혐한조장 DHC, 어쩌다 日서도 퇴출 위기 놓였나

뉴시스

입력 2021-06-05 10:18 수정 2021-06-05 10:18

|
폰트
|
뉴스듣기
|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일본 화장품 기업 DHC가 자국에서도 퇴출 위기에 놓였다. 요시다 요시아키 회장의 잇따른 혐한 발언으로 국내에서 불매운동이 일어난데 이어 일본 시민단체도 항의하는 등 반발이 거세다. 현지 기업·지자체가 거래 중단 의사를 밝히자, 재발 방지를 약속하며 고개를 숙였다.

5일 일본 유통업체 이온에 따르면 DHC는 지난달 말 ‘인권에 관한 부적절한 내용이 담긴 홈페이지 글을 삭제하겠다’는 뜻을 전달했다. 요시다 회장 명의의 혐한 조장 글과 관련 ‘잘못을 인정하며 해당 발언을 철회한다’ ‘앞으로 이런 행위를 되풀이하지 않겠다’ 등의 내용도 덧붙였다. 이온은 DHC가 인권에 관한 자사 방침을 이해한 것으로 판단, ‘거래를 계속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일본 시민단체가 DHC 거래 기업 32곳에 의견을 물은 결과 응답한 22곳 중 절반이 유감 표명 등 조치를 취했거나 대응을 검토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온은 DHC에 “이런 발언을 용인할 경우 본사 방침과 양립할 수 없다는 점을 설명했다”고 전했다.

일본의 한 시민단체는 지난 3일 도쿄 미나토구 소재 DHC 본사 앞에서 집회를 열었다. ‘DHC에 차별을 그만두게 하는 캠페인’을 주최했다. 시민 약 100명은 한국·조선인 혐오를 조장한 요시다 회장에게 사과를 요구했다. ‘DHC는 사죄해라’ ‘ 헤이트 스피치 더는 그만’ 등의 내용을일본·한국·영어로 쓴 플래카드와 팻말을 들고 항의했다.

DHC와 재해 발생 시 영양제 등 공급 협정을 체결한 21개 지자체 중 5곳은 요시다 회장 차별 발언을 비판하며 협정 중단 의사를 전달했다. DHC는 일본 보수·극우 성향 매체인 요미우리신문, 산케이신문, 니혼테레비 등으로부터 광고 게재를 거부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소비자들은 ‘DHC 제품을 편의점에 두지 말자’며 서명 운동을 펼치고 있다.

최근 DHC는 홈페이지에 요시다 회장 명의로 올라온 재일 한국·조선인 비하 글을 삭제했다. 별도 사과문은 내놓지 않았다. 요시다 회장은 지난해 11월 경쟁사인 산토리가 광고모델로 한국 계열 일본인을 주로 기용해 인터넷에서 야유 당하고 있다는 취지의 글을 올렸다. DHC는 순수한 일본인만 기용한다며 “산토리 광고에 기용된 탤런트는 거의 코리아(한국·조선) 계열 일본인이다. 인터넷에서는 ‘존토리’라고 야유 당하는 것 같다”고 적었다. 존토리는 재일 한국·조선인 등을 멸시하는 표현인 ‘존’에 산토리의 ‘토리’를 합친 단어다.

일본 공영방송인 NHK 등이 비판하자, 요시다 회장은 “한국계가 일본의 중심을 좌지우지하고 있다. NHK는 일본의 적이다. 일본을 조선화 시키는 원흉”이라고 격분했다. “NHK는 간부, 아나운서, 사원 대부분이 한국계”라며 “튀어나온 턱과 평평한 뒤통수 등으로 한국계를 쉽게 구별할 수 있다”고 했다.

지난달에는 DHC 홈페이지에 “일본을 위해 경멸해야 마땅한 한국계 유명인사의 실명을 밝히려 했는데 신문사와 방송사가 맹렬히 거부해 좌절됐다”며 “일본의 중추를 한국계가 차지하고 있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고 남겼다.

DHC의 혐한 발언 논란은 처음이 아니다. 2019년 자회사 DHC TV 방송에서 “독도는 예로부터 일본 영토다” “일본이 한글을 통일시켜 지금의 한글이 탄생했다” 등의 망언을 했다. 1년 뒤인 지난해 12월 요시다 회장이 홈페이지에 공개한 메시지에서 재일 한국인과 조선인을 비하하는 ‘존’(조센징)이라는 단어를 써 반일감정이 격화됐다.

DHC는 한 때 국내에서 연매출 470억원을 올린 브랜드다. 일본 제품 불매운동이 일면서 CJ올리브영을 비롯해 랄라블라, 롭스 등 H&B 스토어에서 선제적으로 판매를 중단했다. 쿠팡과 11번가, G마켓, 옥션, 위메프, 티몬 등도 DHC 제품을 판매하지 않고 있다.

[서울=뉴시스]


라이프



모바일 버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