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대기업 뛰어드니…속터지는 ‘백신 먹통’ 사라졌네

뉴스1

입력 2021-08-10 11:30 수정 2021-08-10 11:30

|
폰트
|
뉴스듣기
|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지난 9일 시작된 40대 이하 코로나19 백신 사전 예약 첫날, 우려했던 먹통 현상 없이 비교적 원활하게 예약이 진행됐다. (코로나19 예방접종 사전예약 시스템 갈무리) © 뉴스1
지난달 14일 55~59세 코로나19 백신 접종 예약 시스템 모습. 이날 오후 8시40분 코로나19 예방접종 사전예약 시스템에 접속하자 8673분(144시간)을 대기해야 한다는 안내가 나왔다. 대기자 숫자가 줄어들다가 곧 사이트는 먹통이 됐다. 2021.7.14/뉴스1 © News1

우려됐던 백신 예약 ‘먹통’ 사태는 없었다. 지난 9일 시작된 40대 이하 코로나19 백신 사전 예약 첫날, 앞선 사이트 먹통 현상은 재현되지 않았다. 네이버, LG CNS 등 민간 대기업까지 참여해 시스템 개선에 총력을 기울인 덕이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코로나19 백신 사전 예약 시스템은 대기업들의 지원으로 개선 작업을 거쳐 병목 현상을 80% 이상 개선했다. 서버 용량을 증설하고 시스템을 최적화했으며, 클라우드 방식이 부분적으로 도입됐다.

실제 지난 9일 오후 8시 시작된 18~49세 코로나19 백신 사전 예약에서는 큰 문제 없이 사이트가 원활하게 운영됐다. 앞서 55~59세 연령층의 첫날 예약이 15시간 만에 중단됐고, 예약을 재개한 뒤에도 접속 지연 사태가 빚어진 것과 대비되는 모습이다. 당시 대량의 접속자를 수용할 수 없는 서버 구조가 문제였던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와 질병관리청은 민간 기업들과 머리를 맞댔다. 지난달 22일 관계부처와 네이버, 카카오 등 클라우드 서비스업체, LGCNS, 베스핀글로벌 등 시스템통합(SI)업체,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등 전문기관과 회의를 열고 해결 방안 마련에 나섰다.

이 중 카카오엔터프라이즈는 개선 작업에서는 빠지고 최종적으로 LG CNS를 비롯해 네이버 클라우드, 베스핀글로벌, 코리아크레딧뷰로(KCB), KISA, NIA 등이 참여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들 업체들은 크게 두 가지 방향으로 시스템 개선을 지원했다. 먼저, 백신 예약 시스템 앞단의 홈페이지에서 이뤄지는 본인 인증 및 번호표 대기열 시스템을 개선하는 데는 네이버클라우드와 베스핀글로벌 등이 참여했다. 네이버클라우드는 클라우드 플랫폼을 공급하고 베스핀글로벌은 클라우드 기반의 애플리케이션, 다양한 본인 인증 수단과의 연계 기술 개발을 지원했다.

이들 업체의 도움으로 이번 코로나19 백신 예약에서는 다양한 간편인증 수단이 도입돼 이용자 부하를 줄였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날 예약부터는 휴대폰 본인인증, 아이핀, 공동·금융인증서를 통한 인증 뿐만 아니라 카카오, 네이버, PASS앱 등을 통해 간편인증서를 미리 발급 받아 놓으면 상대적으로 빠른 예약이 가능했다. 또 각 본인인증 수단별 혼잡상황을 ‘신호등 색’으로 제공해 이용자 불편을 줄였다.

뒷단의 시스템을 개선하는 작업은 LG CNS 등이 맡았다. 업계에 따르면 LG CNS는 비효율적으로 구성된 데이터베이스 질의어(SQL) 개선 및 시스템 최적화 작업을 통해 병목 현상을 80% 이상 개선한 것으로 확인됐다.

당초 업계는 유연한 서버 확장을 위해 클라우드 시스템 도입이 필요하다고 짚었지만, 시간이 촉박해 클라우드 시스템은 본인 인증 등에만 부분적으로만 적용됐다.

오는 18일까지 진행되는 18~49세의 코로나19 백신 접종 사전 예약 대상자는 1621만명으로, 앞선 50대(약 742만명) 대상자보다 큰 규모다. 정부는 시스템 개선 작업을 진행하는 한편, 한꺼번에 인원이 몰려 서비스 접속 장애가 발생하는 것을 고려해 대상자 생년월일 끝자리와 예약일 끝자리가 같은 날 사전 예약을 할 수 있도록 ‘10부제’로 분산 시행하도록 했다.

한편, 정부는 보안 및 중소 IT 기업 육성 등의 이유로 민간 대형 IT기업의 참여를 최소화한 채 범국민 비대면 시스템을 구축하려 했으나 기술적인 한계가 명확해 민간의 도움을 받아왔다. 지난해 비대면 수업 당시 발생한 EBS 온라인클래스 장애 문제에도 LG CNS가 해결사로 나선 바 있다. 기업들은 사회적 기여 차원에서 무상으로 이 같은 정부 시스템 개선 작업을 지원하고 있다.

(서울=뉴스1)


라이프



모바일 버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