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널리스트의 마켓뷰]中 8% 성장 전망… 투자 비중 늘려야

문남중 대신증권 수석연구위원

입력 2021-03-30 03:00 수정 2021-03-30 03:10

|
폰트
|
뉴스듣기
|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문남중 대신증권 수석연구위원
올해부터 신흥국 증시 간 디커플링(탈동조화)이 더욱 확연해질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신흥 증시는 1차적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발생에 따른 비대면 산업 활성화의 수혜를 입은 국가를 중심으로 강세를 보였다. 이후 백신 보급으로 코로나19 확산 우려가 완화되자 신흥국 전반이 강세를 보였다.

올해는 코로나19 이전의 일상을 염두에 둔 경기 회복 기대감이 신흥국 증시의 견인축이 될 것이다. 경제 성장과 이를 위한 정부 정책의 유무가 신흥국 투자 판단의 주요한 잣대가 된다는 애기다. 이 두 가지 잣대에 가장 부합하는 신흥국은 중국으로 보인다.

국제통화기금(IMF)에 따르면 중국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8.1%다. 2년 연속 플러스 성장을 이어가며 신흥국 전체 성장률(6.3%)을 1.8%포인트 웃돌 것으로 전망된다. 정책 측면에서도 14차 5개년 계획을 시행하는 첫해로 수요 측면의 개혁을 꺼내들고 있다는 점이 긍정적이다. 공급 과잉 및 낙후 산업에 대한 구조조정을 본격화하며 공급 개혁에 나섰던 2013년과 흡사하다. 당시 1년 뒤인 2014∼2015년 상하이종합지수는 7%대의 낮은 경제성장률에도 145%(최고점 기준) 상승했다.

필자는 지난해 10월을 기점으로 중국 증시에 대한 투자 비중을 과감하게 늘려야 한다는 주장을 하고 있다. 그때마다 긴축과 부채에 대한 걱정이 뒤따랐지만 이 같은 우려는 시기상조로 판단된다.

코로나19 이후 각국 중앙은행은 실물경제와 금융 괴리에 대한 우려를 모두 짊어지고 있다. 중국이라고 이를 비켜갈 수는 없다. 시중 유동성 공급 조절은 금융 시스템 전반의 긴축보다는 경제 펀더멘털보다 빠르게 상승한 자산 시장의 속도 조절을 위한 목적이 크다. 중국 정부가 온중구진(穩中求進·안정 속 발전)이라는 기조로 경제의 안정적 성장 및 물가 안정을 동시에 추구한다는 점에서 최근 통화정책은 긴축과는 거리가 있어 보인다.

지난해 중국의 총부채 비율은 270.1%로 전년 말보다 23.6%포인트 상승했다. 상승 폭은 2009년 31.8%포인트 이후 가장 높다.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해 통화 및 재정 정책을 시행한 만큼 당연한 측면이 있다. 하지만 분기별 총부채 비율은 1분기(1∼3월) 가장 높고 4분기(10∼12월)로 갈수록 낮아지고 있다. 중국 정부도 디레버리징(부채 축소)을 통해 위기 극복과 금융시장 안정 사이의 균형점을 찾고자 노력 중이라는 얘기다. 이는 부의 통제하에 부채 문제가 여전히 관리 가능한 수준이라는 뜻이기도 하다.

3월 말 이후 상하이종합지수는 중국 경제의 가치 회복을 바탕으로 4,000 선 탈환을 모색할 것으로 보인다. 본토를 중심으로 적극적인 비중 확대 전략이 필요하다.

문남중 대신증권 수석연구위원


라이프



모바일 버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