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의 비극 ‘애이불비’ 정서로 표현했죠”

김기윤 기자

입력 2021-04-07 03:00 수정 2021-04-07 09:17

|
폰트
|
뉴스듣기
|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뮤지컬 ‘광주’ 다시 선보이는 고선웅 연출가-최우정 작곡가

뮤지컬 ‘광주’의 최우정 작곡가(왼쪽)와 고선웅 연출가. 두 사람은 “검증을 마치고 한국까지 넘어온 해외 뮤지컬에 비해 국내 창작 뮤지컬 제작 환경은 녹록지 않다. 끝까지 포기하지 않는다면 작품은 계속 진화할 거라 믿는다”고 했다. 광주문화재단·라이브·극공작소 마방진 제공

‘내가 웃는 게 웃는 게 아니야.’ 고선웅 연출가(53)의 작품세계를 관통하는 코드는 애이불비(哀而不悲)다. 뮤지컬 ‘광주’에서도 마찬가지. “슬프고 고통스러운 상처지만 공연예술이기에 마냥 슬픔으로만 그리고 싶지 않았다. 그래야 고통을 뛰어넘을 수 있다”는 그의 지론이 작품에 투영됐다. 그가 그린 광주는 협화음과 불협화음을 오가는 최우정 작곡가(53)의 선율과 닮았다.

지난해 10월 5·18민주화운동 40주년을 맞아 선보인 뮤지컬 광주가 다시 돌아온다. 13∼25일 서울 강남구 LG아트센터에서 공연한다. 라이브㈜와 극공작소 마방진이 공동 제작한 작품은 지난해 서울 초연 후 경기 고양, 부산, 전북 전주, 광주 등에서 무대에 올랐으며 제5회 한국뮤지컬어워즈에서 창작부문 프로듀서상을 탔다. 초연 이후 한 차례 더 갈고닦는 과정에서 치열한 논의를 거친 끝에 극은 담백하게, 카타르시스는 좀 더 농밀하게 거듭났다.

5일 서울 종로구 대학로에서 만난 두 사람은 “지난해 작품이라는 숲 안에 갇혀 몰입했다면 이번에는 숲 밖으로 한 발 빠져나와 객관성을 확보하려고 했다”고 입을 모았다. 2019년 국립오페라단의 창작오페라 ‘1945’에서 처음 호흡을 맞춘 두 사람은 광주가 두 번째 공동 작업이다. 최 작곡가가 고 연출가에 대해 “음악을 듣는 걸 넘어 읽어낼 줄 아는 연출가”라고 하자, 고 연출가는 “최 작곡가는 음악을 넘어 극 전체를 건축하듯 꼼꼼하게 곡을 써낸다. 드라마를 따라가지 않는 살아 있는 음악이 장점”이라고 답했다.

작품은 국가 공권력의 계략에 굴복하지 않는 시민들과 그들을 지켜보는 편의대원이자 주인공 박한수의 고뇌를 그렸다. 편의대는 광주 민주화운동 당시 민간에 침투한 사복 군인이다. 2019년 이들이 민간인들의 폭력을 부추겼다는 증언이 나오기도 했다. 극에서 제3자 입장인 박한수는 광주에서의 참상을 목도하며 통렬하게 반성한다.

여전히 상흔이 남아 있는 사건을 다룬 작품의 평가는 초연 당시 엇갈렸다. 한국 현대사에서 광주가 갖는 상징적 의미를 살리지 못했다거나, 편의대원을 주인공으로 삼은 게 공감하기 어렵다는 부정적인 의견도 있었다.

고 연출가는 “관객 의견은 전부 옳다. 첫 공연 후 뼈가 저릴 정도로 통렬한 비판 리뷰만 한 시간 내내 봤다. 애정 어린 시선으로 작품을 봐주셨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그러면서도 그는 “40년간 광주라는 소재는 일률적으로 소비돼 자칫 비극이라는 늪에 빠질 우려가 있다. 비극을 비극적이지 않게, 슬픔을 꼭 슬픔으로 표현하지 않을 수도 있는 게 예술”이라고 강조했다. 대본에서 군더더기를 많이 정리했지만 편의대원을 중심에 둔 설정은 바꾸지 않았다. 두 사람은 “재미와 카타르시스를 동시에 추구하는 작품을 꿈꾼다”고 했다.

작품 음악을 관통하는 키워드는 불규칙성이다. 인물 성격과 상황을 보여주기 위해 불협화음이나 비정형적 리듬을 사용했다. 작품을 다듬으면서 새로운 음악도 추가했다. 최 작곡가는 “뭔가 일정하게 정해지지 않았다는 건 해결의 가능성이 남아 있다는 의미”라며 “낯설고 잘 맞아떨어지지 않는 불협화음도 주제의식의 일부”라고 설명했다.

김기윤 기자 pep@donga.com


라이프



모바일 버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