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플랫폼 요구 과해… 맞추다보면 남는 게 없어”
김하경 기자
입력 2021-12-21 03:00 수정 2021-12-21 03:00
[규제에 쪼그라든 ‘中企 운동장’]〈7〉온라인 플랫폼 공정화

애완동물용품 업체 대표 A 씨(50)는 5년 전 최저가와 빠른 배송이 특징인 한 온라인 플랫폼에 입점했다. 플랫폼에 매출의 30%를 수수료로 지불하는 조건이었다. 문제는 입점 후 1년여가 지나고 나서 시작됐다. 플랫폼 측에서 광고비 2000만 원을 요구하는가 하면, 최저가가 아니라는 이유로 제품 가격을 일방적으로 낮추기도 했다. A 씨는 “플랫폼에서 요구하는 수수료율과 광고비를 맞추다 보면 남는 게 없을 정도”라고 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비대면 거래 증가로 온라인 플랫폼의 영향력이 확대되면서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이 애로를 호소하고 있다.
20일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온라인 플랫폼 이용 사업자 1000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53.4%가 부당행위를 경험했다고 응답했다. 가장 많이 경험한 부당행위는 ‘수수료 및 거래 절차 관련’(91.2%)이었다. 광고비 및 판매 수수료가 과다하다는 의견도 58.5%에 달했다.
중소기업과 소상공인들이 온라인 플랫폼에 입점하는 것은 플랫폼이 시장 접근을 위한 필수 통로가 됐기 때문이다. 중기부 조사에서 응답자의 59.2%는 플랫폼을 이용하지 않으면 영업이 곤란하다고 밝혔다.
현행 대규모 유통업법이 플랫폼 중개거래에는 적용되지 않는다는 점이 문제다. 중소 입점 업체들은 플랫폼이 명확한 지표를 바탕으로 제품을 배열하고 수수료 구조 등 정산내역을 투명하게 공개하길 요구한다. 하지만 관련 법규가 없어 공정거래법에 의존하고 있다. 공정거래법은 온라인 플랫폼 현실을 반영한 특수한 규제와 감시에는 미흡하다. 중소기업과 소상공인들은 온라인시장에서 거래가 공정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관련 법 제정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일각에선 온라인 플랫폼의 수수료율에 상한제를 도입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플랫폼들끼리 시장 점유율을 높이기 위해 판촉행사 등 무리한 경쟁을 벌인 뒤 비용을 입점업체의 수수료율을 높이는 방식으로 소상공인에게 전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중기중앙회 관계자는 “온라인 플랫폼에 입점한 많은 입점업체들이 과도한 비용 부담 등을 호소하고 있다”며 “온라인 플랫폼에서의 공정한 거래를 위한 관련 법을 제정하고 입점업체의 비용 부담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거래 생태계를 공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공동기획 : KBIZ 중소기업중앙회
김하경 기자 whatsup@donga.com

애완동물용품 업체 대표 A 씨(50)는 5년 전 최저가와 빠른 배송이 특징인 한 온라인 플랫폼에 입점했다. 플랫폼에 매출의 30%를 수수료로 지불하는 조건이었다. 문제는 입점 후 1년여가 지나고 나서 시작됐다. 플랫폼 측에서 광고비 2000만 원을 요구하는가 하면, 최저가가 아니라는 이유로 제품 가격을 일방적으로 낮추기도 했다. A 씨는 “플랫폼에서 요구하는 수수료율과 광고비를 맞추다 보면 남는 게 없을 정도”라고 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비대면 거래 증가로 온라인 플랫폼의 영향력이 확대되면서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이 애로를 호소하고 있다.
20일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온라인 플랫폼 이용 사업자 1000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53.4%가 부당행위를 경험했다고 응답했다. 가장 많이 경험한 부당행위는 ‘수수료 및 거래 절차 관련’(91.2%)이었다. 광고비 및 판매 수수료가 과다하다는 의견도 58.5%에 달했다.
중소기업과 소상공인들이 온라인 플랫폼에 입점하는 것은 플랫폼이 시장 접근을 위한 필수 통로가 됐기 때문이다. 중기부 조사에서 응답자의 59.2%는 플랫폼을 이용하지 않으면 영업이 곤란하다고 밝혔다.
현행 대규모 유통업법이 플랫폼 중개거래에는 적용되지 않는다는 점이 문제다. 중소 입점 업체들은 플랫폼이 명확한 지표를 바탕으로 제품을 배열하고 수수료 구조 등 정산내역을 투명하게 공개하길 요구한다. 하지만 관련 법규가 없어 공정거래법에 의존하고 있다. 공정거래법은 온라인 플랫폼 현실을 반영한 특수한 규제와 감시에는 미흡하다. 중소기업과 소상공인들은 온라인시장에서 거래가 공정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관련 법 제정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일각에선 온라인 플랫폼의 수수료율에 상한제를 도입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플랫폼들끼리 시장 점유율을 높이기 위해 판촉행사 등 무리한 경쟁을 벌인 뒤 비용을 입점업체의 수수료율을 높이는 방식으로 소상공인에게 전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중기중앙회 관계자는 “온라인 플랫폼에 입점한 많은 입점업체들이 과도한 비용 부담 등을 호소하고 있다”며 “온라인 플랫폼에서의 공정한 거래를 위한 관련 법을 제정하고 입점업체의 비용 부담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거래 생태계를 공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공동기획 : KBIZ 중소기업중앙회
김하경 기자 whatsup@donga.com
비즈N 탑기사
- 위안부 피해자 손배 2심 승소…日언론들 신속 타전
- 美 북부 지역까지 위협하는 캐나다 야생 멧돼지…“퇴치 어려워”
- 부산도 옮았다…빈대 공포에 “코로나 때처럼 외출 자제”
- 꿀벌이 돌아온다…아까시꿀 생산량 평년比 51% ↑
- 식중독균 살모넬라 검출 ‘눈꽃치즈 불닭’…판매중단·회수
- 김동연 “김포 서울 편입은 국토 갈라치기…총선 전략이면 자충수”
- 경찰, 대학가 ‘마약 광고 전단’ 살포 40대 구속 송치
- “결혼 왜 못하니?” 전처 이혜영 영상편지에…이상민 ‘답장’ 진땀
- 이동국 “내 이름 사칭해 투자 유도한 유튜브 제작자 잠적”
- 장서희 “이상형? 외모 보고 만나면 고생길…결혼 생각은 늘 있다”
- 한동훈 “전세사기 저지르면 20년은 감옥 가게 될 것”
- 전국 미분양 10개월 만에 6만채 밑으로… “시장 침체에 분양 자체 줄어”
- “연말 빛 축제, 서울에서 즐기세요”
- “소주 가격 떨어지나” 기준판매비율 도입 환영…식당 판매가는 “글쎄”
- 실시간 여행지 정보 플랫폼 ‘메타라이브’, 겨울 필수 여행지 인증샷 이벤트 진행
- 재건축 갈등 대처, 위법 여부 꼼꼼히 따져야[부동산 빨간펜]
- ‘한국의 아마존’ 꿈꾸던 11번가 휘청… 매각 주도권마저 잃었다
- 제주드림타워 복합리조트, 11월 호텔 실적 전년比 17%↑… 외국인 비중 ‘10%→60%’
- ‘709억 수원 전세사기’ 정씨 부부 구속…아들은 기각
- 페북·인스타 ‘인증배지’ 월 3만5900원…한국에도 도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