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고령일수록 혐한…70대 이상 41% “한국 싫어”
뉴시스
입력 2019-09-17 11:06 수정 2019-09-17 15:28
응답자 29% "한국 싫다"...56% "좋지도 싫지도 않다"
48% "한국에 대한 수출규제 평가"...56% "한일관계 악화 우려"

일본인들의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한국을 싫어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아사히신문이 지난 14~15일 일본 전국 유권자 101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전화 여론조사에서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
한국에 대한 호불호에 대한 질문에 응답자의 29%는 “싫다”, 13%만 “좋다”고 답한 것으로 조사됐다. 56%는 “어느쪽도 아니다”라고 답했다.
연령별로 보면 18~29세는 13%가 한국을 “싫다”고 답했지만, 30대에서는 21%가, 40대는 25%, 50대는 33%, 60대는 36%가 한국을 “싫다”고 답해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한국을 싫어하는 응답률이 높아졌다.
70세 이상의 연령층에서는 41%가 한국을 “싫다”고 했다. 70세 이상에서 한국을 “좋다”는 응답률은 7%에 불과했다.
아울러 이번 조사에서 아베 신조(安倍晋三) 내각 지지율은 지난 7월 조사보다 6%포인트 상승한 48%로 조사됐다. 비지지율은 31%로 전회 조사보다 4%포인트 하락했다.
수출규제 등 한국에 대한 강경조치를 펼치고 있는 아베 정권의 자세에 대해서도 48%는 “평가한다”고 답해, “평가하지 않는다”고 답한 29%보다 많았다. 그러면서도 한국과의 관계 악화가 경제 및 문화교류에 영향을 미치는데 대해서는 56%가 “우려하고 있다”고 답했다.
다만 아베 정권하에서 헌법을 개정하는데 대해서는 44%가 “반대한다”고 답해, 찬성(33%)을 크게 웃돌았다.
아베 총리 이후 차기 집권 자민당 총재로 적합한 인물로는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郞) 전 일본 총리의 아들로 최근 환경상에 취임한 고이즈미 신지로(小泉進次郞)가 22%로 1위를 차지했다. 이어 이시바 시게루(石破茂) 전 자민당 간사장이 18%, 고노 다로(河野太?) 방위상과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이 각각 8%, 이어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자민당 정조회장이 6%를 차지했다.
【서울=뉴시스】
48% "한국에 대한 수출규제 평가"...56% "한일관계 악화 우려"

일본인들의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한국을 싫어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아사히신문이 지난 14~15일 일본 전국 유권자 101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전화 여론조사에서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
한국에 대한 호불호에 대한 질문에 응답자의 29%는 “싫다”, 13%만 “좋다”고 답한 것으로 조사됐다. 56%는 “어느쪽도 아니다”라고 답했다.
연령별로 보면 18~29세는 13%가 한국을 “싫다”고 답했지만, 30대에서는 21%가, 40대는 25%, 50대는 33%, 60대는 36%가 한국을 “싫다”고 답해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한국을 싫어하는 응답률이 높아졌다.
70세 이상의 연령층에서는 41%가 한국을 “싫다”고 했다. 70세 이상에서 한국을 “좋다”는 응답률은 7%에 불과했다.
아울러 이번 조사에서 아베 신조(安倍晋三) 내각 지지율은 지난 7월 조사보다 6%포인트 상승한 48%로 조사됐다. 비지지율은 31%로 전회 조사보다 4%포인트 하락했다.
수출규제 등 한국에 대한 강경조치를 펼치고 있는 아베 정권의 자세에 대해서도 48%는 “평가한다”고 답해, “평가하지 않는다”고 답한 29%보다 많았다. 그러면서도 한국과의 관계 악화가 경제 및 문화교류에 영향을 미치는데 대해서는 56%가 “우려하고 있다”고 답했다.
다만 아베 정권하에서 헌법을 개정하는데 대해서는 44%가 “반대한다”고 답해, 찬성(33%)을 크게 웃돌았다.
아베 총리 이후 차기 집권 자민당 총재로 적합한 인물로는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郞) 전 일본 총리의 아들로 최근 환경상에 취임한 고이즈미 신지로(小泉進次郞)가 22%로 1위를 차지했다. 이어 이시바 시게루(石破茂) 전 자민당 간사장이 18%, 고노 다로(河野太?) 방위상과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이 각각 8%, 이어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자민당 정조회장이 6%를 차지했다.
【서울=뉴시스】
비즈N 탑기사
- 김소월 ‘진달래꽃’ 초판본 1.65억원…근현대문학 서적 경매 최고가
- “편의점이 휴게소냐”…신발 벗고 1시간 있다가 가져온 ‘닭뼈’ 버리고 간 男
- “자식 아니어도 후계자 가능”…세계 최고부자 루이비통 회장 발언 화제
- 코카인이 석유 제치고 콜롬비아 수출품 1위 등극 ‘오명’
- 지하철 선로로 빠진 내 휴대폰, 당황하지 말고…“위치 기억해 신고”
- 1.5㎞ 걸어 간 자폐 가출인…CCTV 관제센터 덕에 무사 귀가
- 포도주가 강처럼 흘러…포르투갈 양조장 탱크 터져
- 퇴근 후 운동하던 경찰들, 쓰러진 시민 구했다 “남편 잃을 뻔…감사”
- 잠 못 이루게 하는 ‘슈퍼 블루문’?…과학적 근거 있을까
- 5000원에 구매한 그림이 3억?…로또 맞은 골동품 애호가
- 삼성전자, 전력효율 70% 높인 D램 모듈 첫 개발
- “웰컴 유커” 오전엔 전통문화, 오후엔 K뷰티 체험해볼까
- 블록 분류하고 한발 요가… 테슬라 AI로봇, 인간에 더 가까이
- ‘혼추족’ 마음 달랠, 풍성한 도시락
- 가계대출 1인당 빚, 年소득의 3배… 청년 대출 급증
- 서울 아파트 ‘상승거래’ 세달 연속 50% 웃돌았다…2021년 10월 이후 최고치
- 공공주택 12만채 건설… 공급속도 높인다
- 1~7월 근로자 실질임금 1년 전보다 5만3천원↓…고물가 여파 지속
- 추석 이후 연말까지 대단지 3만4920가구 분양
- 7월 출생아수, 2만명선 무너져 ‘역대 최저’…인구 45개월 연속 자연감소