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회복에도 팍팍한 서민 삶…뛰는 물가에 양극화 악화

뉴시스

입력 2021-08-20 06:15 수정 2021-08-20 06:16

|
폰트
|
뉴스듣기
|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올해 상반기 국내 경기가 뚜렷한 회복세를 보였지만 서민들의 삶은 더 팍팍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잘 사는 사람은 더 많이 벌고 못사는 사람은 덜 버는 양극화 현상도 심화되는 추세다. 코로나19 4차 확산으로 하반기에는 취약계층의 어려움이 더 가중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20일 통계청의 ‘가계동향조사’ 자료를 보면 올해 2분기 소득 상위 20%(5분위)와 하위 20%(1분위)의 월평균 소득 차이는 827만5000원이다.

상위 20%의 월평균 소득은 924만1000원으로 전년 대비 1.4% 늘었고, 같은 기간 하위 20% 소득은 96만6000원 으로 6.3% 줄었다.

올해 2분기에 소득이 늘어난 분위는 상위 20% 구간뿐이다. 2분위(20~40%·-0.9%), 3분위(40~60%·-0.7%), 4분위(60~80%·-3.1%)는 모두 감소세를 보였다.

잘 사는 사람만 더 많이 벌었다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세부적으로 보면 소득 하위 20%의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은 각각 21만2000원, 11만1000원으로 1년 전과 비교해 19.6% 16.1% 늘었다. 지난해 코로나19로 침체됐던 고용시장과 자영업 업황이 개선되면서 관련 소득도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소득 상위 20% 역시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이 각각 642만2000원, 173만4000원으로 각각 4.8%, 1.3% 증가했다. 증가 폭 자체는 오히려 소득 하위 20%보다 작다.

결정적인 차이는 재산소득과 공적이전소득에서 발생했다.

같은 기간 하위 20%와 상위 20%의 재산소득은 각각 1만원, 13만4000원으로 증가율은 127.7%, 41.1%에 달한다. 전체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 자체는 크지 않지만 배당, 이자, 개인연금 등 기존 금융자산에 영향을 받는 소득인 점을 감안하면 시사하는 바가 있다.

정부 지원금을 포함하는 공적이전소득은 소득 하위 20%와 상위 20% 각각 22.5%, 43.0% 줄어든 44만8000원, 42만6000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2분기에 전 국민 재난지원금이 지급되면서 취약계층의 소득을 뒷받침했었는데 올해는 이 부분이 빠지면서 격차가 벌어진 것이다.

정동명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5분위의 공적이전소득은 감소했지만 전체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작아 상대적으로 영향을 덜 받았다”며 “하위 분위에 전 국민 재난지원금 지급에 대한 기저효과가 더 크게 작용했다”고 진단했다.

벌이는 나빠졌는데 돈 나갈 일은 더 늘었다.

올해 2분기 소득 하위 20%의 평균소비성향은 142.0%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8.8%포인트(p) 뛰었다. 이는 가구가 실제로 소비나 저축에 쓸 수 있는 돈인 처분가능소득에서 소비지출이 차지하는 비율을 뜻한다.

가계수지는 34만1000만원 적자를 기록했다. 처분가능소득보다 소비지출이 더 많았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반면 소득 상위 20%의 평균소비성향은 61.4%로 4.8p 증가했고, 흑자액은 278만7000원에 달했다.

하위 20%의 월평균 소비지출은 115만3000원으로 1년 전보다 7.0% 더 썼다.

항목별로는 식료품·비주류음료 관련 지출이 24만4000원으로 가장 많았는데 이는 1년 전보다 12.0% 늘어난 액수다. 올해 들어 농축수산물을 중심으로 물가가 오르면서 가계 지출에도 영향을 미친 것이다.

이외에 주거·수도·광열(20만5000원·-7.1%), 보건(15만2000원·8.3%), 음식·숙박(12만1000원·3.5%), 교통(11만3000원·42.6%) 등에서 지출이 컸다.

상위 20%의 월평균 소비지출은 443만5000원으로 8.0% 증가했다. 지출 상위 항목은 교통(66만4000원·8.2%), 음식·숙박(58만6000원·2.8%), 식료품·비주류음료(54만원·1.2%) 등이다.

올해 하반기에는 가계소득과 분배 지표가 모두 악화될 수 있다는 시각도 존재한다. 코로나19 상황이 장기화되는 가운데 최근 4차 확산까지 이어지는 탓이다.

기재부는 소상공인 희망회복자금, 상생국민지원금을 오는 9월 말까지 90% 이상 집행하는 등 취약계층을 위한 지원을 신속히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시장소득·분배 여건을 개선하기 위해 민간 부문 일자리 창출을 위한 노력도 지속하기로 했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은 전날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7월 초 4차 확산에 따라 취약업종 종사자를 중심으로 어려움이 확대되고 있어 3분기 이후의 고용·분배 상황은 더 각별히 관리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세종=뉴시스]


라이프



모바일 버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