대규모 집회를 예고하며 거리로 나올 예정이다. 특히 여름의 경우 운송에 차질이 발생할 경우 화물이 변질돼 피해가 커질 수 있다.

이들은 윤석열 정부의 친(親)기업 정책, 인플레이션(물가상승), 경윳값 인하 등 단기간에 해결하기 어려운 요구조건을 내걸고 있어 파업이 장기화할 가능성도 높다.

23일 노동계에 따르면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산하 화물연대본부는 6월7일 0시를 기해 총파업 돌입을 선언했다. 28일에는 서울에서 총파업 결의대회를 열 계획이다. 이들은 Δ안전운임 일몰제 폐지 Δ안전운임 전차종·전품목 확대 Δ운송료 인상 Δ지입제 폐지 Δ노동기본권 확대 및 산재보험 확대 등 5가지를 정부에 요구하고 있다.

현정희 공공운수노조 위원장은 “14년 만에 경유 가격이 휘발윳값을 역전했다. 모든 비용과 책임은 결국 화물노동자에게 떠넘겨지고 있다”며 “생활 물가와 더불어 경윳값 폭등은 일할 수록 오히려 (노동자들이) 손해를 보게 만들고 있다”고 꼬집었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원들이 23일 오전 서울 용산구 전쟁기념관 앞에서 ‘공공부문 비정규직 1차 공동파업 돌입 및 파업지지’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이날 기자회견에서 참석자들은 “재난시기 확대된 사회양극화 해결은 비정규직 문제의 해결에서 출발해야 한다“며 정부에 비정규직 문제해결을 촉구했다. 2022.5.23/뉴스1
이어 “정부의 유가 연동 보조금은 ‘언발에 오줌 누기’에 불과하다”며 “화물노동자들은 현재 ‘이렇게 죽으나 저렇게 죽으나 마찬가지’인 상황”이라고 호소했다.

이봉주 화물연대본부 위원장은 “최소한 정부가 안전운임 일몰제 폐지를 공식 입장으로 선언할 때까지는 집회를 이어갈 것”이라며 파업의 장기화 가능성을 시사했다.

안전운임제란 낮은 운임으로 과로·과적·과속운행에 내몰린 화물운송 종사자의 근로여건을 개선하기 위해 화물차주와 운수사업자가 지급받는 최소한의 운임을 공표하는 제도다. 2018년 화물자동차운수사업법 개정을 통해 만들어졌으며 2020년 1월부터 컨테이너·시멘트부문에 한정돼 시행됐으나 일몰제에 따라 올 연말까지만 지속된다.

같은 날 공공운수노조 산하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서울 용산 대통령집무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오는 27일부터 29일까지 1차 파업에 돌입한다고 선언했다. 정부의 응답이 없으면 상반기 중 2차 파업에 돌입하는 등 점점 파업 규모를 확대할 예정이다.

이번 파업에는 철도노조 코레일네트웍스지부와 철도고객센터지부, 한국마사회지부, 국민건강보험고객센터지부, 기업은행서비스지부, 서울지부 등 3000여 명이 참가한다. 철도 노동자들도 포함돼 있어 2차·3차 파업으로 이어질 경우 KTX와 지하철 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비정규직 노동자의 임금수준은 여전히 정규직 노동자의 절반인 52%에 머물고 있다”며 비정규직 임금의 현실화와 함께 윤석열 정부가 비정규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고 요구했다.
민주노총 전국택배노동조합원들이 23일 서울 중구 CJ대한통운 본사 앞에서 ‘노사합의 파기 및 경찰의 일방적 공권력 투입 규탄’ 경고파업 돌입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이날 기자회견에서 참석자들은 “노사 공동합의문 채택 이후 130여 명이 계약해지 상태에 있으며, 240여 명이 표준계약서 작성을 거부 당한 채 일을 하고 있다“며 노사합의 파기와 경찰의 공권력 투입으로 부분파업에 돌입하게 됐다고 밝혔다. 2022.5.23/뉴스1

전국택배노동조합도 지난 3월2일 CJ대한통운 택배대리점연합과 서비스 정상화에 합의한 지 83일만에 부분 파업에 나서겠다고 선언했다.

고객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물량이 가장 적은 월요일에 부분 파업을 진행하겠다곤 했지만 사태가 장기화하면 지난해처럼 대규모 파업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CJ대한통운 관계자는 “물량이 가장 적은 월요일에 소수 조합원만 참여하기 때문에 서비스 차질은 없을 것”이라며 “개별 대리점이 처리할 수 있는 정도”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택배노조는 “65일간의 총파업 이후 서비스 정상화를 위해 노사가 공동 노력하기로 하며 노사 합의를 했지만 83일이나 지난 지금에도 택배 현장에서는 130여 명의 택배 노동자들이 계약 해지에 내몰려 있다”며 “240여명이 표준계약서를 소장의 거부로 작성하지 못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경찰의 일방적인 공권력 투입을 강력히 규탄한다”며 “이 문제가 풀리지 않고 장기화 될 경우 파업의 수위를 높일 수밖에 없다는 점도 분명히 밝힌다”고 강조했다.

(서울=뉴스1)



라이프



모바일 버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