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값’ 상승에…작년 국민순자산 1058조 늘었다

뉴시스

입력 2020-07-21 14:46 수정 2020-07-21 14:48

|
폰트
|
뉴스듣기
|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GDP 1% 늘어날 때, 토지.건물자산은 7%대 증가
오름세는 1년 전보다 둔화
가구당 순자산은 4억6268만원…5.5%↑



우리나라의 국부(國富)를 나타내는 국민순자산이 지난해 1058조원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가격 상승 등으로 토지자산 규모가 높은 수준의 증가세를 이어간 영향이다. 가구당 순자산도 4억6268만원으로 1년 전보다 5.5% 증가했다.

21일 한국은행과 통계청이 작성한 ‘2019년 국민대차대조표(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의 국민순자산은 1경6621조5000억원으로 1년 전보다 1057조7000억원(6.8%) 증가했다. 1년 전 수준(8.7%)에 비해서는 증가폭이 축소됐다. 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로는 8.7배로 전년(8.2배)보다 확대됐다.

국민대차대조표는 국제연합(UN)의 국민계정체계를 기준으로 일정 시점의 토지자산 등 ‘실물(비금융)자산’과 금융자산에서 금융부채를 뺀 ‘순금융자산’ 규모와 변동을 기록한 통계다. 우리나라의 경제활동 과정에서 축적된 재산상태를 보여준다.

지난해 국부가 늘어난 것은 땅값과 건물값 등이 오른 측면이 크다. 지난해 비금융자산(1경6041조5000억원)의 약 55%를 차지하는 토지자산(8767조원) 규모가 541조4000억원(6.6%)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1년 전 증가율(7.7%)보다는 둔화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비금융자산에서 토지자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3년 53.2%로 저점을 찍은 이후 6년 연속 확대 추세를 지속했다. 비금융자산 중 건설자산도 주거용 건물 등을 중심으로 전년대비 309조7000억원(6.1%) 증가했다.

GDP대비 토지자산 비율은 4.6배로 1년 전(4.3배)보다 상승했다. 이는 역대 최고치다. 지난해 GDP가 1.1% 늘어난 반면 토지자산은 6.6% 증가한 영향이다. 특히 세종시 출범, 지방 혁신도시 개발 등으로 증가세가 주춤했던 수도권의 토지자산 비중은 서울, 경기 일부 등의 부동산 가격이 오르면서 다시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의 토지자산은 2018년 기준 전년대비 8.1% 늘어 비수도권의 토지자산 증가율(7.1%)을 뛰어넘었다.

우리나라가 해외로부터 받을 돈인 순대외금융자산이 늘어난 점도 국민순자산 증가에 한몫했다. 해외 직접투자와 증권투자 등이 확대되면서 순대외금융자산은 1년 전보다 648억달러 늘었다.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순자산은 9307조1000억원으로 1년 전보다 596조원(6.8%) 증가했다. 2018년(453조5000억원)보다 증가폭이 커진 것이다. 주택자산이 325조3000억원 늘고, 예치금이 늘어나면서 금융자산이 246조8000억원 증가한 영향이다. 다만 주택자산 증가폭은 전년(361조7000억원)에 비해 소폭 축소됐다. 가구당 순자산은 4억6267만원으로 전년(4억3838만원)대비 5.5% 늘어난 것으로 추정됐다.

일반정부의 순자산도 316조3000억원(7.8%) 늘었다. 비금융법인은 86조1000억원(3.5%) 늘어 전년(27%)보다 증가세가 크게 꺾였다. 금융법인의 순자산은 370조1000억원으로 전년대비 59조4000억원(19.1%) 늘어났다.

지난해 자본서비스물량 증가율은 3.4%로 지난 2017년 이후 2년 연속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본서비스물량은 고정자산이 일정기간 생산 과정에 투입돼 기여한 정도를 나타낸다. 지난해 자본서비스 물량 산출효과가 큰 설비투자가 부진했던 영향이 컸기 때문이다.

[서울=뉴시스]



라이프



모바일 버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