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 오를만큼 올랐다?”…주택연금 신규가입 늘고 중도해지 줄었다
뉴스1
입력 2022-05-18 14:49:00 수정 2022-05-18 14:49:30

집을 담보로 노후에 매달 연금을 받을 수 있는 주택연금의 신규 가입 건수가 지난해 하반기 눈에 띄게 늘었다. 반면 중도해지 건수는 감소세로 돌아섰다. 주택연금은 집값이 높을 때 가입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집값이 오를만큼 올랐다’는 인식이 퍼졌다는 분석이다.
18일 주택금융공사에 따르면 지난해 하반기(6~12월) 주택연금 신규가입자는 5730명으로, 상반기(5075명)보다 12.9% 늘었다. 한편 같은기간 주택연금 중도해지건수는 2023건으로 상반기(2098건) 대비 감소했다.
주금공에 따르면 올해에도 비슷한 추세가 이어지고 있다. 지난 1~2월 신규가입 건수는 1675건으로, 전년 동기비 35% 증가했다. 같은기간 중도해지 건수는 425건으로 전년 동기비 34% 감소했다.
주금공 관계자는 “주택연금 가입시 고려되는 사항은 가입당시의 주택가격과 만나이”라며 “주택가격 상승으로 가입을 유보했던 분들이 주택가격이 정점에 올랐다고 판단해 가입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주택연금은 만 55세 이상의 국민이 소유 주택을 담보로 맡기면 평생 혹은 일정 기간 동안 매월 연금 방식으로 노후생활 자금을 지급받을 수 있는 국가보증 금융상품이다.
가입자의 나이와 가입 당시 주택가격 등에 따라 월 지급액이 결정되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고객 입장에서는 집값이 가장 높을 때 가입하는 것이 유리하다.
반대로 집값이 가파르게 오를 것으로 예상되면, 주택연금 중도해지 건수가 늘어나는 경향이 있다.
중도해지를 하면 가입 당시 냈던 가입보증료(주택가격의 1.5%)를 돌려받지 못하고 3년간 재가입도 막히지만, 이를 감수하고라도 그냥 집을 파는 것이 더 이익이라고 판단하는 것이다.
실제로 서울 아파트값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상승폭을 좁히다가 올해 1월 중순부터 하락세에 접어들었다. 새 정부 출범에 맞춰 하락세가 멈췄지만 여전히 금리 인상 등 여파로 관망세가 이어지고 있다.
이같은 추세가 계속되면 주택연금 가입 건수는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주금공 관계자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집값 상승에 대한) 기대심리가 조금 꺾인 것으로 보고 있고, 올해 공급 실적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내다봤다.
한편 윤석열 정부는 주택연금 대상자를 확대할 예정이다. 현재 일반형 주택연금의 경우 가입대상이 공시가 9억원 이하 주택으로 제한되는데 이 기준을 공시가 12억원 이하로 완화할 계획이다. 우대형 주택연금 가입대상도 시가 1억5000만원 이하 주택에서 시가 2억원 이하 주택으로 완화된다.
(서울=뉴스1)
비즈N 탑기사
- 도로에 쏟아진 맥주병…맨손으로 치운 여학생들 (영상)
- ‘만5세 입학’ 논란인데…교육감 단체성명 없는 까닭은?
- 동생 돌봄받는 아기가된 13세 금쪽이…이상행동에 스튜디오도 충격
- “나 돈 많아” 서울 주택가에 2200만원 뿌린 이라크인
- 광장시장 김밥 먹고 댓글엔 하트…CNN ‘韓 가상인간 열풍’ 조명
- “짬뽕값 못 드려 죄송” 뒤늦게 중국집 주인에 빚갚은 시민
- “엄마 나 폰 액정 깨졌어” 메신저 피싱 조직 무더기 검거
- 13억 이어 연금복권…같은 가게서 복권 2번 당첨된 美 행운남
- 강남 한복판 상의탈의男-비키니女, 결국 경찰조사 받는다
- 배슬기, 폭우 피해 근황 “집이 무너지고 있음”
- LG전자, 청소기 거치대 결합했더니… ‘코드제로’ 판매 50%↑
- 1년 전 비해 배추 86%·사과 31%…“치솟는 과일·채솟값 무서워요”
- “온라인 예금중개 서비스 연내 도입”… 금융 플랫폼화 속도낸다
- 구글 픽셀폰, 국내 출시 임박?…“픽셀 카메라 엔지니어 뽑는다”
- 화장품업계 ‘코로나 후유증’… 매출-영업익 일제히 하락
- 네이버-카카오 2분기 최대 매출
- 전세계서 로켓 발사 경쟁… “우주 쓰레기 처리 기술도 함께 발전해야”
- “예비 청약자, 금리 인상 이자부담 가장 큰 걱정”
- PC방 “임대료 270만원인데, 전기료 350만원”…소상공인 ‘전기료 한숨’
- 광화문광장 시민들 “넓어진 보행로-분수 좋아”… “그늘 부족” 지적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